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현욱.박경민(2012). 도시와 농촌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한국노년학, 32(1), 129-143.
- 김미령(2006). 전기.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8(2), 192-222.
- 김수현.강현정.김윤정(2008). 농어촌 여성독거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3(1), 51-71.
- 김영주(2009). 농촌노인의 우울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46, 77-104.
- 김오남(2003).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2), 5-22.
- 김윤정.안정선.강인(2008). 생태학적 관점에서 본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23-42.
- 김은정.이신영(2012). 농촌노인의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사회적 지원과 우울성향-도시 노인과의 비교.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8(2), 149-176.
- 김현숙.유수정.한규량(2002). 지역사회 여성 노인의 인지기능, 신체적 기능,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지지와 우울간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4(2), 163-175.
- 김형수(2002). 한국노인의 자살생각과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2(1), 159-172.
- 남기민.정은경(2011). 여성독거노인들이 인지한 사회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52, 325-348.
- 농촌진흥청(2014). 농촌 고령자의 일상생활 실태조사. 전주 : 농촌진흥청
- 림금란.김희경.안정선(2011).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 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 사회적 활동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1(1), 33-47.
- 박경순.박영란.염유식(2015). 성인자녀와의 사회적 지원 교환이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68, 273-301.
- 배지연.김원형.윤경아(2005).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년학, 25(3), 59-73.
- 변호순(2005). 미신고 복지시설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대한 다층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보건복지가족부(2009). 200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서경현.김영숙(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9(1), 115-137.
- 손신영(2006). 농촌노인과 도시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 순석준.신준호.신희영.정은경.범민선.권순석(2000). 농촌지역 노인의 우울수준과 관련요인. 한국농촌의학회지, 25(1), 85-98.
- 신경인(2009).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신은숙.조영채(2012).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3(1), 201-210. https://doi.org/10.5762/KAIS.2012.13.1.201
- 신혜종.박명숙(2011). 농촌노인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50(2), 115-141.
- 양순미.임춘식(2006). 농촌노인들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우울의 효과. 노인복지연구, 32, 377-398.
- 양순미.임춘식.오윤자(2007). 농촌노인의 우울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6, 139-158.
- 오영희(2015). 노인의 건강실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5, 29-39.
- 유양경.고성희.김귀분.정승희(2004). 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16(1), 102-110.
- 이수애.김경미(2002). 농촌노인의 우울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2(1), 209-226.
- 이윤경(2014). 노인의 가족형태 변화에 따른 정책과제: 1994-2011년의 변화. 보건복지포럼, 2014-5, 45-54.
- 장수군(2015). 인구통계. http://www.jangsu.go.kr/index.jangsu.
- 정경희(2015). 노인부부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15-4, 58-68.
- 정경희.오영희.황남희.권중돈.박보미 (2014). 노인단독가구의 생활현황과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정순둘(2007).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31(4), 1229-1246.
- 정영미(2007). 여성노인의 우울에 따른 건강상태 및 우울관련 요인. 한국노년학, 27(1), 71-86.
- 조완규(1994). 농촌노인의 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농촌사회, 4, 73-96.
- 조유향(2002). 농촌노인의 고독감, 우울과 사회적 지지와와의 관계. 한국농촌의학회지, 27(1), 87-98.
- 조항석.이혜리.유계준.오병훈.양성희 (1998). 한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과 관련된 요인. 노인병, 2(1), 89-102.
- 주애란.박상하(2004). 농촌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의 관계. 노인간호학회지, 6(1), 27-37.
- 차준태.지용석(2004). 규칙적인 운동이 노인의 심혈관계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3(5), 331-340.
- 통계청(2014). 2014 고령자통계. 대전 : 통계청.
- 통계청(2015). 2015 고령자통계. 대전 : 통계청.
- 하은호.이영휘(2004). 무료양로시설노인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6(1), 47-54.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2). 2011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4). 2014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홍성희(2015). 여성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9(2), 1-26.
- 홍순영.최석영(1996). 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5(6), 1055-1061.
- 홍순혜(1999). 노인에 대한 가족의지지-가족원 유형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39, 322-349.
- 홍양자.강승애(1998). 노인여성들의 운동지속이 신체적 기능과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2(1), 48-55.
- Koyano, W., Shibata, H., Nakazato, K., Haga, H., & Syunyama, Y.(1987). Measurement of competence in the elderly living at home: Development of an index of competence. Japanese Journal of Public Health, 34(3), 109-114
- Norbeck, J. S., Lindsey, A. M., & Carrieri, V. L.(1981).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support. Nursing Research, 30(5), 264-269.
- Rao, R., Dening, T., Brayne, C., & Huppert, F. A..(1997). Suicidal thinking in community residents over eight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2, 337-343.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199703)12:3<337::AID-GPS498>3.0.CO;2-T
- Revicki, D., & Mitchell, J.(1990). Strain,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in rural elderly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y, 45, 267-274. https://doi.org/10.1093/geronj/45.6.S267
- Weinstein, M., Glei, D. A., Yamazaki, A., & Chang, M. C.(2004). The role of intergenerational relations in 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tressors and depressive symptoms. Research on Aging, 26(5), 511-530. https://doi.org/10.1177/01640275042664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