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fferences in intergenerational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among income levels: Focusing on financial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life satisfaction

중년층의 소득계층별 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노후생활비 준비와 생활만족도

  • 고선강 (성신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4.07.01
  • Accepted : 2014.07.21
  • Published : 2014.08.31

Abstract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differences in intergenerational resource transfers among the middle-aged at various income levels. Analyses of data on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from the 2nd wave of the 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were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931 middle-aged individuals who had at least one living parent and one child. The data analysis methods were ${\chi}^2$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individuals. The empirical results reveal that the frequency of intergenerational financial transf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igh-income households than in middle- and low- income households. A comparison of high-, middle- and low-income households shows that financial resource transfe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preparation for later life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in middle-income households than in low- or high-income households.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dependent upon to whom middle-aged individuals gave financial resources. In the middle-income group, the middle-aged who gave financial resources to thei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ife satisfaction than those who did not. Receiving financial transfers from parents or children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in any income-level group.

Keywords

References

  1. 강성진.전형준(2005). 사적이전소득의 동기와 공적이전소득의 구축효과에 대한 연구. 공공경제, 10(1), 23-46.
  2. 강유진(2005). 한국 성인세대의 노후준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6(4), 159-174.
  3. 고선강(2005).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1), 187-195.
  4. 고선강(2008). 치매부모에 대한 성인자녀의 자원이전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2), 209-229.
  5. 고선강(2011). 중노년기 가정의 세대 간 자원 이전: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1), 157-175.
  6. 고선강(2012a).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에 대한 자원이전의 호혜성.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103-121.
  7. 고선강(2012b). 부모의 결혼자금 지원과 경제적 자원이전: 20-40대 기혼여성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6(3), 1-19.
  8. 고선강(2013). 중년기 가정의 자산과 3세대간 경제자원 이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4), 131-144.
  9. 국민연금연구원(2011). 국민노후보장패널 유저 가이드 Ver.3.6. 국민연금연구원.
  10. 김미령(2012). 연령과 성별에 따른 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차이분석. 한국노년학, 32(1), 145-161.
  11. 김순미.고선강(2012). 중년기 가정의 세대간 경제적 자원이전과 노후생활 준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2), 59-76.
  12. 김순미.박미려(2008). 중.고령자가구의 경제적 자원 교류유형 및 교류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5), 1-14.
  13. 김승권.김유경.김혜련.박종서.손창균.최영준.김연우.이가은.윤아름(2012a). 2012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4. 김승권.박종서.김유경.김연우.최영준.손창균.윤아름(2012b). 2012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 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5. 김양이.이채우(2008). 중년층의 노후준비 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55-82.
  16. 김영순(2013). 기혼 자녀를 둔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이전과 노후준비를 매개변인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김영순.고선강(2014). 중년기 부모와 기혼 자녀 간 상호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도구적 자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2), 143-162.
  18. 김윤정.최윤희(2004). 중년기 부부의 결혼만족도가 노후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24, 197-213.
  19. 김정석.김익기(2000). 세대 간 지원교환의 형태와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한국노년학, 20(2), 155-168.
  20. 김지경.송은경(2004). 부모와의 경제적 교류 여부 및 교류액의 결정 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5), 75-89.
  21. 김지경.송현주(2008). 결혼으로 분가한 자녀와 부모 간의 사적소득이전. 사회보장연구, 24(3), 77-98.
  22. 노현곤.김희규(2012). KB노후준비지수로 살펴본 한국인 노후준비 실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23. 문숙재.김지연.(2006). 소득계층에 따른 경제적 자원교류 결정 요인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329-329.
  24. 박미석.김미영(2012). 중년기 기혼남녀의 가정자원 수준 및 집단별 생활만족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3), 35-51.
  25. 박지수.박경란(2009). 중년후기 성인이 지각하는 여가제약 및 여가충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89-703.
  26.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7. 배희선(1998). 중.노년기 가계의 성인자녀에 대한 경제적 자원이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신화용.조병은(2001). 남편이 은퇴한 부부의 자원과 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39(1), 39-51.
  29. 이선형.최은희(2010). 안정적 노후준비 가계의 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4(4), 193-212.
  30. 이윤정.고선강(2011). 어머니와 성인 자녀간 자원이전: 경제적 자원과 돌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6), 137-151.
  31. 이은아(2007). 중년기 남성의 가족 및 직업관련 변인과 생활만족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6(3), 547-562.
  32. 이은희.김금운.한규석.주리애(2004). 노인의 안녕감에 미치는 생성감의 역할. 한국노년학, 24(3), 131-152.
  33. 이형실(2003). 농촌 노인의 세대 간 사회적 지원 교환과 생활만족: 성별 및 연령집단별 비교. 대한가정학회지, 41(4), 57-69
  34. 임소진.어성연(2011).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29-147.
  35. 정운영.이희숙(2010). 중고령자 가계의 주관적 노후대비충분 여부에 따른 부동산 자산구조과 영향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48(4), 1-12.
  36. 조경진.김순미(2012). 중년기 가계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적자본 투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6(4), 131-151.
  37. 조윤주(2008). 자원봉사를 하는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참여 노인의 생성감과 가족의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17(2), 191-205.
  38. 조추용.송미영.이근선(2009). 중년층의 노후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43, 135-156.
  39. 통계청(2012). 2012년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40. 통계청(2013). 2013년 사회조사보고서. 통계청.
  41. 하석철(2010). 부모 자녀 간 소득이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수혜자인 부모와 제공자인 자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4(2), 101-136.
  42. 한민아.한경혜(2004). 세대간 지원교환유형과 성인자녀의 심리적 복지감.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1), 135-152.
  43. 홍경준(2013). 닫힌 공동체로부터 열린 공동체로. 한국사회복지학, 65(2), 179-201.
  44. 홍성희.곽인숙(2006). 중년기 남녀 봉급생활자의 은퇴계획 비교 분석: 경제적 준비와 건강준비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1), 193-207.
  45. 홍성희.곽인숙(2014). 성인자녀의 지원교환이 중년부모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8(1), 70-91.
  46. 황남희.정주연(2009). 중고령자의 소득수준별 사적이전 비교분석. 2009년도 한국재정학회 추계정기학술대회, 1-22.
  47. Aubin, E. & McAdams, D.(1995). The relations of generative concern and generative action to personality traits, satisfaction/happiness with life, and ego development. Journal of Adult Development, 2(2), 99-112. https://doi.org/10.1007/BF02251258
  48. Erikson, E. H.(1963). Children and society. New York : Norton.
  49. Lachman, E.(2001). Handbook of Midlif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Inc : New Y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