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거환경의 삶의 질 향상을 고려하는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 지표 제안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Indicator of Social Sustainability Considering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in Residential Environment

  • 장수정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 남경숙 (한양대학교 실내건축디자인학과)
  • 투고 : 2015.08.31
  • 심사 : 2015.11.09
  • 발행 : 2015.12.31

초록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approach social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that have been studied thus far in community-oriented research in a broader perspective, with the aim to induce evaluation indicators for social sustainability of a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is oriented for enhancement of the residents' life quality. First, evaluation system of social sustainabi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s divided into 6 areas that include regionality, diversity, fairness, satisfaction of diverse needs, social exchange, and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A subdivision was also introduced to account for evaluation properties by area. Second, regarding measurement of life quality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the scope of evaluation was divided into residential environment dimension, resident dimension, and management dimension which can incorporate both objective evaluation and subjective evalu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it involves both physical environment and socio-psychological elements. Third, evaluation indicators by area were collected based on an analysis of preceding studies. For the purpose, a total of 193 indicators were extracted, including 28 items of regionality area, 26 items of diversity area, 28 items of fairness area, 58 items of satisfaction of diverse needs, 34 items of social exchange area, and 19 items of participation and decision making area. The kind of evaluation indicators have meaning in that it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tool of social sustainability that can be applied universally from the planning stage. It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enhancement of life quality and promotion of social values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Harper, Charles L., 정대연 역, (지속가능한 지구를 위한) 환경 사회학, 파주, 한울, 2010
  2. 국토해양부,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 2010
  3. 권상우. 재정비촉진 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및 지표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08
  4. 김묘정, 지속가능성의 함의를 고려한 주거지 계획특성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9, 4, 2008
  5. 김인순․진정, 지속가능한 개발로서 주거환경개선지구 내 주거 지계획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18, 3, 2007
  6. 김인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도시주거환경개선계획에 관한 연구: 전주시 주거환경개선사업 지구를 중심으로, 전북대 박사논문, 2008
  7. 서기영․임상인, 전통주거지에 내재된 지속가능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0, 9, 2004
  8. 송은아,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교육공간에 나타난 사회적 지속 가능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 박사논문, 2013
  9. 송은아․김문덕, 헤르만 헤르츠버거의 건축에 나타난 사회적 지속가능한 디자인 관점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0, 3, 2011
  10. 신화경․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요성과 평가 지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 2, 2013
  11. 오준호, 주거지의 사회적 지속성을 위한 커뮤니티 활성화 계획 요소: 광주광역시 택지개발지구를 중심으로, 전남대 석사논문, 2013
  12. 이강희․황은경, 건물의 지속가능성 평가항목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8, 4, 2002
  13. 이규인, 지속가능한 정주지 실현을 위한 계획목표 설정연구, 국토계획, 36, 6, 2001
  14. 임연수․최재필, '사회적 소통'을 위한 아파트단지 공용공간의 계획목표 및 전략 도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 3, 2011
  15. 임연수, 사회적 소통을 위한 국내 아파트 단지 옥외 공용공간 계획 방향, 서울대 박사논문, 2010
  16. 장아름, 주거지 재생사업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모니터링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2014
  17. 조성희․강나나, 공동주택의 건강성능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2, 1, 2011.
  18. 조인숙․신화경, 공동주택 계획을 위한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평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1, 1, 2010
  19. 조인숙.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상명대 박사논문, 2014
  20. Littig, Beate,․Erich Griessler, Social Sustainability: a catchword between political pragmatism and social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8, 1, 2005
  21. Hodgson, Nicole, Social Sustainability Assessment Framework, Sustainability, Assessment Symposium: Progressing Practice in Western Australia, 2008
  22. Weingaertner, Carina․Asa Moberg, Exploring Social Sustainability: learning from perspectives on urban development and companies and products, Sustainable Development, 22, 2, 2014
  23. http://integral-sustainability.net/wp-content/uploads/sas4-2-hodgson.pdf
  24. http://www.wacoss.org.au/Libraries/State_Election_2013_Documents/WACOSS_Model_of_Social_Sustainability.sflb.ash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