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 Age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by Income Levels

중장년층의 소득계층별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 Jung, Joow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
  • Cho, So Ye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Dongguk University(Gyoungju))
  • 정주원 (동국대학교 가정교육학과) ;
  • 조소연 (동국대학교(경주) 가정교육학과)
  • Received : 2015.09.20
  • Accepted : 2015.11.18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It also examines and compares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among the middle-aged at various income levels. The data source for this study was the third additional wave and the fourth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723 middle-aged (age 50-64) individuals. The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the chi-square 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ld age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old age preparations (physical, emotional, social, financial) and life satisfaction show meaningful relationships among the income levels. Third, old age preparation was found to have different meaningful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among the income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verify the degre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age preparation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t impact factors relating to old age preparation for life satisfaction among the income levels.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2005).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 간경제자원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3. 국민연금공단(2010). 국민노후보장패널 : 3차 부가조사. 국민연금공단.
  4. 국민연금공단(2011). 국민노후보장패널 : 4차본 조사. 국민연금공단.
  5. 권석만.민병배(2005).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 학지사.
  6.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2), 62-76.
  7. 김경미.류승아.최인철(2011). 삶의 의미가 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0(2), 503-523.
  8. 김동배.정규형.이은진(2012).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3), 895-910.
  9. 김미령(2013).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257-287.
  10. 김미혜(2010). 한국 노인의 생애주기별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697-715.
  11.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 95-111.
  12. 김용기.강성원.이동원.박준.문외솔.최홍(2010).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 삼성경제연구소.
  13. 김주성.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3), 97-119.
  14. 김주성.최수일(2010). 중.노년층의 라이프 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상담학회지, 39(1), 195-243.
  15. 김진구(2011). 가족형태가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1, 35-55.
  16. 김진영(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3), 127-153.
  17. 류상영.강석훈(1999). 중산층의 변화실태와 정책방향. 삼성경제연구소.
  18. 박용두(2015). 노인의 생산 활동과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0. 박창제(2011).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7(4), 1225-5866.
  21. 백은영(2011).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7(2), 357-383.
  22. 보건복지부(2012). 선제적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제 2차 새로마지 플랜 고령사회 보완계획 확정. 보건복지부.
  23.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2009).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25. 양민희(2009).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윤종주(1994). 노인과 사회참여 : 그 현황과 전망. 한국노년학, 14(1), 1225-1356.
  27. 이성림(2002). 가계의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지출 불평등. 대한가정학회지, 40(9), 143-159.
  28.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46, 72-80.
  29. 이승신(2012).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5(4), 43-61.
  30. 이은정.이은영(2002). 고소득층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의류상품구매행동 특성 : 서울 강남지역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2(7), 57-69.
  31.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32. 전귀연.배문조(2010). 성인기의 노후준비의 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24.
  33. 정순희(2015). 예비노인 자영업자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FP학회, 8(1), 31-52.
  34. 차승은.한경혜(2003). 직업, 가족 그리고 중년기 신체적 건강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5(2), 33-60.
  35. 최숙희.송선희(2014). 노인의 지혜가 삶의 만족도, 자아 존중감, 심리적 복지감, 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9-59.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49
  36. 최혜경(2000).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부양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10, 1598-1649.
  37. 최혜경(2011).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한 한국 노인들의 소비자 욕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2), 23-38.
  38. 최혜련(2012).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통계청(2013). 2013 고령자 통계. 통계청.
  40. 통계청(2014).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청.
  41.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2. 한수진(2004). 가계재무구조분석: 소득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3. 홍석태(2008).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4. Hoonyman, N. & Kiyak, H. A.(2005). Social gerontology :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Boston : Allyn & Bacon.
  45. House, J. S., Lepkowski, J. M., Kinney, A. M., Mero, R. P., Kessler, R. C. & Herzog, A. R.(1994).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213-234. https://doi.org/10.2307/2137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