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 엄은나 (용인송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서동미 (경동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4.10.14
  • Accepted : 2015.02.03
  • Published : 2015.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pre service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s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of free play hou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reflective journals, metaphorizing, image drawings, and interview records made by 69 junior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participating in the practice of child car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meanings of free play perceived by the early childhood pre service teachers were summarized into 'an exciting festival,' 'a fenced playground,' and 'a journey for learning.' In addition, their perceptions on the roles of teachers in charge of free play hours were summarized into 'accompanying teacher,' 'leading teacher,' 'correcting teacher,' and 'encouraging teacher.' These results suggest the need of systematic education through pre service curriculums that help early childhood pre service teachers form a balanced view and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teachers' role performance.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에 참여한 학생 69명이 실습 중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및 은유하기와 이미지 그림,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가슴 설레는 축제', '울타리 있는 놀이터', '배움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함께 하는 교사', '끌어주는 교사', '바로잡아주는 교사', '북돋아주는 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직전교육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진 (2009). 어린이집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곽향림 (2009). 구성주의 관점에서 본 자유선택활동시간에서의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의 의미와 특성.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59-82.
  3. 곽향림, 안경숙 (2010). 교사 주도적 교수학습에 대한 반성적 제고: 교사와 유아의 삶의 관점에서. 유아교육연구, 30(2), 309-337.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2013). 3-5세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보건복지부.
  5. 권말순 (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나는 교사의 놀이개입 분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수정 (2002).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대한 교사의 역할 및 갈등요인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수정, 홍용희 (2004).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 및 역할수행의 갈등. 교육인류학연구, 7(2), 137-169.
  8. 김순환, 남옥선, 박선혜 (2014). 인성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조사-3,4학년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9(1), 363-391.
  9. 김영천 (2006). 질적 연구 방법론. 서울: 문음사.
  10. 김은심, 서동미, 엄은나, 이경민, 강정원, 김정미 (2013). 유아교사를 위한 교직실무. 서울: 학지사.
  11. 나은숙 (2005). 유아에게 자유선택활동이 지니는 의미.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나은숙, 양옥승 (2007).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13. 류진순 (2007). 유치원교실에서의 교사 개입에 관한 연구: 자유선택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박선희 (2014). 유아교육기관의 실내자유선택활동 운영실태 및 교사의 인식.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성희, 이옥임, 이혜경, 엄은나 (2006). 교사의 유아행동지도전략에 대한 예비교사의 반성적 사고: 교육실습을 통한 저널쓰기 내용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0(2), 53-74.
  16. 박은혜 (1999). 유아교사교육에서 저널쓰기 활용에 대한 고찰. 한국교사교육, 16(2), 195-216.
  17. 박은혜 (2009). 유아교사론(3판). 서울: 창지사.
  18. 박현경 (2010). 어린이집 영아반 자유선택활동 운영 및 교사의 역할수행 실태.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서민희 (2002).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서민희, 안선희 (2001).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생활과학논집, 5(1), 71-77.
  21.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1995).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동설.
  22. 서현선 (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영상자료를 활용한 심층 면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서현아, 권말순 (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놀이개입 유형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2(2), 227-248.
  24. 서혜정, 김은영 (2012). 자유선택활동시간에 교사역할을 찾아가는 현장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5), 163-188.
  25. 손유진 (2011). 자유놀이에서 유아들이 생각하는 선생님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1(1), 271-288.
  26. 신에드 (2013). 실내자유선택활동에서의 보육교사 역할수행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신은미 (2005). 유치원 교육과정에서 교사의 힘/지식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심현옥 (2007).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대한 교사의 목적의식과 역할수행.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양옥승 (2003).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적 의미. 유아교육연구, 23(3), 131-152.
  30. 양옥승, 나은숙 (2007).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유아들의 흥미. 유아교육연구, 27(1), 281-304.
  31. 양옥승, 이정란, 나은숙 (2002). 유아의 관점에서 본 자유놀이. 열린유아교육연구, 7(1), 143-165.
  32. 엄정애 (2007). 유아주도적인 놀이상황과 교사 주도적인 일 상황에서 인지적 협력구성 비교연구. 유아교육연구, 27(4), 161-185.
