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 향상과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the Teaching of Mathematics with Sage

  • Park, Kyung-E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 Lee, Sang-Gu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 투고 : 2014.10.31
  • 심사 : 2014.12.16
  • 발행 : 2015.02.15

초록

최근 주요 산업 분야에서 인간 사고와 컴퓨터 능력의 통합을 의미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해 왔다. 이에 따라 선진국은 지난 20여년간 수학교과의 수학적 추론, 수학적 문제 해결, 수학적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 CAS(Computation Algebra System)를 활용하여 수학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자연스럽게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력'을 향상시켜왔다. 이러한 변화에 발을 맞추어 우리나라의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교과서들도 다양한 CAS 도구에 대한 활용을 담아 '컴퓨팅 사고력'의 향상에 발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외 '컴퓨팅 사고력' 기반 교육 사례를 분석하고,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CAS 도구 특히 PC 및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Sage 도구를 이용한 수학교육 및 수학교과목 구성에 대하여 논한다. 또 구체적인 '컴퓨팅 사고력' 기반 수학교육 모델을 설계하여 대학 수학교육현장에 활용한 내용의 보고를 통하여, 향후 수학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다.

Recently in major industrial areas, there has been a rapidly increasing demand for 'Computational Thinking', which is integrated with a computer's ability to think as a human world. Developed countries in the last 20 years naturally have been improv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s a way to solve math problems with CAS in the areas of mathematical reasoning,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Also, textbooks reflected in the 2009 curriculum contain the applications of various CAS tools and focus on the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ases of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and discuss the mathematical content that uses the CAS tools including Sage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Also, we show examples of program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teaching Calculus in univers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현.김태영 (2014). CT 기반 초등 영재를 위한 융합형 교육내용 구성 방안,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1), 53-57. (Kim, J. H. & Kim, T. Y. (2014). Convergence CT-based educational content for the Gifted Elementary Composition Strategie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1), 53-57.)
  2. 류희찬.이지요 (1993). 수학교육에서의 시각화의 중요성과 LOGO, 수학교육학연구, 3(1), 75-85. (Lew, H. C. & Lee, J. Y. (1993). Visualization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LOGO,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3(1). 75-85.)
  3. 이상구.신준국, 김경원 (2014). 스토리텔링 수학 교과서에서 공학적 도구의 활용과 미분적분학 단원에 관한 개발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8(1), 65-79. (Lee, S. G., Shin, J. K. & Kim, K. W. (2014). A Case Study of Perceptions on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s with Computer Algebra System,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8(1), 65-79.) https://doi.org/10.7468/jksmee.2014.28.1.65
  4. 이상구.장지은.김경원 (2013). Sage와 GeoGebra를 이용한 선형대수학 개념의 Visual - Dynamic 자료 개발과 활용,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논문집>, 27(1), 113-123. (Lee, S. G., Jang, J. E. & Kim, K. W. (2013). Visualization of Linear Algebra concepts with Sage and GeoGebra,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7(1), 113-123.)
  5. 이은경 (2013). 계산적 사고향상을 위한 창의적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학습,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1), 1-9. (Lee, E. K. (2013).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nstruction : Creative Programming Learning with Scratch for Enhancing Computational Think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6(1), 1-9.)
  6. 한국과학창의재단 (2013). 초.중등 단계 Computational Thinking 도입을 위한 기초연구, 공고 제2013-087호. (Kofac (2013). Basic Research for the introduc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tages. 2013-087).) Retrieved from http://pms.kofac.re.kr/com/FileDown.do?atchFileId=FILE_000000000010130&fileSn=5.
  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6).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평가 패러다임 전환', 경제 인문사회연구회 미래사회협동연구총서 "창조경제 구현방안 연구", 일련번호: 13-01-2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6). 'Education for happiness, Curriculum for producing creative talent, Paradigm shift in evaluation',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Cooperative Research Series: 13-01-22.) Retrieved from http://www.nrcs.re.kr/webmodule/homeboard?act=download&year=2013&file_seq=4240.
  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7). '미래 사회 대비 국가 수준 교육과정 방향 탐색 - 수학 (교육부 정책과제)', 교육부.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3, 7). National Standard of Curriculum Research - Mathematics, Ministry of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prism.go.kr/homepage/researchCommon/downloadResearchAttachFile.do;jsessionid=13E6A9707F950EC33CAC87941AAC103A.node02?work_key=001&file_type=CPR&seq_no=001&pdf_conv_yn=N&research_id=1342000-201300035.
  9. Kim, K. W., Lee, S. G. & Sun, S. W. (2013). Modeling of Mobile Sage and Graphing Calculator, Journal of Modern Education Review, 3(12), 918-925.
  10. Lang, V., Lee, S. G. & Lee, J. Y. (2014). A Mobile, Open-Source 2D and 3D Printing Graphic Greation CAS Tool of Mathematics Courses, Journal of US-China Education Review A, 4(8), 569-580.
  11. Peppler, K. (2013). STEAM-Powered Computing Education: Using E-Textiles to Integrate the Arts and STEM, IEEE Computer, 46(9), 38-43.
  12.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Retrieved from https://www.cs.cmu.edu/afs/cs/usr/wing/www/publications/Wing06.pdf.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피인용 문헌

  1. '선형대수학'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강의 모델 설계 및 적용 vol.30, pp.1, 2015, https://doi.org/10.7468/jksmee.2016.30.1.1
  2. 디지털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선형대수학을 중심으로 vol.31, pp.4, 2017, https://doi.org/10.7468/jksmee.2017.31.4.3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