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in Poverty -The Meaning of Self-Sufficiency, Welfare Dependency, and Work-

빈곤 여성 한부모 자활 경험의 재구성 -자활, 복지의존, 일의 의미-

  • Received : 2015.10.01
  • Accepted : 2015.11.12
  • Published : 2015.11.30

Abstract

This qualitative study is designed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experience of single mothers in poverty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Welfare dependency is identified as vital help to protect their own and children's lives, through their stories telling that welfare services provided by government and community take care of them "in place of their husbands", and "raise them up by hand." What is self-sufficiency to them is more of a process-orientation through welfare dependency than a state out of it, and a way to look through building their self-esteem and working to discover their self-worth except their economic power. Restoring their potential to self-sufficiency through dealing with their psycho-social stresses and expanding services for them related to child-care(education) and occupation ability development for long-term self-sufficiency, rather than hasty focusing on welfare exit, should be built on the foundation of helping them self-sufficient. In order for the self-sufficiency program to overcome the participant's images of "subordination and stigma" and to convey the original meaning of "welfare to work", the performance and evaluation system of self-sufficiency programs that reflects the insider's perspectives on their participation motive and process, and the self-sufficiency program customized for their needs and interests should be encouraged to develop.

본 질적연구는 '아래로부터의 관점(bottom-up approach)'에 근거하여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 경험을 재구성하였다. 국가와 지역사회가 제공하는 복지가 "쓰러진 그들의 손을 잡아 일으켜 준", "남편 대신"이었다는 연구참여자들의 메시지를 통해 '복지의존'은 그들 스스로와 자녀의 삶을 지켜내는데 긴요한 도움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그들에게 자활이란 '복지의존으로부터 벗어난 상태'라기보다 '복지의존을 통해 이루어갈 수 있는 과정적 지향'이며, 경제력 외에도 자존감을 세우고 자신의 가치를 찾을 수 있는 일을 통해 찾아나갈 수 있는 길이다. 빈곤 여성 한부모의 자활을 돕기 위해서는 '일을 통한 탈수급'의 성급한 초점보다는 그들이 겪고 있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다루어 자활 잠재력을 복원하고 장기적 차원의 자활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직업 능력 개발과 자녀 보육 및 교육 지원 서비스의 확충이 선행되어야 한다. 한편 현재 자활 사업이 참여자들에게 비추어진 '종속과 낙인'의 이미지를 벗고 근로연계복지의 애초 의미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업 참여 동기와 과정에 대한 내부자관점을 반영하는 수행 및 평가시스템을 갖추고 그들의 욕구와 관심에 따른 맞춤형 자활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