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Focusing on Parental Competence of Mothers with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의 역량을 중심으로

  •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견주연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
  • 최은아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BK21+) ;
  • 김지연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0.15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onsultant development program enhancing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of the mothers with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14 mothers with preschool and school-age children.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of the mother's parental competence, t-test and qualitative analysis 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the sub-factors of mother's 'authentic parental competence'. Second, mothers mentioned that they changed their parenting competence(change of parenting knowledge, beginning of reflective attitude on their parental role), self-system competence(understanding and respective attitude for the mother herself, self-awareness as a spouse, sweet glances and warm understanding as a parent), social competence(sympathetic understanding of her acquaintances, attempt a role as consultant) after this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준전문가로서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를 양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 증진 효과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아와 아동 어머니 1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부모 참 역량" 척도를 활용하여 이들의 "부모 참 역량"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에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적용 후 어머니들의 "부모 참 역량"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양적 분석 결과,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발달적 양육 역량을 비롯한 "부모 참 역량"의 5개 하위요인 모두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나타났다. 질적으로는 어머니들은 대부분 본 프로그램에 참여 후 자신의 양육 역량(양육지식의 변화, 부모 역할에 대한 반성적 태도의 태동), 자기체계 역량(어머니 자신에 대한 이해 및 존중적 태도, 남편에 대한 배우자로서의 자기 인식, 부모로서의 부드러운 시선 및 따뜻한 이해), 사회적 역량(지인에 대한 공감적 이해의 움직임, "부모 참 역량" 컨설턴트로서의 역할 시도하기) 등의 변화를 이야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부모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 (2011). 부모역할훈련 프로그램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가족유연성 및 가족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34, 109-136.
  2. 강영순, 김종남 (2012). 자기이해중심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효능감, 분노조절 및 자아분화에 미치는 효과. 뇌교육연구, 10, 106-128.
  3. 김경화 (2004). 상호교류분석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5(1), 105-126.
  4. 김도기 (2005). 컨설팅 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숙 (2010). 상호교육분석이론에 기초한 부모교육이 어머니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유순, 이국향 (2010). 부모의 양육행동, 자아존중감, 부모효능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18(1), 157-184.
  7. 김은라, 박재국, 정계숙, 박수홍 (2014). 액션러닝을 활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장애아 부모의 양육 역량에 미치는 효과.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57(2), 45-70.
  8. 김정섭 (2009). 학습컨설팅의 중요성과 학습 컨설턴트의 역할. 학교심리와 학습컨설팅, 1(1), 19-33.
  9. 김현자 (2007). P.E.T.와 현실요법을 접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의사소통기술과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4(2), 95-121.
  10. 노영천, 유순화 (2009). 초등자녀의 어머니를 위한 낙관성 증진 프로그램이 어머니와 자녀의 낙관성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0(4), 2055-2073.
  11. 류수민, 이연선, 이소민, 정계숙 (2014).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태 비교에 관한 질적 연구: 생태, 레지오, 몬테소리, 국공립 유아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34, 365-397.
  12. 박상완 (2008).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13. 박상희 (2007). 독서치료적 접근에 의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부모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2), 1-31.
  14. 박현숙, 구현영 (2010). 부모역할 핵심역량지원 프로그램이 청소년 학부모의 부모효능감,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9(4), 411-419.
  15. 박효정, 김민조, 김병찬, 홍창남, 김지민 (2010).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 연구: 학교컨설팅 체제 발전 모형 탐색과 학교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6. 박효정, 신철균, 박선환, 박호근, 김지민 (2011).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 연구(II): 학교경영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시범 운영 및 생활지도컨설턴트 양성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7. 방미란 (2013). 학교 교육과정 컨설턴트의 역량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배지희, 조미영, 봉진영, 김은혜 (201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부모교육 및 참여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과 기대. 유아교육연구, 31(3), 279-303.
