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윤매옥,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성인의 죽음 불안, 영적 안녕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13-521, 2009.
- K. Hegedus, A. Zana, and G. Szabo, "Effect of End of Life Education on Medical Students' and Health Care Workers' Death Attitude," Palliative Medicine, Vol.22, No.3, pp.264-269, 2008. https://doi.org/10.1177/0269216307086520
- 임송자, 송선희, "죽음에 대한 태도가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43-25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43
- 신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간호학생의 생의 의미, 죽음 불안 및 임종간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제22권, 제3호, pp.65-74, 2011. https://doi.org/10.7231/JON.2011.22.3.065
- 김숙남, 최순옥,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01-110,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101
- 조혜진, 김은심, "죽음교육프로그램이 간호 대학생의 죽음불안과 임종간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8권, 제2호, pp.163-172, 2005.
- J. Swinton, "Promoting Healing Environments through Spiritual Care for Healthcare Professional and Patients," Health & Mission, Vol.17, pp.15-23, 2009.
- D. Nardi and L. Rooda, "Spirtuality based Nursing Practice by Nursing Students: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Vol.27, No.4, pp.255-263, 2011. https://doi.org/10.1016/j.profnurs.2011.03.006
- M. F. Chan, L. Y. Chung, A. S. Lee, W. K, Wong, G. S. Lee, C. Y. Lau, W. Z. Lau, T. T. Hung, M. L. Liu, and J. W. Ng, "Investigating Spiritual Care Perceptions and Practice Patterns in Hong Kong Nurses: Results of a Cluster Analysis," Nurse Education Today, Vol.26, No.2, pp.139-150, 2006. https://doi.org/10.1016/j.nedt.2005.08.006
- L. A. Chism and M. A. Magnan, "The Relationship of Nursing Students' Spiritual Care Perspectives to Their Expressions of Spiritual Empathy," Th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48, No.11, pp.597-605, 2009. https://doi.org/10.3928/01484834-20090716-05
- G. Gama, F. Barbosa, and M. Vieira, "Factors Influencing Nurses Attitudes toward Death,"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Vol.18, No.6, pp.267-273, 2012. https://doi.org/10.12968/ijpn.2012.18.6.267
- 정미자, 은영, "간호대학생의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간호과학회지, 제41권, 제5호, pp.673-683, 2011.
- J. Hoover, "The Personal and Professional Impact of Undertaking an Educational Module on Human Car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7, No.1, pp.79-86, 2002.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2.02051.x
- E. R. O'shea, M. Wallace, M. Q. Griffin, and J. J. Fitzpatrick, "The Effect of an Educational Session on Pediatric Nurses' Perspectives toward Providing Spiritual Care,"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Vol.26, No.1, pp.34-43, 2011. https://doi.org/10.1016/j.pedn.2009.07.009
- 강은실, 김영희, 이경리, "전인건강중재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172-2179,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172
- 이영은, 최은정, 박정숙, "호스피스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호스피스 지식과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제26권, 제2호, pp.280-288, 2012. https://doi.org/10.5932/JKPHN.2012.26.2.280
- 백설향, 이미애, 김인홍, "간호대학생의 죽음에 대한 의식 변화 연구-호스피스 간호 학습 전.후 비교," 기본간호학회지, 제8권, 제3호, pp.357-365, 2001.
- 김숙남, 김현주, 최순옥, "의미요법이 포함된 호스피스.완화 간호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임종간호 태도와 생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456-465, 2011.
- 이명화,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영성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65-274, 2004.
- 송재홍, "가르침과 배움의 여정으로서 자아성찰: 교과교육과 상담의 통합 가능성에 대한 검토와 제안," 교육종합연구, 제4권, 제2호, pp.1-25, 2006.
- 박소연, 김한별, "대학생의 저널쓰기를 통한 자아성찰 과정에서의 자아정체감 형성 경험 분석," 교양교육연구, 제6권, 제1호, pp.153-178, 2012.
- 김준희, "글쓰기의 치유 과정에 관한 연구," 한말연구, 제26권, pp.63-86, 2010.
- http://hospice.el.or.kr
- 비커밍연구소, 영화 속 죽음으로 삶을 그리다, 북스힐, 2009.
- 김은희, 이은주,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9권, 제1호, pp.1-9, 2009. https://doi.org/10.4040/jkan.2009.39.1.1
- J. W. Howden,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 오복자, 전희순, 소외숙,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연구," 종양간호학회지, 제1권, 제2호, pp.168-179, 2001.
- 박석춘, "한국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죽음의식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22권, 제1호, pp.68-80, 1992.
- J. A. Thorson and F. C. Powell, "Elements of Death Anxiety and Meanings of Deat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44, No.5, pp.691-701, 1988. https://doi.org/10.1002/1097-4679(198809)44:5<691::AID-JCLP2270440505>3.0.CO;2-D
- K. H. Frommelt, "Attitudes toward Care of The Terminally Ill: An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Americ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20, No.1, pp.13-22, 2003. https://doi.org/10.1177/104990910302000108
- 성기월, 조계화, "홀리스틱 교육방법을 통한 말기임종간호수업의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84-695, 2008.
- J. M. Kurz and E. R. Hayes, "End of Life Issues Action: Impact of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3, pp.1-13, 2006.
- N. E. Conner and V. W. Loerzel, and N. Uddin, "Nursing Student End-of-Life Care Attitudes After an Online Death and Dying Course,"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Nursing, Vol.16, No.6, pp.374-382, 2014. https://doi.org/10.1097/NJH.0000000000000080
- J. M. Kaye and G. Loscalzo, "Learning to Care for Dying Patients: a Controlled Longitudinal Study of a Death Education Course," Journal of Cancer Education, Vol.13, No.1, pp.52-57, 1998.
- 손은정, 유성경, 심혜원. "상담자의 자기성찰과 전문성 발달," 상담학 연구, 제4권, 제3호, pp.367-380, 2003.
- S. Jane, Patient and person: interpersonal skills in nursing(4th ed.), Elsevier Health Sciences, 2009.
Cited by
-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f End-of-life Care by ICU Nurses vol.25, pp.4, 2016,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