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conomic growth, industrial structure, efficiency improvement, decarbonization of power sector and fuel substitution for the transition to low carbon society by 2050

2050년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경제성장, 산업구조, 효율개선, 전력 탈탄소화와 연료 대체의 효과

  • Received : 2014.08.25
  • Accepted : 2014.12.04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paper analyzed transition pathways toward a low carbon society in Korea to meet global $2^{\circ}C$ climate target. Lower economic growth, industrial structure change, enhance of energy demand management, decarbonization of power sector, and replacement of low carbon fuel could reduce greenhouse gas (GHG) emission from fuel combustion in 2050 by 67% against in 2011, or by 74% against in BAU (Business-As-Usual). Lower economic growth contributes to 13% of cumulative emission reduction relative to BAU, industrial structure change 9%, enhance of energy demand management 72%, decarbonization of power sector 5% and replacement of low carbon fuel 1% respectively. Final energy consumption in 2050 needs to be reduced to 50% relative to 2011, or to 41% relative to BAU. Nuclear, coal and renewable energy represent 31%, 40%, 2% respectively among electricity generation in 2011, but 38%, 2%, 32% in 2050. CCS represents 23% of total generation in 2050. Emission intensity of electricity in 2050 was decreased to 19% relative to 2011, or to 24% relative to BAU. Primary energy in 2050 was decreased to 64% compared to 2011, or to 44% compared to BAU. Final energy consumption, primary energy supply and GHG emission from fuel combustion from 1990 to 2011 increased by 176%, 197%, 146%. Radical change from historical trend is required to transit toward a low carbon society by 2050. Appropriate economic growth, structural change to non-energy intensive industries, energy technology research, development and deployment (RD&D) in terms of enhancement of energy efficiency and low carbon energy supply technologies, and fuel change to electricity and renewable energy are key instruments.

전 세계 $2^{\circ}C$ 기후변화 목표에 부합하기 위한, 한국의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 경로를 분석하였다. 경제 성장률의 감소, 산업구조 변화, 에너지수요관리 강화, 발전부문 탈탄소화, 저탄소 연료로의 대체를 통해 2050년까지 연료연소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1년 대비 67%, 기준 전망 대비 74% 감축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1~2050년 기간 기준 전망과 저탄소 사회 시나리오 간 연료연소 부문 온실가스 누적 감축량에서 경제 성장률의 감소, 산업구조 변화, 에너지수요관리 강화, 발전부문 탈탄소화, 저탄소 연료로의 대체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3%, 9%, 72%, 5%, 1%이었다. 2050년까지 최종에너지 소비는 2011년 대비 50%, 기준 전망 대비 59% 감축이 필요하다. 발전량 중에서 원자력, 석탄, 신재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각각 31%, 40%, 2%에서 2050년에 38%, 2%, 32%, CCS 23%로 바뀐다. 발전 부문에서 CCS와 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2050년 전력 배출원단위는 2011년 대비 81%, 기준 전망 대비 76% 감소하였다. 2050년에 1차 에너지는 2011년 대비 36% 감소, 기준 전망 대비 56% 감소하였다. 1990~2011년 동안 한국의 최종에너지 소비와 1차에너지, 연료연소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은 각각 176%, 197%, 146% 증가하였다. 2050년 저탄소 사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패턴에서 급격한 변화가 요구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한 경제와 산업구조의 변화, 에너지 수요 관리 및 저탄소 에너지 공급 기술 등 혁신적인 에너지 기술 개발과 보급, 전기와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소비 구조로의 전환 등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관계부처합동: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 (2014).
  2. 관계부처합동: 제2차 녹색성장 5개년 계획, (2014).
  3. 국토해양부: 대규모 $CO_2$ 저장소 지도 최초 발간 동서남해 해역별 저장 유망구조 확인, (2014).
  4. 노동운, 오인하: 저탄소 경제시스템 구축 전략 연구 - 상.하향식 통합모형 개발 및 저탄소 정책효과 분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5. 박년배, 유정화, 조미현, 윤성권, 전의찬: 저탄소 경로 모형을 활용한 2050년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 비교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8(5), 556-570, (2012).
  6.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기본계획 - 신재생에너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신재생에너지 분과 보고서), (2013).
  7.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 (2014).
  8.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에너지통계연보, (2013).
  9.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2013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보고서, (2014).
  10.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국가 온실가스 배출.흡수계수, (2014).
  11. 전력거래소: 전력통계정보시스템, https://epsiskpx.or.kr
  12. 지식경제부: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 (2013).
  13. 지식경제부, 에너지관리공단: 2012 신재생에너지 백서, (2012).
  14. 통계청: http://kostat.go.kr
  15.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16. 해양수산부: 대규모 $CO_2$ 지중저장소 국내 최초 확인, (2012).
  17. Council of Economic Advisers: The Cost of Delaying Action to Stem Climate Change, Executive Office of the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2014).
  18. Greenpeace and EREC: Energy [R]evolution: a sustainable energy outlook for South Korea, (2012).
  19. IEA: Energy Policies of IEA Countries - Germany (2013 Review), (2013).
  20. IEA: Energy Technology Perspectives 2014 : Harnessing Electricity's Potential, (2014).
  21. IEA: World Energy Outlook, (2014).
  22. IPCC: Summary for Policymakers, Climate Change 2013 : The Physical Science Basis, (2013).
  23. IPCC: Summary for Policymakers, Climate Change 2014 :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2014).
  24. Park, N.B., Lee, S.H., Han, J.Y., and Jeon, E.C.: Feasibility Analysis of Alternative Electricity Systems by 2030 in the Post-Fukushima Era,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8(1), 59-68, (2014). https://doi.org/10.5572/ajae.2014.8.1.059
  25. Park, N.B., Yun, S.J., Jeon, E.C.: An analysis of long-term scenarios for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in the Korean electricity sector, Energy Policy, 52, 288-296, (2013). https://doi.org/10.1016/j.enpol.2012.09.021
  26. SDSN and IDDRI: Pathways to Deep Decarbonization, (2014).
  27. Stern: Stern Review on the Economics of Climate Change,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