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ressed Female Body as an Object for 'Gaze' in Korean Modern Figure Paintings

한국 근대 인물화에 나타난 응시대상으로서의 여성의 몸과 복식

  • Park, Seon-Ji (Dept. of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tudies of Arts, Sungkyunkwan University) ;
  • Yim, Eun-Hyuk (Dept. Fashion Design, Sungkyunkwan University)
  • 박선지 (성균관대학교 예술학협동과정) ;
  • 임은혁 (성균관대학교 의상학과)
  • Received : 2014.08.07
  • Accepted : 2014.11.17
  • Published : 2014.12.31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how the female body, as shown in Korean modern figure paintings, is expressed as an object for one's gaze and the meaning behind it. The study analyzed the entries displayed during the Joseon Arts Exhibitions from 1922 to 1944, for a total of 23 times. The exhibition entries are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sources in regards to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arts. This study examined the artistic works, which portrayed the female body as an object for gaze.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general background of modern society in Kore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body as an object for gaze, and empirical study was also performed to analyze the female body in modern figure paintings. This research reveals how the bodies of modern Korean women were seen under the structure of power. It is believed that the process of criticizing and complementing the bodies of Korean women, which was distorted by Japan, may lead to an objective analysis of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Korean female bodies.

Keywords

References

  1.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33.
  2.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p. 33-34.
  3. 김정선 (2014), 식민지 '官展'의 실현: 조선미술전람회 일본인 심사원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58, pp. 239-265.
  4. 유진환, 이창현 (2011),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한국언론정보학보, 54, pp. 5-31.
  5. 안현정 (2009), 일제강점기 시각매체와 조선미술전람회 연구: 근대의 시각주체와 규율권력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목수현 (2011), 조선미술전람회와 문명화의 선전, 사회와역사, 89, pp. 85-115.
  7. 라은아 (2009), 近代彩色人物畵硏究: 조선미술전람 회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박재연 (1993), 한국근대인물화 연구: 1920년대 鮮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경미 (2010), 한국근대인물화에 나타난 이국적 관심, 언어와 문화, 6(2), pp. 69-92.
  10. 박계리 (2006), 한국 근대 역사인물화, 미술사학, 26, pp. 33-60.
  11. 구정화 (2000), 한국 근대 여성인물화 연구: 여성이미지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유희승 (2010), '선전'과 '국전'의 인물화 연구: '동양화'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유희승 (2010), '선전'과 '국전'의 인물화 연구: '동양화'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31.
  14. 임은혁 (2006), 복식에 표현된 몸의 재현성[I]: 몸의 사실성 재현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6(7), p. 127.
  15. 한국서양사학회 (2011), 몸으로 역사를 읽다, 서울: 푸른역사, p. 6.
  16. 양숙희, 양희영 (2006), 현대 광고에 나타난 남성 신체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2), p. 143.
  17. Shilling, Chris (2011), 몸의 사회학, 임인숙 역, 파주: 나남, p. 130.
  18. Shilling, Chris (2011), 몸의 사회학, 임인숙 역, 파주: 나남, p. 134.
  19.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30.
  20. 김은희 (2002), 복식에 표현된 여성의 몸 이미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7.
  21. 양운덕 (2003), 미셸 푸코, 파주: 살림출판사, p. 11.
  22. Entwistle, Joanne (2013), 패션화된 몸, 최경희 역, 서울: 한성대학교출판부, p. 33.
  23. 황지영 (2006), 광고에 표상된 몸 이미지와 그 의미: 기호학적 접근, 광고학연구, 17(4), p. 11.
  24.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27.
  25. 유진환, 이창현 (2011),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한국언론정보학보, 54, p. 5.
  26. 금동근, "[동아일보 속의 근대 100景]<66>미술전람회", 자료검색일 2014, 5, 10,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20&aid=0002104133
  27. 월간미술 (2010), 세계미술용어사전, 서울: 월간미술, p. 411.
  28. 김정선 (2014), 식민지 '官展'의 실현: 조선미술전람회 일본인 심사원을 중심으로, 석당논총, 58, p. 239.
  29. 정호진 (1999), 일제의 식민지 미술정책, 한국근대미술사학, 7, pp. 157-178.
  30.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15.
  31. 유진환, 이창현 (2011), 일제하 조선미술전람회 관련 신문보도에 나타난 일본의 오리엔탈리즘, 한국언론정보학보, 54, pp. 16-21.
  32.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p. 17-18.
  33. 김현숙 (2004), 일제시대 동아시아 관전에서의 지방색: 조선미술전람회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미술사학, 12, p. 46.
  34.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18.
  35. 손철주 (1999), 그림, 아는만큼 보인다, 서울: 효형출판, p. 19.
  36. 이성미 (2008), 조선시대 그림 속의 서양화법, 서울: 소와당, p. 243.
  37. 홍선표 (2012), 한국 근대 미술사, 김포: 시공아트, p. 147.
  38.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191.
  39. 박영택 (2009), 가족을 그리다, 서울: 바다출판사, p. 87.
  40. 박영택 (2009), 가족을 그리다, 서울: 바다출판사, pp. 87-88.
  41. 안현정 (2012), 근대의 시선, 조선미술전람회, 서울: 이학사, p. 193.
  42. 다카하시 도루 (2010),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구인모 역,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 16.
  43. 다카하시 도루 (2010),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구인모 역, 서울: 동국대학교출판부, p. 17.
  44. 황성옥 (2003), 다시 찾은 우리 화가 이인성, 서울: 한길아트, pp. 34-35.
  45. 정연경 (2014), 근대 여성 운동.교육 및 사회적 진출과 여성상, 기초조형학연구, 15(2), p. 515.
  46. 전현실, 홍나영 (2011), 한국근대소설의 여성복식에 나타난 문화현상 분석, 한국복식학회지, 61(6), p. 41.
  47. 태혜숙 (2004), 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 한국의 식민지 근대와 여성공간, 서울: 여이연, p. 21.
  48. 박영택 (2009), 가족을 그리다, 서울: 바다출판사, p. 75.
  49. 국립현대미술관 (2009), 컬렉션, 미술관을 말하다,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52&contents_id=1535&leafId=
  50. 자료검색일 2014. 5. 20, http://gongu.copyright.or.kr/writing/view.do?writingSeq=13603&as=143&kv=조용승&fg=02&p=&ps=&l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