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cy Suggestions for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s for Improving Life Quality for the Elderly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1.17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discover the deciding factors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The 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as the quality of elderly persons. Personal and familial characteristics, and the community involvement of the elderly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encouraging the elderly to participate in a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gram was previous experienc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Second, health condition, residence in city areas,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and knowledge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However, living arrangements had an effect solely on elderly men, and home ownership and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had effects solely on elderly women. Third,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as affected differently by sex. Health condi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male elderly persons, whereas, the effective variable, the composition of the family had the most effect on female elderly persons. Thus, active campaigns through various mass media and information sessions are needed to promote participation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deciding factors. In particular infrastructure providing the elderly with more volunteer work opportunity needs to be built for baby boomer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In addition, diversified senior employment programs are needed. Because the elderly living in city areas are more willing to participate in senior employment programs, specialized programs suitable for the elderly in city areas are needed. The government should also prepare programs that help the elderly stay healthy while they are working.

Keywords

References

  1. 고승덕.조숙행(1997).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인 추출. 한국노년학회지, 17(2), 17-36.
  2. 곽인숙(2011). 예비노인과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1), 107-120. https://doi.org/10.6115/khea.2011.49.1.107
  3. 곽인숙.홍성희(2013). 베이비부머의 노후생활설계 인식과 준비도: 전.후기집단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47-172.
  4. 권구영.최정민(2007).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경험과 삶의 질 간의 관계-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51-77.
  5. 권치영.김선웅.임중철.이홍직(2007). 일자리 참여가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2), 427-443.
  6. 김미혜(2000). 고령자 취업 적합 직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문제연구소.
  7. 김병덕.이석호(2011). 고령화 진전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금융연구원.
  8. 김소향.이신숙(200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여부에 따른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9(1), 309-327.
  9. 김수영.이민홍.장수지(2014).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심리사회적 건강 변화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64, 371-393.
  10. 김수원.한애리.이소정(2012). 퇴직전문인력의 사회공헌일자리 활용 활성화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김애련(2001). 노인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김제선.김선웅(2014).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한 베이비부머의 일 지속성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3(2), 73-88.
  13. 김진욱.손지윤(2009).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도와 참여지속의사에 관한 연구 : 공공분야 노인일자리 사업 참여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4), 1295-1311.
  14. 김효정(2008). 일자리사업 참여 노인의 인식과 만족에 따른 생활변화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남기철(2012). 시장형 노인일자리사업의 발전 방향과 쟁점. 제 20차 노인일자리 전문가포럼 자료집, 1-28.
  16. 남기철.이문국.조성은.강성추.조준행 (2008). 노인일자리사업 중장기 발전전략. 한국노인인력개발원.
  17. 박영미.김병규(2015).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논집, 27(1), 243-264.
  18. 백선숙(2005). 여성독거노인의 삶의 질 모형 구축.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보건복지부(2014). 2014 OECD 건강정보 통계.
  20. 보건복지부(2014). 노인일자리사업 종합안내.
  21. 손화희(2014).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인식 및 자원봉사 태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한국가족복지학, 19(4), 715-729.
  22. 신성일.김영희(2013). 노인의 삶의 질에 관련된 변인들의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4(6), 3673-3690.
  23. 이동호(2011). 노인들의 질환별 유병여부와 건강관련 삶의 질 구조모형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 216-224.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16
  24. 이소정(2013).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노인의 사회관계에 미치는 효과 분석. 노인복지연구, 59, 331-354.
  25. 이지영.성도경(2014). 노인고용서비스 전달체계 효과성이 노인일자리사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농간의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28(2), 69-92.
  26. 정명숙(2007).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노인복지연구, 37, 249-274.
  27. 정순둘.이은주(2005). 자원봉사활동 특성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면 접촉과 비대면 접촉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5(4), 219-233.
  28. 지은구(2009). 노인일자리사업 정착을 위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 사회과학논총, 28(1), 357-410.
  29. 초의수.강수영(2008).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의 자아존중감.자기효능감 영향요인에 한연구-부산지역 노인복지기관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16(3), 15-35.
  30. 통계청(2013). 고령자 통계.
  31. 하경분.주민경(2013). 농촌노인의 일자리사업 참여실태와 만족도 및 요구도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0(4), 1149-1179.
  32. 하세윤.이현미(2013). 2013년 노인일자리사업 실태조사. 한국노인인력개발원.
  33. 한석태(2008). 노인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객관적 변수와 주관적 변수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42(3), 441-461.
  34. 홍석관(2005).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과 비참여 노인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비교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