  19. 소경희 (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20. 유연옥, 여혜련 (2004). 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언어통제유형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13(2), 315-327.
  21. 이민자, 김용미, 정명수 (2007). 가정통신문을 이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6(3), 191-203.
  22. 이복순, 김경희 (2011). 놀이명상 프로그램이 유아 어머니의 마음챙김과 정서안정 및 대인애착에 미치는 효과. 아동과 권리, 15(3), 431-454.
  23. 이원영, 이태영, 강정원 (2008). 영유아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서울: 북카페.
  24. 정계숙, 고은경, 박희경, 차지량 (2014).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2), 53-75.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53
  25.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박희경 (2013). 메타분석을 통한 유아기와 아동기 자녀 부모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365-387.
  26. 정계숙, 유미숙, 차지량, 최은아, 박희경, 김지연 (2014). 액션러닝 기반 부모 역량 증진 실천공동체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유아와 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유아교육연구, 34(2), 501-531.
  27. 정계숙, 최은실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 참 역량 척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8(3), 225-257.
  28. 진동섭, 허은정, 이재덕, 김효정, 김정현, 신철균, 이동찬, 김시영 (2008).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 S대 중등교육연수원 사례를 중심으로: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교육행정학연구, 26(2), 229-257.
  29. 황해익, 조준오, 김병만 (2012). 보육컨설턴트의 역할과 자질 및 보육컨설팅 요구 영역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3), 187-208.
  30. Curiel, H. (2014). Parent group education to enable "Barrio" parents. Advances in Social Work, 15(1), 51-62.
  31. Doherty, W. J. (2000). Take back your kids: Confident parenting in turbulent times. South Bend, IN: Sorin Books.
  32. Gallessich, J. (1982). The profession and practice of consult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33. Gill, M., Jan, I., Nancy, R., Bryan, B., Charlotte, K., & Ruth, B. (2009). Are specialist registrars fully prepared for the role of consultant? Clinical Teacher, 6(2), 87-90. https://doi.org/10.1111/j.1743-498X.2009.00272.x
  34. Gomby, D. S., Culross, P. L., & Behrman, R. E. (1999). Home visiting: Recent program evaluations-Analysis and recommendations. The Future of Children, 9(1), 4-26. https://doi.org/10.2307/1602719
  35. Harrison, C., & Van Vliet, H. (2013). Learning together: An innovative parent education project to facilitate children's learning, wellbeing and resilience. International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4(1), 35-52.
  36. Jester, R. E., & Guinagh, B. J. (1983). The gordon parent education infant and toddler program. In the consortium for longitudinal studies(Ed.), As the twig is bent: Lasting effects of preschool programs. (pp. 103-13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7. Katz, K., Jarrett, M., El-Mohandes, A., Schneider, S., McNeely-Johnson, D., & Kiely, M. (2011). Effectiveness of combined home vosoting and group intervention for low income African American mothers: The pride in parenting program. Maternal & Child Health Journal, 15(1), 75-84. https://doi.org/10.1007/s10995-011-0858-x
  38. Kubr, M. (1996). Management consulting: A guide to the profession(3rd Ed.).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9. Roose, R. (2014). Parents supporting parents: Implementing a peer parent program for perinatal loss. In Association of Women's Health, Obstetric and Neonatal Nurses (June 14-18, 2014). https://awhonn.confex.com/awhonn/2014/webprogram/paper10539.html.
  40. To, S. M., Iu Kan, S. M., Tsoi, K. W., & Chan, T. S. (2013). A qualitative analysis of parents' perceived outcomes and experiences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adopting a transformative approach. Journal of Social Work Practice, 27(1), 79-94. https://doi.org/10.1080/02650533.2012.732046
  41. Unger, D. G., & Wandersman, L. P. (1988). A support program for adolescent mothers: Predictors of participation. In D. R. Powell(Ed.), Parent education as early childhood intervention: Emerging directions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pp. 105-130). Norwood, NJ: Ablex.

Cited by

  1. 가정-유아교육기관 간 파트너십 실태와 형성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과 바람: 따뜻한 교육공동체의 토대 vol.11, pp.3,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03
  2. Participation experience in the aesthetic group for the parents with young children based on Schiller’s Aesthetic theories : Focusing on mother’s reflection vol.37, pp.4, 2017,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