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Wearing Practice of the White Costumes during King Jeongjo's Reign

정조연간의 백색복식(白色服飾) 착용풍습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4.08.15
  • Accepted : 2014.12.01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Historically, white clothes have been passed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as the symbol of the Korean people. This study was motivated after coming across a text written by Lee Ok(李鈺, 1760~1815), a writer during the Joseon dynasty. Lee wrote that "Koreans mostly wear blue clothes." This raised questions regarding the wearing practice of the white clothes at the time of King Jeongjo's reign(1776~1800), and led to further studies on the matter. The results show that discussions were held about changing the color of the government official's changui(氅衣) from white to blue. An order was also given replacing white boots with black boots. Therefore, it is supposed that blue clothes phenomenon was influenced from the blue changui policy. However, this change was temporary as later generations wore preferred white with the exception being women's skirts. Women preferred blue skirts to white skirts for a long period. Detailed analysis of the white changui showed that people were burdened by high dyeing costs, and this was a big factor as studies indicated a large gap in wealth disparity. In a society that put funeral and ancestral rites as one of its priorities, the white clothes could have been favored due to its multi-functional use. Also, the noblemen who set importance on Gija(箕子) Joseon connected white clothes custom to Gija. This connotes that the reason for wearing white clothes differed depending on the class. And as white clothes were widely worn, people developed different ways of wearing the clothes for aesthetic purposes.

