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차이의 철학'과 '1950-70년대 아방가르드 건축'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hilosophy of Difference' and 'Avant-Garde Architecture in 1950s to 1970s'

  • 이상영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
  • 조한 (홍익대학교 건축대학)
  • 투고 : 2013.04.04
  • 심사 : 2014.01.21
  • 발행 : 2014.04.25

초록

The modern society have faced rapid transformation since the mid-1960s. In the center of such change, so-called Post-structuralists played an important role to promote new paradigm based upon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which toppled the long hold hegemony of the metaphysics based upon 'identity'. At the same time, Modern architecture also faced massive challenge from the new architectural trend which emphasized the concept of 'event', 'chance', 'relation', 'contingency', 'indeterminism', 'uncertainty', 'disjunction, and etc. Interestingly these series of concepts are also shared by the philosophers of 'difference' at the same time. So, this study is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and 'Avant-Garde architecture in 1950s to 1970s', which believed to play a pivotal role to transit from Modern architecture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First to examine the various aspects of 'difference' by Deleuze's 'Disjuctive Synthesis', Foucault's 'difference', and Derrida's 'diff$\acute{e}$rance', and next to delve into the concept and design of Team10, ARCHITGRAM, Metabolism, and Situationalsim, to discover how the 'Philosophy of difference' affected the architectural discourse and practice in the 'Avant-Garde architecture in 1950s to 1970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홍익대학교

참고문헌

  1. 민수홍, 아키그램, 실험적 건축, 홍 디자인, 2003
  2. 서동욱,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2004
  3. 이경찬, 인간, 건축, 도시의 만남을 위한 현대도시건축의 언어: Team10 primer, 태림문화사, 1991, p.58
  4. 이광래, 해체주의란 무엇인가?, 교보, 1992
  5. 이진경, 철학과 굴뚝청소부, 그린비, 1994
  6. 장용순, 현대건축의 철학적 모험1: 위상학, 미메시스, 2011
  7. 장용순, 현대 건축의 철학적 모험2: 은유와 생성, 미메시스, 2010
  8. 黑川紀章, 현대건축의 창조, 산업도서 출판공사
  9. Charles Jencks, 근대건축운동, 집문사, 1987
  10. Gilles Deleuze, 차이와 반복, 민음사, 2004
  11. Gilles Deleuze, 앙띠-오이디푸스, 민음사, 1994
  12. Gilles Deleuze, 푸코: Foucault, 중원문화, 2010
  13. 권제중, 아키그램 건축에서 나타나는 유기적 특징과 비유 기적 특징의 통합에 관연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9권 1호 통권68호, 2010, p.27
  14. 김영훈, 안도 타다오의 작품에 나타나는 수공간의 공생적 해석에 관한 연구: 쿠로카와 키쇼의 공생이론에 따른 안도타다오의 작품분석,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7권 9호 통 권115호, 2001
  15. 나화경, 이접개념의 건축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2호, 2002
  16. 류재호, 일본의 메타볼리즘 건축운동에 있어서 메타몰포시스개념의 철학적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08
  17. 박영호, 아키그램이 현대건축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부천 대학 논문집 제 23호, 2002
  18. 박치완, 데리다와 들뢰즈의 차이와 용수의 중도, 동서 철학연구 40호, 2006
  19. 사공일, 들뢰즈의 관점에서 본 푸코의 권력이미지, 한국시민윤리학회보 제23집 1호, 2010
  20. 이성백, 동일성 비판을 통해서 본 포스트 구조주의 사회비판, 시대와 철학 제16권 4호, 2005
  21. 이희봉, Team10의 CIAM 탈퇴가 오늘 우리에게 주는 역사적 교훈, 건축역사학회 제7권 3호 통권 16호, 1998
  22. 정혜욱, 데리다의 언어의 간극과 번역, 비평과 이론 제10권 1호, 2005
  23. 조한, 김덕재, 들뢰즈 철학과 SANAA 건축의 비표상적인 생태적 사유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6권 6호,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