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valuation of Usability and Radiation Dose Measurement Using Personal Radiation Exposure Dosimeter

방사선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한 피폭선량 측정 및 유용성 평가

  • 강인석 (인천기독병원 영상의학과) ;
  • 안성민 (가천대학교 방사선학과)
  • Received : 2014.07.18
  • Accepted : 2014.08.18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o propose a basis for the selection of personal dosimeters to measure radiation dose administration of radiation workers as a way to evaluate the usefulness dosimeter. For the dosimetry of the radiation workers 2012, during 1 year, 30 were radiation workers to measure personal dose. By personal exposure is measured cumulative dose, is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the TLD, PLD, OSLD. And comparing the measured value of each dosimeter dose and analyzed. Medical institutions, inspection work and quarterly confirmed the cumulative exposure dose of radiation workers. Using DAP and Ion-Chamber, to measure to compare TLD, PLD, OSLD dosimeter performance. A comparison of the directly through the X-ray dosimeter and The absolute value of the Ion-Chamber, OSLD more similar than in the TLD and PLD showed the dose values so the excellent ability to measure the results. Also in radiation generating area dose of radiation workers is higher than that in OSLD. Consequently, in terms of the individual exposure management OSLD is appropriated and beneficial than others.

선량계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여 개인피폭관리를 위한 선량계 선택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2년 1년간 방사선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피폭 누적선량을 측정하여 열형광선량계, 형광유리선량계,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DAP와 ion-chamber를 이용하여 세종류 개인피폭선량계의 선량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의료기관별, 검사업무별, 분기별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누적선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직접 X선조사를 통한 개인피폭선량계의 선량값과 ion-chamber의 절대값에서 광자극발광선량계가 열형광선량계나 형광유리선량계에 비해 더 유사한 선량값을 나타내 측정 능력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사선발생구역에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이 광자극발광선량계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B. S. Lim, "Radiation exposure dose on persons engaged in radiation -related industries in Ko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9, No.3, pp.185-195, 2006.
  2. H. R. Jung, C. H. Lim, and M. K. Lee, "A review of personal radiation dose per radiological technologists working at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8, No.2, pp.137-144, 2005.
  3.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 2011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2012
  4. 이해룡, "방사선종사자의 개인 피폭선량 측정", 국립보건원보, Vol.29, No.2, pp.460-466, 1992.
  5. 하호영, "진단방사선 영역에서 피폭선량감소를 위한 기술적 연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 Vol.15, No.1, pp.89-97, 1992.
  6. 진단용방사선안전관리규정, 2011. 식품의약품 안전평가원, 2011년도 의료기관 방사선관계종사자의 개인피폭선량 연보, 2012.
  7.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ation Protection. General Principles of Monitoring for Radiation Protection for Workers, ICRP Publication 35 Ann, ICRP, Vol.9, No.4, 1982.
  8. 권석근, 김용민, 김창규, 방사선관리학개론, 한국동위원소협회, 2012.
  9. 정운관, "필름배지 선량계에 의한 개인피폭선량 측정에 관한 연구", 방사선방어학회지, Vol.19, No.1, pp.41-58, 1994.
  10. 정홍량, 임청환, 이만구, "전국 종합병원 방사선사의 개인피폭선량에 대한 고찰", 방사선기술과학학회지, Vol.28, No.2, pp.137-144, 2005.
  11. 최재호, 강주군, 장서구, "DAP(Dose Area Product)를 이용한 TLD와 PLD의 선량 측정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3, pp.244-250, 2012.
  12. 강보선, 김가중, 김승국, 방사선계측학, 청구문화사, 2010
  13. 채건식, 김영국, 손인호, "열형광선량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신소재연구소 논문집, Vol.5, pp.143-151, 1995.
  14. C. Esquivel, M. S. Smith, and M. S. Sotirios Stathakis, In Vivo Dose Measurements for Total Body Irradiation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2009.
  15. C. Esquivel, M.S. Smith, and M.S. Sotirios Stathakis, "Total Skin Electron Therapy Skin Dose Validation Using Optically Stimulated Luminescent Dosimeters,"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ists in Medicine, 2009.
  16. 이왕희, 김성철, 안성민, "광자극발광선량계와 열형광선량계를 이용한 핵의학과 선량 측정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pp.329-334,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