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ystemicity and Compatibility in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과학기술기본법의 체계성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개정방안

  • 윤종민 (충북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14.01.15
  • Accepted : 2014.01.20
  • Published : 2014.03.31

Abstract

Recently, as the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al domain is more increased and the creative economy becomes a important matter in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it is necessary that the improvement of legal system 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efficiently responding to paradigm shift into Innovation drive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Especially,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general and basic norm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s necessary to revise in systematic and substantial aspect in order to correspond with changed environment and current of the times.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was established in 2001 and revised several times, but substantial amendment reflecting the political facts as the need to demand was insufficient because it was revised only related with restructuring the government organization and changing the S&T Policy Coordinating Committee system. An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problems and complementary factors and suggest the improvement draft on The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According to study, the revision methodologies are following : first, the Chapter and Paragraph of the law should be restructured to improve the systemicity, next the comprehensiveness, effectiveness, connections with related special laws and compatibility of the law should be complemented by adding the new provision or amending the inadequate provision to improve the position and function as a general and basic norm.

최근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이 증대되는 한편 창조경제의 실현 등 혁신주도형 과학기술정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 관련 법제들의 체계적인 정비가 필요하다. 특히, 과학기술기본법은 국가과학기술정책 추진에 관한 기본규범이자 총괄규범으로서 이와 같은 시대 및 환경의 변화에 맞도록 그 체계와 내용을 발전적으로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현행 과학기술기본법은 2001년 1월 제정된 이후 수차례에 걸쳐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개정은 정부조직개편 및 과학기술정책 심의조정기구의 운영체계변화 등에 따른 것이 중심이 되었으며, 변화된 환경 및 시대적 요구에 따른 정책사항들을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데는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과학기술기본법이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적합한 정책총괄규범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개정 방안을 검토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행 과학기술기본법은 법체계적인 측면에서 기본법으로서의 위상에 걸맞도록 장 절 체계를 확대 재정비하고, 규율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규범내용의 포괄성, 규범집행의 실효성, 총괄규범으로서 개별법령과의 연계성 및 기본법으로서의 정합성이 확보되도록 관련 규정을 신설하거나 보강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 (2000), 과학기술기본법안 심사보고서, 서울: 대한민국국회.
  2. 미래창조과학부 (2013), 창조경제와 국민행복실현, 미래창조과학부 국회보고자료.
  3. 규제개혁위원회 (2013), 규제개혁백서, 서울: 규제개혁위원회.
  4. 김민호 (2010), 과학.기술정책.법제정합성연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5. 박영도 (1991), 입법이론연구(1), 서울: 법제연구원.
  6. 박영도 (2006), 기본법의 입법모델연구, 서울: 법제연구원.
  7. 박철규 (2007), 과학기술법령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과학기술부 소관법령을 중심으로 -,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백형기 (1998), "벤처기업활성화를 위한 입법적 방안", 기업법연구, 제3권, 한국기업법학회.
  9. 법제처 (1999), 대한민국 법제 50년사, 서울: 법제처.
  10. 손경한 (2010), "과학기술진흥법제의 체계적 고찰", 과학기술과 법, 창간호, 충북 청주: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1. 손경한 편저 (2010), 과학기술법, 서울: 진원사.
  12. 송종국.오준근.정상조 (1994), 과학기술관계 법제의 현황과 정비방안, 서울: 과학기술정책관리연구소.한국법제연구원.
  13. 양승우.이세준.최지선.이명화.김재경.정도채 (2012), 과학기술 법제 분석 및 개선방안, 서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4. 오미고지(성윤아 역) (1996), 과학기술입국의 길, 과학기술신서11,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5. 오준근 (2000), 과학기술기본법 제정에 대비한 과학기술 관련법령 정비방안, 연구보고 200-10,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16. 오준근 (2002), "과학기술행정법학의 정립방안에 관한 약간의 고찰", 경희법학, 37(1).
