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and of happiness: focused on working women with preschool-aged children

일-가정 균형감과 행복도 : 영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취업여성을 중심으로

  • SONG, Hyerim (Dept. Child and Family Welfare, Univ. of Ulsan)
  • 송혜림 (울산대학교 아동가정복지학과)
  • Received : 2015.07.01
  • Accepted : 2015.08.22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and the happiness of married working women who have preschool-aged children. Data were collected from 321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three parts: 1) basic demographic variables, 2) family-life variables, and 3) working-life variables. SPSS 21.0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variables that were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were income, age of first child, time spent on housework and childcare on weekdays, time spent on housework on weekends, family-friendly service in the workplace and flexibility of work schedule. 2) The variables that were identifi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appiness were age, income, time spent on housework on weekends, satisfaction with spouse's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childcare, average working time, family-fiendly service in the workplace, flexibility of work schedule, and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The majority of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and happiness related to aspects of work, such as family-fiendly service, flexibility of work schedules, and average working time. The results also found that the load of housework and childcare on weekends is a heavy burden for working women. Further research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the extending index of happiness including the measure of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n addition, further studies with more varied groups need to be conducted.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숙.오평석(2011). 직장여성의 여가활동참여 동기요인과 여가활동특성이 행복수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26(5). 495-513
  2. 강혜숙.한학진(2012). 여가유형과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여성 여가만족 및 행복수준 관계분석. 호텔관광연구 14(2). 234-252
  3. 관계부처합동(2014). UN 세계행복보고서(2012년 4월), 2012년 4월 - 관계부처합동(2014), 제 1차 사회보장기본계획 2쪽 재인용).
  4. 구교준.임재영.최슬기(2014). 소득과 삶의 역량에 따른 행복 결정요인 연구. 한국행정학보 48(2).
  5. 김경식.이루지(2011). 한국인의 여가활동과 여가만족 및 행복: 국가통계자료 이용.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1). 424-433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424
  6. 김기범.전경숙.차영란(2006). 한국 중년여성의 삶과 행복 : 한국 중년여성의 사회적 역할과 삶의 행복.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 논문집. 206-207
  7. 김동식.김영택.정진주.최인선(2013). 맞벌이 여성의 근로시간이 일.가정 양립 갈등과 건강영향 연구 : 근로시간을 중심으로.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8. 김민경(2013). 다문화가족 남편의 정신건강, 레질리언스와 행복에 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0(5).
  9. 김종길.김광석.백유성(2009). BWF의 선행요인과 조직효과성의 관계. 2009년 경영관련학회 통합 학술발표대회 자료집.18-19.
  10. 김주현.문영주(2010). 맞벌이 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결혼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강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2). 109-126 317-339
  11. 남순현(2009). 중년기 기혼여성의 성과 일에 대한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16). 199-222
  12. 박영신.김의철(2009). 한국 성인 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4(3). 467-495
  13. 서정희.허은정(2013). SPSS 21.0을 활용한 생활과학 통계분석. 울산대학교 출판부
  14. 송혜림(2010). 일/가정 양립 정책의 이론적 배경. 변신원 <일과 가정의 양립 정책 교육 프로그램> 자료집.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15. 송혜림(2012a). 일과 생활의 조화 : 정책에서 생활로. 대한가정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6. 송혜림(2012b). 남성의 일-가정 양립 실태와 요구도. 한국가족자원경여학회지 16(2). 1-18
  17. 송혜림(201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정 균형 실태 : 초등학교 저학년생 자녀를 둔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3). 41-59
  18. 송혜림.이승미(2015). 행복체감형 정책과 가정관리학의 과제. 한국가정관리학회 201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자료집
  19. 송혜림.조영희.정영금.고선강.김유경(2010). 일.가정 양립을 위한 자녀돌봄 요구 및 정책개발 연구. 여성가족부 위탁연구과제 보고서.
  20. 안상윤(2013). 북한이탈주민의 정착지원정책연구 : 지원제도, 거버넌스와 행복지수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1. 여성가족부(2010). 제 2차 가족실태조사.
  22. 우창빈(2013). 행복을 추구하는 행복정책은 가능한가?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행정논총 51(2).
  23. 윤대혁(2008). 맞벌이부부의 가정-직장 균형과 여가활동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15(1). 87-109.
  24. 윤소영.김혜진(2013). 맞벌이 기혼남성의 일-가정 균형의 주관적 인식 및 갈등정도와 가정의 건강성 인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2). 19-35
  25. 이규호.한경혜(2012). 맞벌이 부부의 일상활동 정서와 행복,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6(4). 87-104
  26. 이문진.황선환(2014). 여가시간이 증가하면 행복은?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38(2). 29-38
  27. 이선경.이춘우.김상순(2014). 일-가정 갈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연근무제 만족도를 중심으로-. <인적자원관리연구> 21(5), 245-262
  28. 이승미.구혜령(2013). 자녀양육기 기혼취업 여성의 일-가정 상호작용 유형과 유형별 특성. 한국생활과학회지. 22권(4호). pp.575-591 https://doi.org/10.5934/kjhe.2013.22.4.575
  29. 이재림.손서희(2013). 미취학 자녀를 둔 맞벌이 여성의 일-가족 갈등 : 직장 및 자녀양육 관련 자원과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8(1). 93-114
  30. 이주일.유경(2010). 직장-가정 갈등의 세대차이와 직장-가정 갈등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직장여성의 경우. 한국심리학회지(산업 및 조직) 23(3). 471-501.
  31. 임미령.김대욱(2014). 유아기 자녀를 둔 산업단지 근로자의 일-가족 갈등과 근무환경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8(4). 371-388
  32. 정영금(2005).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여파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4). 113-122
  33. 정영금(2007).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균형감과 지원용이도/요구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2). 107-118
  34. 정영금(2008). 가족자원경영학적 관점에서 본 일-가정 균형 정책에 대한 평가와 방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1-14.
  35. 정영금(2011). 가족친화사회를 위한 일과 가정의 균형. 도서출판 인스
  36. 정은의(2007),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 여성 행복간 관계: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26), 59-82
  37. 정은의.노안영(2007). 사회경제적 요인과 기혼여성 행복 간 관계 : 개별성-관계성의 조절효과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일반) 26(1). 59-82
  38. 조희금(1999). 취업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직업 및 생활만족도-생산직과 사무직 여성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37(2). 145-158
  39. 최영민(2010), 결혼행복감의 결정요인 분석: 소득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29. 85-114
  40. 한경혜.장미나(2011). 일상재구성법을 통해 살펴본 영.유아자녀를 둔 기혼여성들의 행복감. 한국가족복지학회 16(4). 5-27
  41.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3). 'KRIVET Issue Brief' 제48호 "직장인의 성공에 대한 인식과 시사점". 3월 31일(월)
  42. 한영주.박지아.손난희(2013). 기혼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의 관계. 한국상담학회 14(2). 1443-1468.
  43. 허청라.구재선.서은국(2014). 기본적 욕구충족 이후의 행복 : 사회적 욕구의 중요성.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28(2). 59-75
  44. 홍주연.윤미(2013). 중년여성의 영성이 행복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8(1). 219-2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