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유진(2005). 노인의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분석. 공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고선강(2014).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 간경제자원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79-101.
- 국민연금공단(2010). 국민노후보장패널 : 3차 부가조사. 국민연금공단.
- 국민연금공단(2011). 국민노후보장패널 : 4차본 조사. 국민연금공단.
- 권석만.민병배(2005).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 학지사.
- 권중돈.조주연(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2), 62-76.
- 김경미.류승아.최인철(2011). 삶의 의미가 노년기 행복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청년기와 노년기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0(2), 503-523.
- 김동배.정규형.이은진(2012).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 한국노년학, 32(3), 895-910.
- 김미령(2013). 준고령자의 성공적 노화 구성요소의 삶의 만족도 영향 및 노후준비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257-287.
- 김미혜(2010). 한국 노인의 생애주기별 성공적인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2(2), 697-715.
- 김수봉(2010). 노인의 생활만족도 개선을 위한 사회정책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47, 95-111.
- 김용기.강성원.이동원.박준.문외솔.최홍(2010). 한국 중산층의 변화와 경제사회적 결과. 삼성경제연구소.
- 김주성.최수일(2010). 라이프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5(3), 97-119.
- 김주성.최수일(2010). 중.노년층의 라이프 스타일이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상담학회지, 39(1), 195-243.
- 김진구(2011). 가족형태가 노인의 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1, 35-55.
- 김진영(2007). 사회경제적 지위와 건강의 관계 : 연령에 따른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1(3), 127-153.
- 류상영.강석훈(1999). 중산층의 변화실태와 정책방향. 삼성경제연구소.
- 박용두(2015). 노인의 생산 활동과 노후준비가 성공적 노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남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 박창제(2011). 베이비부머의 노후를 대비한 사적 재무적 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보장연구, 27(4), 1225-5866.
- 백은영(2011). 베이비부머의 은퇴 준비와 준비 유형 결정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7(2), 357-383.
- 보건복지부(2012). 선제적 고령사회 대응을 위한 제 2차 새로마지 플랜 고령사회 보완계획 확정. 보건복지부.
- 신승희(2010).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안현선.김효민.안진경.김양희(2009). 중년기 여성의 노후준비도와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3), 137-155.
- 양민희(2009).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윤종주(1994). 노인과 사회참여 : 그 현황과 전망. 한국노년학, 14(1), 1225-1356.
- 이성림(2002). 가계의 소득계층별 사교육비 지출 불평등. 대한가정학회지, 40(9), 143-159.
- 이소정(2009). 우리나라 중장년층의 노후준비에 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보건복지포럼, 146, 72-80.
- 이승신(2012). 고령자의 노후준비에 따른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 소비문화연구, 15(4), 43-61.
- 이은정.이은영(2002). 고소득층 소비자의 쇼핑성향과 의류상품구매행동 특성 : 서울 강남지역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2(7), 57-69.
- 이정화(2009). 광주.전남 중년층의 노년기 인식과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노후준비 :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2), 275-289.
- 전귀연.배문조(2010). 성인기의 노후준비의 식과 노후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13-24.
- 정순희(2015). 예비노인 자영업자의 노후준비와 삶의 만족도 연구. 한국FP학회, 8(1), 31-52.
- 차승은.한경혜(2003). 직업, 가족 그리고 중년기 신체적 건강 : 남녀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5(2), 33-60.
- 최숙희.송선희(2014). 노인의 지혜가 삶의 만족도, 자아 존중감, 심리적 복지감, 자녀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2(12), 49-59. https://doi.org/10.14400/JDC.2014.12.12.49
- 최혜경(2000).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족부양의 방향. 노인복지연구, 10, 1598-1649.
- 최혜경(2011).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기대를 통한 한국 노인들의 소비자 욕구. 소비자정책교육연구, 7(2), 23-38.
- 최혜련(2012). 중장년층의 라이프스타일과 여가활동참여가 노후준비도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통계청(2013). 2013 고령자 통계. 통계청.
- 통계청(2014). 2014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청.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1). 베이비 부머의 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한수진(2004). 가계재무구조분석: 소득계층별 비교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홍석태(2008). 한국 중고령자의 노인교육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분석. 호서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Hoonyman, N. & Kiyak, H. A.(2005). Social gerontology :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Boston : Allyn & Bacon.
- House, J. S., Lepkowski, J. M., Kinney, A. M., Mero, R. P., Kessler, R. C. & Herzog, A. R.(1994). The social stratification of aging and health.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5, 213-234. https://doi.org/10.2307/2137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