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Assessment Literacy Using PISA Items

PISA 문항을 활용한 예비 수학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 Received : 2015.03.30
  • Accepted : 2015.05.13
  • Published : 2015.05.3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to develop and improve the assessment literacy of teachers which enables it to develop and utilize the assessment items using a wide range of contexts on the basis of an understanding of math contents and mathematical process specified in the math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results in an effective way.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the author of this study, using PISA items and assessment framework, analyzed the changes through the 1st and 2nd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The results showed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and their ability have been improved, implying that there is the necessity to develop a wide range of programs to improve the assessment literacy of preservice math teachers and provide such programs on a regular basis, which will facilitate effective math teaching and learning.

교사는 평가하고자 하는 내용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방법을 선택하고, 평가의도에 따라 적절한 평가문항을 개발하며, 학생들의 응답을 평가의도에 따라 해석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수학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학생의 수학적 지식과 사고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전문성을 가져야 하는데, PISA의 삼차원 평가틀과 문항은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34시간 동안 이루어진 강의에서 예비 수학교사에게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내용 영역과 수학적 과정, PISA 2012 평가틀의 맥락을 축으로 갖는 평가틀을 제시하고, 이 평가틀을 토대로 1, 2차에 걸쳐 문항을 개발하도록 하였다. 개발 문항을 분석한 결과, 수학적 내용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토대로 수학적 과정과 맥락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하고, 상세한 채점 기준을 개발하는 평가 전문성이 신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옥기(2007). 수학과 학습지도와 평가론. 경문사.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8].
  3. 교육부(1999).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4. 김도한 외 18명(2009).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육과정 모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5. 김신영(2007). 교사의 학생평가 전문성과 중등교사 양성과정. 교육평가연구, 20(1), 1-16.
  6. 도종훈, 박윤범, 박혜숙(2014). 수학적 과정 평가를 위한 서술형 문항 및 채점기준 개발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8(4), 553-571.
  7.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2013). OECD 국제학업성취도 평가 문항 자료집 : PISA 2000-PISA 2012 지필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64-1.
  8. 신준식, 고정화, 박문환, 박성선, 서동엽(2011). 수학적 사고력 측정을 위한 수학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3), 619-640.
  9. 정상권, 이경화, 유연주, 신보미, 박미미, 한수연(2012). 수학적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2(3), 401-427.
  10. 조지민, 동효관, 옥현진, 임해미, 정혜경, 손수경, 배제성(2012).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 연구: PISA 2012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2-3-1.
  11. 최승현, 황혜정(2008).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의 의미 및 분석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569-593.
  12. 황선욱 외 32명(2011). 창의 중심의 미래형 수학과 교과내용 개선 및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1-4.
  13.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AFT),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NCME), &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NEA) (1990). Standards for Teacher Competence in the Educ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Online: http://www.unl.edu/buros/bimm/html/article3.html.
  14. Brookhart, S. M. (2011). Educational assessment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ers.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30(1), 3-12. https://doi.org/10.1111/j.1745-3992.2010.00195.x
  15. Campbell, C., Murphy, J. A., & Holt, J. K. (2002). Psychometric analysis of an assessment literacy instrument: Applicability to preservice teacher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lumbus, Ohio.
  16. McMillan, J. H. (2000). Fundamental assessment principles for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8). Retrieved from http://PAREonline.net/getvn.asp?v=7&n=8, accessed November 21, 2009.
  17. Mertler, C. A. (2003). Preservice versus inservice teachers' assessment literacy: Does classroom experience make a differenc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Mid-Wester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lumbus, Ohio.
  18. Mertler, C. A., & Campbell, C. (2005). Measuring Teachers' Knowledge & Application of Classroom Assessment Concepts: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Literacy Inventory". Online Submission.
  19. OECD (2013). PISA 2012 Assessment and Analytical Framework: Mathematics, Reading, Science, Problem Solving and Financial Literacy. Paris: OECD.
  20. Paterno, J. (2001). Measuring success: A glossary of assessment terms. Building cathedrals: Compassion for the 21st century.
  21. Plake, B. S., Impara, J. C., & Fager, J. J. (1993). Assessment competencies of teachers: A national survey. Educational Measurement: Issues and Practice, 12(4), 10-12. https://doi.org/10.1111/j.1745-3992.1993.tb00548.x
  22.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https://doi.org/10.17763/haer.57.1.j463w79r56455411
  23. Stiggins, R. J. (1995). Assessment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Phi Delta Kappan, 77, 238-238.
  24. Stiggins, R. J. (1999). Are you assessment literacy ?. The High School Journal, 6(5),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