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wareness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exual Harassment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성희롱 인식 수준 및 관련 요인

  • 김선주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4.11.10
  • Accepted : 2014.12.16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dental hygiene students on sexual harrassment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prevention of sexual harrass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738 dental hygiene students at colleges located in four different large regions. As for the concept of sexual harrassment, the students got 4.33 out of a possible five in that regard, which was a high score. But they got a relatively lower score of 3.42 in awareness of the causes of sexual harrassment. They got the highest score of 4.42 in physical sexual harrassment among different types of sexual harrassment. Regarding the offender of sexual harrassment, they got 2.81 out of a possible five, which was lowest among their scores in the items of sexual harrassment awarene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 harrassment awareness according to gender, age, grade and religi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ere well aware of sexual harrassment in general, but that the way they coped with it was quite passiv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on how to prevent sexual harrassment and cope with it is required to spread better awareness of sexual harrassment among college students and to encourage them to properly cope with it.

본 연구는 치위생 전공 대학생의 성희롱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성희롱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4개 광역권 소재 치위생(학)과 재학생 73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3년 10월 23일부터 11월 7일까지 수집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성희롱의 개념에 대한 인식점수는 5점 만점 중 4.33점으로 높았으나, 성희롱의 원인에 대한 인식점수는 3.42점으로 비교적 낮았다. 성희롱 유형에 대한 인식점수 중 신체적 유형의 경우 4.42점으로 높게 조사되었으나 성희롱 가해자에 대한 인식점수는 2.81점으로 전체 성희롱 인식 항목 중 가장 낮았다. 성희롱 인식 수준은 성별(p=0.037), 연령(p<0.001), 학년(p<0.001), 종교(p=0.004)), 성희롱 경험(p<0.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치위생(학)과 재학생들의 성희롱에 대한 전체적인 인식정도는 대체로 높은 편이었으나 성희롱에 대한 적절한 대처방법은 소극적이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성희롱에 관한 인식 수준을 향상시키고 성희롱에 대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성희롱 예방 및 대처를 위한 관련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영란, 김경미, 최소은, "대학생의 성희롱 및 성평등 인식 수준 및 영향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4권, 제1호, pp.40-50, 2013. https://doi.org/10.12799/jkachn.2013.24.1.40
  2. 이재순, 관련 변인에 따른 직장내 성희롱에 관한 인식,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 하혜숙, "대학생의 성희롱 대처방안 차이 연구", 한국상담및심리치료학회지, 제19권, 제3호, pp.785-800, 2007.
  4. 윤혜정, 직장내 성희롱의 구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5. 이주영, 대학병원 간호사에 대한 성희롱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6. 이성은, 직장내 성희롱의 순응과 저항에 관한 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7. 공미혜, "여대생의 성희롱 경험과 의식의 차", 한국여성학, 제13권, 제1호, pp.29-50, 1997.
  8. J. Ryan and S. Kenig, "Risk and ideology in sexual harassment," Sociological Inquiry, Vol.61, No.2, pp.231-241, 1991. https://doi.org/10.1111/j.1475-682X.1991.tb00277.x
  9. 고진희, 병원 간호사의 직장 내 성희롱에 대한 인식과 경험실태 및 관련 요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10. 전찬희, "요양보호사의 노동인권에 관한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34-242,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5.234
  11. 김양희, "성희롱: 경험과 인식, 그리고 정책방안",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지, 제2권, 제1호, pp.17-32, 1995.
  12. 문희경, 대학생의 성희롱 예방.대처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상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13. 김정인, 최상진, 박정열, "성희롱 행위에 대한 대처인식 및 가용 자원의 기능", 한국심리학회지, 제7권, 제2호, pp.53-74, 2001.
  14. 박옥임, 김정숙, 강희순, "성별에 따른 대학 내 성희롱에 관한 실태 및 인지도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15권, 제3호, pp.137-148, 2004.
  15. 정향미, "일부지역 대학생의 성희롱 인식과 관련된 요인", 한국모자보건학회지, 제7권, 제2호, pp.277-287, 2003.
  16. 위진희, 대학생의 심리사회적 성숙도, 성태도, 성희롱.성폭력 인식과의 관계,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7. 박금주, 김두화, 김성현, "대학생의 성희롱, 성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학생생활연구, 제28권, 제1호, pp.307-342, 2005.
  18. A. Barak, W. Fisher, and S. Houston, "Individual difference correlates of the experience of sexual harassment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Appl Soc Psychol, Vol.22, No.1, pp.17-37, 1992.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2.tb01519.x
  19. 김금란, 직장 내 성희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0. 홍용기, 조국행,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비서학회지, 제9권, 제2호, pp.219-234,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