  17. 오준근 (2011), "과학기술기본법 개정에 따른 후속입법 방향", 공법연구, 39(3).
  18. 오준근외 (1999A),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대비한 과학기술기본법의 제정방안,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19. 오준근외 (1999B), 과학기술기본법(안) 입법의견분석 -과학기술기본법(안) 공청회에 대비하여 -,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0. 오준근외 (2000), 국가연구개발시스템구축과 법제정비,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21. 윤종민 (2006), "남북 과학기술기본법제 비교", 기술혁신학회지, 9(3).
  22. 윤종민 (2012A), "과학기술환경변화와 과학기술법제 개편방향", 기술혁신학회지, 15(4).
  23. 윤종민 (2012B), "첨단과학기술의 발전과 위험관리", 과학기술과법, 3(1), 충북 청주: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4. 윤종민 (2013), 로스쿨 법정보학원론, 서울: 진원사.
  25. 윤종민외 (2009), 국제공동연구 성과물관리 가이드라인 연구,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6. 윤종민외 (2012), 국제공동연구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연구,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27. 윤종민외 (2013), 시대흐름을 반영한 과학기술기본법 개정방안 연구, 서울: 미래창조과학부.
  28. 윤진효 (2003),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과학기술학연구, 3(1).
  29. 이경희 (2001), "과학기술기본법의 입법추진경위 및 주요쟁점", 과학기술법연구, 제7권.
  30. 이경희외 (2001), 과학기술법 제정사-한중일 교류를 중심으로 -, 서울: 세창출판사.
  31. 이경희외 (2005), 과학기술혁신 관련 법률의 조사.분석 및 효율적 법체제 운영방안 연구, 서울: 과학기술부.
  32. 이시우 (2004),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과 그 위험에 관한 헌법적 연구", 사회과학논총, 제11권.
  33. 이원근 (2013), "창조경제와 미래창조과학부의 당면과제", 이슈와 논점, 제672호
  34. 장교식 (200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토지공법연구, 제33호.
  35. 전호신 (1984), "신국제경제질서의 국제법적 연구 -국제경제헌장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서울: 대한국제법학회.
  36. 조현석 (2002), "우리나라 과학기술정책의 이념 : 국가.기업.시민사회", 과학기술학연구, 2(1).
  37. 한국법제연구원 (1999), 과학기술기본법(안) 입법의견분석 - 과학기술기본법(안) 공청회에 대비하여, 서울: 한국법제연구원.
  38. 한상돈 (2000), "중국의 '과학기술진보법'과 과학기술법체계", 과학기술법연구, 6(2).
  39. 홍준형 (2008), 법정책의 이론과 실제, 서울: 법문사.
  40. 법제처 세계법제정보센터, 中華人民共和國 科學技術進步法 (2013.5.2)
  41. 日本 科学技術基本法, 平成 七年十一月十五日 法律 第百三十号 (2013.11.29)
  42. UN (194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UDHR) : UN, GA-Resolution 217 A (III).
  43. UN (1963), Declaration on the Elimination of All Forms of Racial Discrimination, UN, GA-Resolution 1904 (XVIII).
  44. UN (1966), International Covenant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ICESCR) : UN, GA-Resolution 2200A (XXI).
  45. UN (1975), Declaration on the Use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in the Interests of Peace and for the Benefit of Mankind : UN, GA-Resolution 3384 (XXX).
  46. UN (1993), Vienna Declaration and Programme of Action, A/CONF. 157/23.
  47. UNEP (1992A), United Nations Conference on Environment & Development, Rio de Janeiro, Agenda 21, Brazil.
  48. UNEP (1992B),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UN, A/CONF.151/26 (Vol. I).
  49. UNESCO (1974), Recommendation on the Status of Scientific Researchers, i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Eighteenth Session.
  50. UNESCO (1978), Recommendation concerning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Statistic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 Twentieth Session.
  51. UNESCO (1989), Convention on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52. UNESCO (1997), Universal Declaration on the Human Genome and Human Rights, i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 Twenty-ninth Session.
  53. UNESCO (1999), Declaration on Science and the Use of Scientific Knowledge, World Conference on Science for the Twenty-first Century : A New Commitment.
  54. UNESCO (2003), International Declaration on Human Genetic Data, i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 32nd Session.
  55. UNESCO (2005), Universal Declaration on Bioethics and Human Rights, in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Paris : 33rd session.
  56. UNESCO (2013), Constitution of the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