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A Needs Assessment for Developing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 투고 : 2015.09.15
  • 심사 : 2015.11.22
  • 발행 : 2015.12.31

초록

본 연구는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하여 음악영재들의 요구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영재교육기관에서 음악영재교육을 수혜하고 있는 음악영재 103명을 대상으로 음악영재교육과정의 요소 즉, 교육 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그리고 음악영재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환경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했다. 요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음악영재 교육목표 중 '자기의 느낌을 표현함으로써 관객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요구도가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생의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항목에서 필요수준과 현재수준 간의 차이가 컸다. 교육내용에서 '클래스 피아노'와 '부전공실기', '음악 현장체험'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에 비해 '부전공 실기'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교육방법에서 음악영재들은 '학습자의 자율적 선택과 흥미를 추구하는 수업'과 '현장 수업'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교육평가에서는'학생들 서로에 대한 상호평가'와 '그룹별로 협동해서 공동의 작품이나 연주에 대한 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다. 그리고 음악영재들은 '실기실/실습실(연습실)'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특히 고등학생들은 실기실뿐 아니라 '공연장'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음악영재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이러한 점들을 충분히 반영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musically gifted students'needs in order to develop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103 musically gifted students who are being educated in institutes for the gifted. The survey asked the needs about components of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the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strategies, evaluation as well as educational environment influencing on the curriculum. As for the objectives, the result showed the highest needs was the ability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by expressing one's feeling.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a large number item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ecessary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s for the contents, the highest needs were the class piano, second instrument, and the experience of the musical field. High school students needed the second instrument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did. As for the teaching strategies, the highest needs were the autonomous choice by learners, the instruction pursuing learners' interests, and the field work. As for the evaluation, the highest needs were the peer evaluation and the evaluation on the collaborative performance or team work. As for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gifted in music strongly needed spaces to practice instruments. Additionally, high school students needed a space to perform like a concert hall. Thus the gifted curriculum in music must be thoroughly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abov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경자 (2000). 학교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2. 김성혜 (2012). 음악영재교육과정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음악이론연구, 19, 140-178.
  3. 김성혜, 이경진 (2015). 숙의에 의한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33(2), 129-155.
  4. 김춘미 외 (2006). 예술영재교육 발전 방안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5. 원영실 (2013). 예술영재성의 의미와 특성: 음악, 전통예술, 발레 분과를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3(6), 919-945. https://doi.org/10.9722/JGTE.2013.23.6.919
  6. 이경진, 최진영, 최나영 (2013). 예술영재학교의 전공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조사. 서울: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7. 이경진, 최진영, 최나영 (2014). 음악영재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교과목표 및 교과목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5), 807-827.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07
  8. 이근호, 곽영순, 이승미, 최정순 (2012). 미래 사회 대비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국가 교육과정 구상.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이미경 (2010). 교육청 중심 음악영재 교육과정의 현황. 음악교육연구, 39, 157-182.
  10. 이미경, 강병직 (2010).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이성호 (2004).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서울: 학지사.
  12. 정진원 (2008). 음악재능의 이해와 발견. 예술교육연구, 6(2), 73-83.
  13. 정진원 (2011). 음악영재교육과정 모형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반에 관한 연구. 음악교육연구, 40(1), 1-31.
  14. 정진원 (2012). 음악영재성의 체계적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모형연구. 한국초등교육, 23(1), 269-291.
  15. 조대연, 박용호, 김벼리, 김희영 (2010). 학교장의 직무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93-315.
  16. 조성기 (2011). 미래사회를 위한 초 . 중등학생의 음악 역량 연구. 음악교육공학, 12, 1-15.
  17. 조형정 외 (2011). 예술영재 전문교육기관 및 교과과정 설립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8. 한수연 외 (2006). 예술영재교육과정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9. Berrie, P. J. (1976). Needs assessment. Ankeny, Iowa: Area II Education Agency.
  20. Borich, G. (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21.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 New York: Basic Books.
  22. Haroutounian, J. (2002). Kindling the spark: recognizing and developing musical talen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3.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VanTassel-Baska, J., & Stambaugh, T. (2007). 최신영재교육과정론. [강현석 외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본출간년도: 2006).
  25. Winner, E., & Martino, G. (1993). Giftedness in the Visual Arts and Music. In K. Heller, F. Monks, & A. 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lent. Oxford; New York: Pergamon Press.
  26. Royal Academy of Music, Junior Academy (n.d.). Retrieved from 2014. 5. 13, www.ram.ac.uk/jram
  27. Julliard Pre-College (n.d.). Retrieved from 2014. 5. 13, www.juilliard.edu/youth-adult-programs/juilliard-pre-college
  28. Yehudi Menuhin School. (n.d.). Academic. Retrieved from 2014. 4. 20, http://www.yehudimenuhinschool.co.uk/school/academ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