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인자.김혜연(2005). 제주도 초등학교 학생의 생활시간사용 및 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9(4), 1-19.
- 김경근(2000). 가족내 사회적 자본과 아동의 학업성취. 교육사회학연구, 10(1), 21-40.
- 김연수(2008). 어머니의 학습관여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학업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영지.김경준.김지혜.이민희.유설희.최윤호(2013). 한국 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III. 세종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김외숙.Geistfeld, L.(2005).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시간관리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논문집, 40, 487-500.
- 김종운.최미숙(2011). 중,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습관여와 학습동기 및 학습전략의 관계. 상담학연구, 12(5), 1645-1661.
- 남경애.고선강(2008). 청소년의 시간관리행동과 생활만족도 : 인문계고, 특성화고, 평생교육시설 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103-117.
- 문은식.김충회(2003). 부모의 학습지원행동과 초.중학생의 학업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2), 271-288.
- 박경애.김택호(1994). 청소년시간 및 정신에너지관리. 서울 : 청소년 대화의 광장.
- 박민자.손문금(2007).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와 관련된 생활시간사용에 미치는 영향. 가족과 문화, 19(2), 93-120.
- 박은정.김외숙(2008). 중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변수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 41-55.
- 변수용.김경근(2008). 부모의 교육적 관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가정배경의 영향을 중심으로. 교육사회학 연구, 18(1), 39-66.
- 선혜연.황매향.정애경(2011). 부모의 관여가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효능감과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교육연구, 12(1), 21-43.
- 송유진(2013). 부모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의 생활시간 비교. 가족과 문화, 25(3), 31-53.
- 오현진.정지윤(2006). 초등학생의 시간관리 능력에 따른 자기효능감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3), 101-112.
- 윤용옥.김외숙(2007). 대학생의 시간관리 : 관련변수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5(6), 71-82.
- 이영환.황신해(2013). 부모의 교육적 관여와 아동의 학교생활 만족도가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과 권리, 17(3), 417-435.
- 이원휘(2000). 고등학생의 시간관리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은주.장미(2014). I. 청소년의 생활시간추이 분석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V. 기초분석보고서, 세종 :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 조성연(2003). 부모양육방식과 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청소년 인터넷 사용시간. 청소년복지연구, 5(2), 47-59.
- 조한익(2011).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습관여가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8(4), 241-259.
- 明石要一(2009). 序章 子どもの生活時間 をどう考えるか放課後の生活時間調査報告書-小.中.高校生を対象に, Benesse教育研究開発センター, 10-12.
- Benesse教育研究開発センター(2009).放課後の生活時間調査報告書-小.中.高校生を対象に-, (株)ベネッセコーポレーション.
- 内閣府(2007). 平成19年版国民生活白書つながり築く豊かな国民生活. http://www5.cao.go.jp/seikatsu/whitepaper/h19/10_pdf//07sh_0102_2.pdf.
- 内閣府(2013). 平成25年版子ども.若者白書. http://www8.cao.go.jp/youth/whitepaper/h25honpen/b1_06_01.html
- 橋本良明(2010). 中学生のメディア利用と親子関係. 子ども研究, 16, 20-22.
- 小杉真由美.堀田法子(2008). 中学生.高校生の生活習慣に影響を及ぼす要因の研究-生徒のセルフコントロール.保護者の養育態度からー. 小児保健研究, 67(5), 754-762.
- 松田かおり.真鍋えみ子.園田悦(2007). 母親と4歳児の睡眠の実態. 京都府立大学看護紀要, 16, 47-50.
- 野澤亜伊子(2009).第3章 生活時間の実態と意識にみる中1ギャップ放課後の生活 時間調査報告書-小.中.高校生を対象に, Benesse教育研究開発センター, 35-44.
- 佐藤香(2009).自由時間の使い方にみる男女の違い放課後の生活時間調査報告書-小.中.高校生を対象に, Benesse教育研究開発センター, 25-34.
- 山本聡子.堀田法子(2013). 幼児の就寝時刻の規則性に影響する要因. 小児保健研究, 72(5), 706-712.
- Velde, S-J., Horst, K., Oenema, A., Timperio, A., Crawford, D. & Brug, J.(2011). Parental and home influences on adolescents' tv viewing: A mediation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Pediatric Obesity, 6(2), 364-372. https://doi.org/10.3109/17477166.2010.490264
- Wolf, S., Aber, J. L. & Morris, P. A. (2015). Patterns of time use among low-income urban minority adolescents and associations with academic outcomes and problems behavior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44(6), 1208-1225. https://doi.org/10.1007/s10964-015-0294-0
- Zutphen, M. V., Bell, A. C., Kremer, P. J. & Swinburn, B. A.(2007). Association between the family environment and television viewing in Australian children. Journal of Paediatrics and Child Health, 43(6), 458-463. https://doi.org/10.1111/j.1440-1754.2007.01111.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