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ction Based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활동 중심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개발 및 적용

  • Received : 2015.04.09
  • Accepted : 2015.05.15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SMART" is a word to condense a new kind of educational system recently proposed by the Korean government. It signifies an intelligent adaptive learning system to innovat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contents, methodology and assessment. Developing a digital textbook was one of the main strategic goals to drive forward "smart" education. The Korean government expected to finis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s of science,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English by 2013 and to have a field experiment for them in 2014. However, the case of mathematics was postponed for an indefinite period because its draft version was no different from a traditional textbook in its functional aspect. This situation might come from the non-existence of a good authoring tool and an inexperienced sense by developers of the opportunities available with digital textbooks. This paper introduces the main features for developing a digital mathematics textbook for the 12th grade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in the environment of Cabri LM as an authoring tool. This paper also looks upon the results of a whole lesson using the textbook in managing the classroom interaction with students.

디지털교과서는 정부에서 제시하는 새로운 교육 시스템을 지칭하는 스마트교육을 실현시키기 위한 주요 전략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는 과학, 수학, 사회, 영어 교과의 디지털교과서를 2013년까지 개발하여 2014년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수학 과목의 경우, 디지털교과서의 초안이 기능적인 측면에서 서책형 교과서와 크게 다르지 않아 무기한 연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수학 교과에 부적합한 저작도구의 사용으로 인해 수학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측면 중의 하나인 학생의 탐구 활동이 매우 제한적으로 구현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디지털교과서가 보다 잘 사용되어지기 위한 개발 방향과 저작도구로서 Cabri LM을 사용하여 고등학교 3학년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를 개발하고 적용하면서 나타난 결과를 소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a). 인재 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2. 교육과학기술부(2011b). 인재 대국으로 가는 길,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 계획.
  3. 교육과학기술부(2012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 [별책 8]). 서울: 우신기획.
  4. 교육과학기술부(2012b). 스마트교육 추진전략에 따른 교과서 개선 계획(안)
  5. 교육부(2013). '13년 디지털교과서 개발 및 적용 방안 발표.
  6. 교육인적자원부(2007). 디지털교과서 상용화 개발 본격 착수, 유비쿼터스 시대의 미래 학교 교육 현실로 다가와.
  7. 김부미(2012). 우리나라의 ICT 환경 기반 수학 학습 현황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6(3), 657-687.
  8. 김선희(2012). 미래 수학 교실에 대한 전망과 교사들의 인식 조사. 교과교육학연구, 16(1), 285-324.
  9. 김원경 외(2014). 고등학교 미적분 I 교사용지도서. (주)비상교육.
  10. 김창복(1998). 동반자적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김혜숙, 이미미, 안성훈(2014).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4-3.
  12. 노정민, 허희옥, 김현진, 남창우, 정현선, 김지연, 강윤수, 정문성, 김현주, 장신호, 조근영(2013).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모형 연구 - 초등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13-6.
  13. 류지헌(2008). 태블릿 PC 기반의 디지털교과서 수업에 대한 교실생태학적 분석. 교육공학연구, 24(2), 271-297.
  14. 류희찬, 강경민(2013). 중심사영과 투시도의 작도 학습에서 나타나는 중학교 수학영재들의 수학적 사고특성과 교사의 역할. 학교수학, 15(4), 921-940.
  15. 변호승, 김남균, 조완영, 허혜자(2005). 수학과 전자교과서 개발 방법론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CR 2005-23.
  16. 서지영, 주형미, 김혜숙(2012). 스마트 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내용 표준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1212-16-5.
  17. 손홍찬(2011). GSP를 활용한 역동적 기하 환경에서 기하적 성질의 추측. 학교수학, 13(1), 107-125.
  18. 송해덕, 박주호(2009). 교수 가이던스 관점에서 디지털교과서 활용유형이 수학과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2), 29-46.
  19. 양미경(2013). 디지털 교과서의 특성과 난점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과정연구, 31(4), 51-75.
  20. 양성현(2014). GeoGebra의 구성단계 기능을 활용한 고등학교 수학 영재 문제해결 과정의 창의성 평가 사례 연구. 영재교육연구, 24(6), 897-916. https://doi.org/10.9722/JGTE.2014.24.6.897
  21. 우정호(2003). 수학교육학개론.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2. 우정호(2009). 수학 학습-지도 원리와 방법.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23. 이헌수, 이광호(2012). 중등 영재학생들의 GSP를 활용한 내분삼각형 넓이의 일반화.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5(3), 565-584.
  24. 정광훈(2012). 디지털교과서 현황 및 추진 방향. KT 경제경영연구소.
  25. 조완영, 김남균(2006). 수학과 e-learning 콘텐츠 개발 방향. 교원교육, 22(1), 40-57.
  26. 조은애, 권혁진(2008). 수학교육에 공학적 도구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활성화 방안. 교과교육연구, 1(1), 1-29.
  27. 주형미, 가은아, 김정효, 남창우, 안종욱(2012). 스마트(SMART)교육을 위한 디지털교과서 심사 기준 및 절차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T 2012-3.
  28. 허혜자, 최정임(2009). 수학과 디지털교과서 자기주도적 학습에서 나타난 오개념에 대한 연구: 분수의 나눗셈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1(4), 643-664.
  29. Drijvers, P. (2012). Digital technology in mathematical education : Why it works (or doesn't). In Cho, S. J. (Ed.) The proceedings of the 12th international congress on mathematical education. p. 353. Berlin, Germany : Springer.
  30. Furmaniak, M. et al (2014). Szkola ponadgimnazjalna - Matematyka1. http://www.epodreczniki.pl/front/details/30339/1
  31. Larborde, C. (2014a). Interactive and flexible technology for an integration in the everyday practice. Proceedings of the 2nd ATCMKOREA. Cheong-ju: KNUE.
  32. Laborde, C. (2014b). Interactivity and flexibility exemplified with Cabri. http://atcm.mathandtech.org/EP2014/invited/3672014_20625.pdf
  3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5. Pratt, D. (2005). "Visual math : The function web book"by Yerushalmy, M., Katriel, H., and Shternberg, B. (2002). Published by CET, Ramat Aviv, Israel. www.cet.ac.il/math/function/english. International Jo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251-258. https://doi.org/10.1007/s10758-005-2078-1
  36. Polya, G. (2008).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 역), 서울: 교우사. (영어 원작은 1957년 출판).
  37. van Loon A.-M., Ros, A. & Martens. R. (2012). Motivated learning with digital learning tasks : what about autonomy and structure?. Education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60, 1015-1032. https://doi.org/10.1007/s11423-012-9267-0
  38. Yerushalmy, M. (2005). Functions of interactive visual representations in interactive mathematical textbook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s for Mathematical Learning, 10(3), 217-249. https://doi.org/10.1007/s10758-005-0538-2
  39. Yerushalmy, M., Shternberg, B. & Katriel, H. (2014). VisualMath: Functions & Algebra. Interactive Mathematics Text. The University of Haifa. http://visualmath.haifa.ac.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