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eview on Applicability of Sustainable City Index - Focusing on GCI, EPI and CBI -

지속가능한 도시평가지표의 적용 가능성 검토 - GCI, EPI, CBI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5.11.04
  • Accepted : 2015.12.18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Korean Environmental Sustainable City Index (ESCI) so that local governments can examine and identify urban environment issues and then come up with a policy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urban biodiversity for cities. Green City Index (GC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EPI), and City Biodiversity Index (CBI) which have used worldwide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evaluation indicators of ESCI were finally a total of 20 indicators under four categories, which are native biodiversity, living environment, ecosystem services, and governance and management. Then, five cities with biotope mapping and evaluation index were selected to apply ESCI for evaluation. In order to apply ESCI, local governments need to accumulate basic data. There should be a policy which requires local governments to build data for biotope mapping so that the rate of natural area, ecological network and permeable land surface can be evaluated. Indicators must be applied to be compliant with scale of the city and level of data building gradually.

녹색도시지수(GCI), 환경성과지수(EPI), 도시생물다양성지수(CBI)는 환경적 측면에서 도시의 객관적 평가를 위해 국제적으로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인구밀도나 도시규모 등 도시의 특성이 다른 국내 상황에 이들을 직접 적용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의 환경개선과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하여 지자체 스스로 환경문제를 진단하고 문제점을 도출하여 환경정책으로 활용 가능한 한국형 도시평가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사용되는 국제지표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적 상황에 부합하는 지표를 도출하였다. 지표는 생물다양성, 생활환경, 생태계서비스, 행정 및 관리 4개 영역 20개 항목으로 구성된 한국형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지표(ESCI)'를 개발하였으며, 도시생태현황지도가 작성된 서울, 인천, 수원, 원주, 계룡 등 5개 도시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제시된 한국형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지표는 대도시의 경우 거의 모든 항목을 적용할 수 있었으나 중소도시는 일부만 적용할 수 있었다. 지표 적용을 모든 도시로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별로 통일된 도시생태 현황지도의 작성과 필요한 자료구축이 선행되어야하며, 도시규모 및 자료구축 수준에 따라 지표 항목을 점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경, 김희선. 2010. 지방자치단체 저탄소 녹색경쟁력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2(3), 175-200.
  2. 국립환경과학원. 1990.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 국립환경과학원, 1-177.
  3. 국립환경과학원. 1991.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I), 국립환경과학원, 1-160.
  4. 국립환경과학원. 1992. 환경지표의 종합체계화 기법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III), 국립환경과학원, 1-126.
  5. 국립환경과학원. 2013. 녹색도시의 건강성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1-35.
  6. 국립환경과학원. 2014. 한국형 지속가능한 도시의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I), 국립환경과학원, 1-47.
  7. 국토교통부. 2015. http://www.index.go.kr/ 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200, 통계청.
  8. 김명진, 최덕일, 장준기, 이재운. 1993. 환경상태의 평가를 위한 주민환경지표의 개발, 환경영향평가, 2(1), 31-38.
  9. 녹색성장위원회. 2012. 2012년 녹색성장 생생도시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녹색성장위원회, 1-271
  10. 도시환경연구센터. 2009. 부천고강 에코시티 시범사업 상세계획-저탄소녹색도시 만들기, 환경부, 107-129.
  11. 도시환경연구센터. 2010. 순천시 에코시티 시범사업 기본계획, 환경부, 107-129.
  12. 송건섭, 김영오, 권용현. 2008. 삶의 질에 관한 평가지표의 구성과 적용, 지방정부연구, 12(4), 225-247.
  13. 최수영. 2011. 녹색성장도시 모델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NETI-CITY모델 기법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3-177.
  14. 환경부. 2007. 도시 환경성 평가지표 연구, 환경부, 1-290.
  15. 환경부. 2010. 저탄소녹색도시 조성 가이드라인 및 평가지표 연구, 환경부, 1-191.
  16. 환경부. 2012. 그린시티 우수사례집, 환경부, 1-184
  17. 환경부. 2013. 도시생태현황지도의 작성방법에 관한 지침, 환경부, 1-40.
  18. Global Footprint Network. 2015. http://www.footprintnetwork.org/en/index.php/GFN/page/methodology/, Global Footprint Network.
  19. Laedre O, Haavaldsen T, Bohne RA, Kallaos J, Lohne J. 2015. Determining sustainability impact assessment indicators, Impact Assessment and Project Appraisal, 33(2), 98-107. https://doi.org/10.1080/14615517.2014.981037
  20. Liu XG, Zhang YM. 2008. An empirical analysis of ecological city evaluation index system, Proceedings of 2008 conference on regional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111-116.
  21. Projectzero. 2015. http://www.projectzero.dk/da-DK/TopPages/Om-ProjectZero.aspx, Projectzero.
  22. Puppim de Oliveira JA, Balaban O, Doll CNH, Moreno-Penaranda R, Gasparatos A, Iossifova. D, Suwa A. 2011. Cities and biodiversity: perspectives and governance challenges for implementing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at the city level, Biological Conservation, 144, 1302-1311. https://doi.org/10.1016/j.biocon.2010.12.007
  23.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CBD). 2012. User's manual for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1-25.
  24. Sherbinin A, Reuben A, Kevy MA, Johnson L. 2013. Indicators in practice: how environmental indicators are being used in policy and management contexts, Yale University, 1-38.
  25. Simens. 2009. European Green City Index,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36-39.
  26. Simens. 2011. Asian Green City Index, 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 32-35.

Cited by

  1. The City Ecological Soundness Index Development Based on the City Biodiversity Index (CBI) and Korean City Characteristics vol.25, pp.6, 2016, https://doi.org/10.14249/eia.2016.25.6.442
  2.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Both Biotope Maps and Land Cover Maps on the Calculation of the Ecological Network Indicator of City Biodiversity Index vol.44, pp.6, 2016, https://doi.org/10.9715/KILA.2016.44.6.073
  3. 국토계획과 환경계획 통합관리 지표 개발 연구 vol.21, pp.3, 2015, https://doi.org/10.13087/kosert.2018.21.3.27
  4. Using the City Biodiversity Index as a Method to Protect Biodiversity in Korean Cities vol.13, pp.20, 2015, https://doi.org/10.3390/su132011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