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DA 테스트 분석을 통해 본 한국목록규칙의 테스트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esting the Korean Cataloguing Rules through Analyzing the RDA Test

  • 이미화 (공주대학교 문헌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연구소) ;
  • 현문수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투고 : 2015.02.20
  • 심사 : 2015.03.23
  • 발행 : 2015.03.30

초록

한국목록규칙의 개정과정에서 세미나 및 공청회를 통해 초안의 수정이나 문제점을 파악했던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개정될 목록규칙의 문제점을 올바르게 파악하고, 도서관에서 새로운 목록규칙을 올바르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국목록규칙의 테스트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및 사례조사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사례조사는 RDA 테스트 조정위원회가 실시한 RDA 테스트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테스트의 평가항목으로 목록규칙 자체, 새로운 목록규칙을 적용한 레코드 생성 및 시스템 개발 측면, 이용자 측면, 비용 측면이었다. 개정될 한국목록규칙에 따라 서지 및 전거레코드를 생성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것을 제안하였다. 설문조사는 기관용, 레코드를 생성한 사서용, 레코드를 사용하는 이용자용으로 구성되었다. 생성된 서지레코드의 목록규칙 적용 오류 및 서지레코드 구축시 규칙 적용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앞으로 개정될 한국목록규칙 개정에 도움이 될 것이며, 신규 목록규칙의 서지레코드 입력시간 및 학습커브 등의 분석은 도서관이 새로운 목록규칙의 반영 여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was for suggesting the test methods in the revision process of the cataloging rules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draft cataloging rules and to apply the new cataloging rules correctly in libraries instead of collecting the opinions by the traditional seminar and conference in the process of revising KCR, KCR2, KCR3, KCR4. For this study,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case study were used as the research methods. The case study was based on the US RDA Test by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The evaluation areas of the test were cataloging rules, record creation and system development by reflecting the new cataloging rules, user, and cost. The data for the analysis was the creation of bibliographic records and authority records by librarians, and the question investigations that were the use of institutions, librarians, and users. This study would contribute to revise the cataloging rules in future by analyzing the errors of applying new rules to bibliographic record and by investigating the difficulties of applying rules in completing the bibliographic record. Also, the libraries could be easy to decide to implement the new rules from the creation time of bibliographic record by new rules and the learning curve of new rule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정현. 2013. 한국목록규칙의 개정방향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4): 123-143. Kim, Jeong-Hyen. 2013. "A Study on the Direction for the Revision of Korean Cataloguing Rul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4(4): 123-143.
  2. 김정현 외. 2014. RDA를 기반으로 한 국가서지데이터의 FRBR 모형 연구. 서울 : 국립중앙도서관. Kim, Jeong-Hyen, et. al. 2014. A Study on the FRBR Model of the National Bibliographic Record Based on RDA. Seoul: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3. 한국도서관협회 목록위원회. 1990. 한국목록규칙. 3.1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90. Korean Cataloguing Rules, 3.1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4. 한국도서관협회 목록위원회. 2003. 한국목록규칙. 제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Korean Cataloguing Rules, 4th ed. Seoul: Korean Library Association.
  5. Boehr, D., R. R. Reynolds, and T. Shrader. 2012. "The U.S. RDA Test Process." The Serials Librarian, 62(1/4): 125-139. https://doi.org/10.1080/0361526X.2012.652485
  6. IFLA Cataloguing Section. 2009. Statement of International Cataloguing Principles. [cited 2014. 10. 25].
  7. ISBD Review Group. 2011. 국제표준목록규칙. 이미화 역.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2014.
  8. Joint Steering Committee for Development of RDA. 2010. RDA : Resource Description & Acces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9. Kuhagen, J. A. 2011. "Training for the U.S. RDA Test."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9(7/8): 572-581. https://doi.org/10.1080/01639374.2011.616924
  10. Luo, C., D. Zhao, and D. Qi. 2014. "China's Road to RDA."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52(6/7): 585-599. https://doi.org/10.1080/01639374.2014.917446
  11. Tillett, B. B. 2011. "Keeping Libraries Relevant in the Semantic Web with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Serials, 24(3): 266-272. https://doi.org/10.1629/24266
  12.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2011. Report and Recommendations of US RDA Test Coordinating Committee. [cited 2012.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