  33. 유지현 (2004). 실내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시과 운영실태: 대전광역시 유치원을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유혜령 (2002). 유아교육이론 해체하기: 비판적 접근. 서울: 창지사.
  35. 윤은영, 이정수 (2008).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및 운영실태. 아동복지연구, 6(2), 19-41.
  36. 윤향미, 장영희 (2013).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유아교육연구, 33(4), 267-289.
  37. 이경화, 이현옥 (1998).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나타난 교사의 실제 교수 행위 분석. 성결대학교 교수논문집, 27, 217-231.
  38. 이숙재 (2007). 유아놀이의 이론과 실제(3판). 서울: 창지사.
  39. 이영애 (2009). 자유놀이 및 집단 활동 상황과 유아의 사회지능에 따른 인지적 행동과 정의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영자, 이기숙, 이정욱 (2001). 유아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41. 이은영, 전유영 (2013). 은유를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들의 수학교육을 위한 교사 역할에 대한 신념. 유아교육학논집, 17(6), 379-400.
  42. 이은화, 배소연, 조부경 (2000). 유아교사론. 서울: 양서원.
  43. 이정선 (2005).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 방안. 교육인류학연구, 8(2), 211-239.
  44. 이정숙 (2000). 어린이집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이정환 (1993). 유아교육의 교수학습방법. 서울: 교문사.
  46. 임효신, 나종혜 (2011). 보육과정에서의 자유놀이 현황과 교사의 놀이인식. 대한가정학회지, 49(2), 27-36. https://doi.org/10.6115/khea.2011.49.2.027
  47. 조운주 (2007). 유아교사와 유아가 인식한 유아교사의 이미지 이해. 한국유아교육학회 2007년 정기학술대회, 601-627.
  48. 조형숙 (2013). 유아와 자유선택활동. 한국유아교육협회 제48회 교사연수자료집, 9-24,
  49. 최남정, 오정희 (2010). 유아교실에서 발생하는 몰입과 미적 경험: 자유선택활동시간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0(1), 173-196.
  50. 최현주, 최연철 (2013). 만4세 자유선택놀이에서 나타나는 또래문화의 특성.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41-262.
  51. 추수진 (2008).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에서의 놀이의 자유: 자유의 제한과 자유의 실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Ambery, M, E. (1997). Time for Franklin. Young Children, 52(4), 70-71.
  53. Burbules, N, C., & Torres, C, A. (2000). Globalization and Education: Critical perspectives. NY: Routledge.
  54. Burman, E. (1994). Deconstructing developmental psychology. NY: Routledge.
  55. Enz, B., & Chridtie, J. (1997). Teacher play interaction styles: Effects on play behavior and relationships with teacher training and exper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55-75.
  56. Graue, M. E., & Walsh, D. J. (1998).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 ethic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57. Johnson, James E, Christie, James F, & Yawkey, Thomas D. (1999). Play and early childhood development(2nded). NY: Longman.
  58. Leavitt, R, L. (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59. Marshall, H. H. (1990). Metaphor as an instructional tool in encouraging student teacher reflection. Theory into Practice, 29(2), 128-132. https://doi.org/10.1080/00405849009543443
  60.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perception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https://doi.org/10.1080/00220670209598798
  61. Petersen, E, A. (1997). Free-choice time is a must. Children and Families, 16(3), 10-12.
  62. Ryan, S., & Ochsner, M. (1999). Traditional practices, new possibilities: Transforming dominant im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24(4), 14-19.
  63. Wing, L, A. (1995). Play is not the work of the child: Young Children's perception of work and pla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 223-347. https://doi.org/10.1016/0885-2006(95)90005-5

Cited by

  1. 유아의 자유선택활동과 놀이 인원수 제한규칙 vol.12, pp.1,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7
  2. 자유선택활동 관련 학술지 연구의 동향분석 vol.14, pp.5,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8.14.05.085
  3. 유치원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전문성의 관계: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20, pp.1, 2015, https://doi.org/10.5762/kais.2019.20.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