Keywords

References

  1. 로드니 홀 편 (2004), 호주 사진작가의 눈을 통해서 본 한국 1904, 서울: 교보문고.호한재단, pp. 43-131
  2. 서울대학교박물관 편 (2004), 그들의 시선으로 본 근대, 서울: 눈빛, pp. 19-96
  3. 국립민속박물관 편 (2006), (1906-1907 한국.만주.사할린) 독일인 헤르만 산더의 여행, pp. 140-249.
  4. 최남선 (1946), 朝鮮常識問答, 서울: 東明社, p. 47. 第四風俗
  5. 하원호 (2001. 겨울), "흰옷과 상투", 내일을 여는 역사, pp. 32-35
  6. 송기호 (2009), 시집가고 장가가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pp.150-165. 흰옷과 치마저고리.
  7. 소황옥 (2000), 백의 복식 착용의 비교연구-한.중. 월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 18, pp. 75-84
  8. 김영인 (2006), 한국인의 백의풍속(白衣風俗)에 내재된 미의식, 복식, 56(7), pp. 1-17
  9. 서봉하 (2014), 한국에서 백의호상 현상이 고착된 배경에 관한 논의: 유창선의 백의고를 중심으로, 복식, 64(1), pp. 151-163.
  10. 陳壽撰, 裵松之注解(1975), (標點校勘) 三國志: 全,景仁文化社편, 서울: 景仁文化社, p. 841.
  11. 최공호 (2009), 흰옷의 색채인식과 근대의 백색담론-素白色한복의 민족 정체성 문제-, 전통의생활연구, 3, pp. 22-23
  12. 최지희, 홍나영 (2013), 이옥의 글에 나타난 18세기 조선시대 복식, 복식, 63(5), pp. 26-27.
  13. 영조실록, 2년(1726) 10월 8일(병인)
  14. 영조실록, 14년(1738) 8월 16일(병신)
  15. 영조실록, 43년(1767) 6월 27일(기미).
  16.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166.
  17.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51.
  18. 이중환 (2005), (국한문대역) 택리지, 이민수 역, 서울: 평화출판사, pp. 86-90.
  19. 李樹健(1995), 嶺南學派의 形成과 展開, 서울: 일조각, pp. 327-333.
  20. 이옥 (2009b), (완역) 이옥 전집 1, 실시학사 고전문 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342-345.
  21.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p. 109-110.
  22. 정조실록, 17년(1793) 10월 11일(신미).
  23. 최은수 (2004),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7-88.
  24.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8), 朝鮮時代肖像畵 II, p. 135.
  25. 조인수 (2013), 군자의 삶, 그림으로 배우다, 파주: 다섯수레, p. 34.
  26. 정조실록, 17년(1793) 10월 20일(경진).
  27. 홍석주, 鶴岡散筆. 卷之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8. 정조실록, 17년(1793) 11월 18일(정미).
  29. 유득공 외 (1986), 雪岫外史外二種, 이우성 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p. 127.
  30. 일성록, 정조 17년(1793) 10월 20일(경진).
  31. 숙종실록, 17년(1691) 3월 4일(경인).
  32. 이학규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290,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623.
  33.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358.
  34.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25.
  35.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147.
  36. 정조실록, 2년(1778) 5월 4일(계해).
  37. 승정원일기, 정조 2년(1778) 5월 4일(계해).
  38. 이유원 (2000), 임하필기 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13.
  39. 정조대왕 (2000), 홍재전서 1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20.
  40. 최지희, 홍나영 (2003), 기영회도 에 나타난 16세기 복식에 관한 연구: 남자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53(3), p. 125
  41. 이은주 (2005), 조선시대 백관의 時服과 常服제도 변천, 복식, 55(6), pp. 38-50.
  42. 박현정 (2012), 조선 후기 시복제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6(7), pp. 771-772.
  43. 이옥 (2009a), (완역) 이옥 전집 2, 실시학사 고전문학연구회 편역, 서울: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p. 51.
  44.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6.
  45. 이희경 (2011), (북학 또 하나의 보고서) 설수외사, 진재교 외 역,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p. 56.
  46. 오희복 (1990), 김려작품집에 대하여, 김려작품집, 평양: 문예출판사. p. 15
  47.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 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09.
  48. 김려 외 (1963), 풍요선집, 리용악.김상훈 역, 평양: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p. 386
  49.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417.
  50. 김려 (2007), 유배객, 세상을 알다-김려 산문선, 강혜선 역, 파주: 태학사, p. 106
  51. 김려 외 (2002),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89,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515.
  52. 삼성미술관 Leeum 편 (2011), 조선화원대전, p. 25.
  53. 국립중앙박물관 편 (2002), (朝鮮時代) 風俗畵, p. 92.
  54. 韓國民族美術硏究所편 (2000), 澗松文華 第59號, pp. 54-73
  55. 韓國民族美術硏究所편 (2002), 澗松文華 第62號, pp. 98-105.
  56. 이은주 (1994), 한국전통복색에서의 청색과 흑색-청색의 범주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1), p. 123.
  57. 숙종실록, 2년(1676) 11월 13일(신묘).
  58. 정조실록, 16년 6월 2일(기사)
  59. 정조실록, 16년 10월 14일(기묘)
  60. 정조실록, 18년 9월 30일(갑인) 등.
  61. 정조실록, 15년 4월 18일(임술)
  62. 정조실록, 18년 3월 29일(병진)
  63. 정조실록, 18년 7월 12일(정유) 등.
  64. 승정원일기, 영조 2년(1726) 11월 27일(을묘).
  65. 한원진 (1998),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01,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93.
  66. 숙종실록, 34년 10월 30일
  67. 박제가 (2013), (완역 정본) 북학의, 안대회 역, 파주: 돌베개, p. 193.
  68. 정조대왕 (2000), 홍재전서 16,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420-421.
  69. 영조실록, 43년 6월 27일(기미).
  70. 韓永愚(1982), 高麗-朝鮮前期의 箕子認識, 韓國文化, 3, pp. 19-20, 45-56.
  71. 유득공 외 (1986), 雪岫外史外二種, 이우성 편, 서울: 아세아문화사, pp. 127-128.
  72. 이덕무 (1980), 청장관전서 VI,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 125.
  73. "婦人漫評-힌옷" (1928. 1. 19), 동아일보, p. 3.
  74. "白衣廢止運動" (1929. 2. 8), 동아일보, p. 1.
  75. 유득공 외 (2000), (影印標點) 韓國文集叢刊260, 민족문화추진회 편,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pp. 106-108.
  76. 명종실록, 10년 11월 19일(경술).

Cited by

  1. A Study on the Memorial Dancing Costume Style at the Moonchang Festival,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ongsangnam-do vol.31, pp.4, 2020, https://doi.org/10.7856/kjcls.2020.31.4.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