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 투고 : 2015.09.18
  • 심사 : 2015.12.16
  • 발행 : 2015.12.31

초록

우리나라 영재교육은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된 이 후 최근 10여 년 동안 많은 성장을 이루었으나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질적인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상의 문제점과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마련에 대한 영재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수-학습 자료 부족과 지역별 영재아동들의 수준 차이, 학년 및 학교급간 프로그램의 중복성을 영재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대부분의 영재교사들은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의 필요성에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마련되면 중복되었던 교육 내용 및 방법이 차별성 있게 운영될 수 있고, 프로그램 주제 선정에 대한 어려움이 해소될 수 있으며, 다양한 측면의 영재교육 프로그램 확보로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이 높아 질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 중 고의 영재교육 연계성 부족의 문제가 해결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학교급별 영재교육 내용의 중복성과 연계성 부족의 문제를 해결하여 영재교육의 질적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국가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이 조속히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gifted Education has been grown up a lot although it has several problems in terms of the quality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s after legislated the Promo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Law during the last ten-year period.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and the problems in managing of the gifted education program.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analyzed that gifted teachers recognize the lack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regional level difference of the gifted children, Redundancy of program in the grade and school levels in managing of the gifted education as the problems. Second,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most gifted teachers about necessity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was very positive. Also, it has shown that gifted teachers expect the education with the overlapped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would be managed differently, the difficulty of the topic selection could be resolved, and the quality of the gifted education by the programs development of various aspects would be increased. Especially, gifted teachers expect that the problem from the lack of gifted education continuity of school levels could be resolved by development of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Therefore, for the improving quality of gifted education with resolving the problem from the Contents Redundancy and the lack of gifted education continuity of school levels, the national standards gifted education program should be studied developed as soon as possi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13).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2. 교육인적자원부 (2002).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08-2012).
  4. 김미숙, 이정규, 이희권, 김언주, 맹희주, 이상천, 정경아, 최호진, 한수연 (2007). 제1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 평가 및 중장기 전망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상미 (2014). 초등수학 영재학급의 운영 실태 및 프로그램 분석. 석사학위논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6. 김소연, 이신동 (2009). 국가수준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개발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8(3), 63-88.
  7. 박경빈, 류지영, 박인호, 방승진, 육근철, 윤여홍, 이미순, 이선영, 이재호, 전미란, 전영석,조석희, 진석언 공저 (2014). 한눈에 보는 영재교육. 서울; 학지사
  8.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 (2000).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10(1), 75-104.
  9. 박후휘 (2014). 표준 영재교육 프로그램(GPS) 체제에 대한 교원의 인식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대학원.
  10. 송인섭, 이신동, 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편역 (2001). 영재교육의 이론과 방법. 서울: 학문사.
  11. 양태연, 한기순, 이정훈, 박인호, 김일 (2013). 영재교육 교재 적합도 및 교육내용 분석. 과학영재교육, 5(1), 1-14.
  12. 이미순 (2009). 수월성 지향을 위한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 NAGC 유아-유치-12학년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준에 대한 주석. 서울: 박학사.
  13. 이정화 (2008). 초등영재교육 운영기준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이정희 (2011). 수학 영재 교육프로그램의 초.중등 연계성 및 만족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5. 이해명 (1999). 과학영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영재교육연구, 9(1), 37-62.
  16. 정문호 (2008). 과학영재교육원 교육프로그램 평가기준 개발. 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교육대학원.
  17. 조정일, 이종백, 김인수, 박종원, 윤석태, 주동기, 임형석 (1998). 과학영재교육의 목표와 실제-전남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프로그램. 영재교육연구, 8(2), 175-190.
  18. 한기순 (2006). 국내 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영재와 영재교육, 5(1), 109-129.
  19. 한기순, 김희정 (2010).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탐색. 영재교육연구, 20(1), 289-316.
  20. Maker, C. J. (1982).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Gifted. Rockville, MD: Asp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