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Happiness among Early Ehildhood Teachers: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 Received : 2015.02.12
  • Accepted : 2015.04.09
  • Published : 2015.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on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46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ollect the data, emotional intelligence, teaching efficacy, job stress, and happiness instruments were used. All research variables were measured us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with one-way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way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eachers' happiness had no difference by demographic variables.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direct effect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on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Additionally, emotional intelligence w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happiness. Teaching efficacy and job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행복감에 대한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및 교사효능감의 직접적인 영향 및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영유아교사 246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변량분석, t-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은 연령, 학력, 경력, 소득, 결혼여부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정서지능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며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에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교사효능감은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요인이며, 직무스트레스는 행복감을 감소시키는 요임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영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행복감 간의 경로에서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이는 정서지능은 직무스트레스를 완화하게 하고 교사효능감은 높이게 하여 영유아교사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행복감의 가장 중요한 선행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슬, 김민경 (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 고연경, 장석경, 이정아 (2013). 예비 유아교사의 효능감과 인성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연구. 복지상담교육연구, 2(1), 19-34
  3.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구은미 (2004). 보육프로그램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관련변인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6. 권정윤 (2010).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및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0(6), 269-289.
  7.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 (2007). 어린이집의 전문성 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학회지, 12(4), 115-135
  8. 김시연 (2014). 유아교사의 행복감, 교직에 대한 열정,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구조분석.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김연아, 김정은 (2012).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1), 105-121
  10. 김철규 (2010). 초등교사의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 및 주관적 삶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현준 (2007). 청소년의 정서지능과 사회지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노혜미 (2005). 정서노동 장면에서 정서상태, 정서지능이 정서노동 전략과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모연례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이 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성혜, 박은주 (2014). 유아교사의 교직적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6), 165-190.
  15. 배성희 (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16. 서주희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 및 유아의 사회적 능력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송미선, 김소양 (2009).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4), 99-129
  18. 신현정, 박진성 (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19. 신혜영 (2005).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교사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엄세진 (2010). 보육교사의 SOC 책략과 정서지능,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2, 97-123.
  21. 이경님, 강진숙 (201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서지능 및 교사효능감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2), 93-112.
  22. 이경민, 최윤정, 이경애 (2012). 유아교사의 행복과 역할수행능력과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32(6), 509-523
  23. 이미란 (2010). 영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헌신의 관계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성아 (2014).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수미, 조경자, 황혜리 (2009). 대학생의 정서지능이 대인관계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6(3), 131-147.
  26. 이수정, 안신호 (2005). 행복이란 무엇인가? 행복에 관한 연구 개관. 심리과학연구, 4, 123-143.
  27. 이훈구 (1997). 한국인의 긍정적 정서. 심리과학, 6(2), 45-60.
  28. 임수진, 여은진, 이혜원 (2013).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3(3), 301-318.
  29. 정명자, 최혜순 (2014). 보육교사의 윤리의식과 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8, 21-39.
  30. 정민정, 김유진 (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8(1), 65-74
  31. 최요원 (2002). 정서인식이 행복경험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최진원 (2001). 아동의 심리적 복지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3. 행정자치부 (2013). 주민등록 인구통계.
  34. 황해익 (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35. 황해익, 탁정화, 홍성희 (2013).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3), 411-432.
  3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 H. Freeman and Company.
  37. Glickman, C. D., & Tamashiro, R. T. (1982). A comparison of first year, fifth year, and former teachers on efficacy, ego development and problem solving. Psychology in the Schools 19(4), 558-562. https://doi.org/10.1002/1520-6807(198210)19:4<558::AID-PITS2310190426>3.0.CO;2-F
  38.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Y: Bantom Books.
  39. Goleman, D. (2000). Emotional intelligence. In B. Sadock & Sadock (Eds.), Comprehensive textbook of psychiatry (7th ed.). Philadelphia: Lippintcott Williams & Wikins.
  40. Hills, P. & Argyle, H. (2002).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1073-1082.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213-6
  41. Hu L. T.,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6,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42. Law, K. S., & Wong, C. (2004). The construct and criterion valid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potential utility for management stu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9, 483-496. https://doi.org/10.1037/0021-9010.89.3.483
  43. Leitch, R. & Day, C. (2001). Reflective process in action: Mapping personal and professional contexts for learning and change. Journal of In-Service Education, 27(2), 237-259. https://doi.org/10.1080/13674580100200177
  44. Mayer, J. D., & Salovey, P. (1997). 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 P. Salovey & D. Sluyter (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pp. 3-31). NY: Basic Books.
  45. Moracco, J., & McFadden, H. (1980). Counselors role in reducing teacher stress. Unpublished research report. Auburn University.
  46. Riggs, I. M. (1988).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7.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https://doi.org/10.1002/sce.3730740605
  48.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NY: Free Press.
  49.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https://doi.org/10.2307/270723
  50. Webster, C & Webster, C (1963). Webster's seventh new college dictionary, Springfield MS: G and C Merrian Co.
  51. Wilson, W. R. (1967). Correlates of avowed happiness. Psychological Bulletin, 67, 294-306. https://doi.org/10.1037/h0024431

Cited by

  1. 보육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적 역할 vol.14,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6.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