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go-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 투고 : 2014.08.15
  • 심사 : 2014.12.20
  • 발행 : 2014.12.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243명을 대상으로 대인관계능력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심리적 안녕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 간에 각각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다선형 회귀분석 결과,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대인관계능력과 자아탄력성 하위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는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능력에 비해 설명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제한점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ego-resiliency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Subjects, 243 early childhood teachers, answere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Scale, Ego-Resiliency Scal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and subscale scores of ego-resilien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from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of the variables, ego-resiliency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a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정, 이지연, 장진이 (2014). 교사의 교수몰입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조절효과. 열린교육연구, 22(1), 257-277.
  2. 강신영 (2005).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컴퓨터교육 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고미라 (2000). 개인 연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고은정 (1996).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곽희경 (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 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구희정, 강정원 (2009). 유아교사의 교수 스트레스와 유아와의 관계가 유아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281-297.
  7. 김리진, 홍연애 (2013).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4), 55-74. https://doi.org/10.14698/jkcce.2013.9.4.055
  8.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9. 김민경 (2011). 대학생의 우울, 감사 및 낙관성과 행복과의 관계. 청소년 문화포럼, 28, 7-31.
  10. 김연화 (2010). 아동청소년의 일상 스트레스 및 자아탄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7(12), 287-307.
  11. 김인숙 (2009). 교사의 팔로우십 유형에 따른 원장.교사 교환관계.자아탄력성.조직문화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정주 (2006). 과학영역 운영에 관한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5), 209-227.
  14.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위즈덤하우스.
  15. 김현주 (2010).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안녕감의 관계: 임파워먼트의 매개 효과. 청소년학연구, 21(4), 181-201.
  16. 김혜리, 조형숙 (2013).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대인관계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1(4), 275-292.
  17. 김혜윤 (2010). 유치원 교사의 인간관계 이야기. 현상해석학적 교육연구, 7(3), 51-70.
  18. 김회성 (2011). 청소년이 지각한 모의 자기분화가 청소년의 자율성에 미치는 영향: 모-자녀 의사소통을 매개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노경민 (2009). 초등학교 기혼여교사의 양육효능감과 교사헌신과의 관계: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상희, 문수경, 이무영 (2006). 보육교사의 소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1(6), 65-84.
  21. 박숙경 (2002). '행복을 끌어오는 집단상담'이 대학생들의 행복에 대한 자각, 행복한 사람들의 특성, 인간관계, 내적통제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홍익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6-69.
  22. 박유진 (2012).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안녕감과 자아탄력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박종흡, 신남철 (2002). 교사들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연구. 인문논총, 9, 91-111.
  24. 박현진 (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박희숙, 하정희 (200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수준과 정서적 자율성이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과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18(2), 89-110.
  26. 서현아, 김미옥 (2013). 유아교사의 성격강점이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1), 435-453.
  27. 서현주 (2006).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 효능감과의 관련성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신현정, 박진성 (2010). 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탐색연구; 직무스트레스와 조직효과성을 중심으로. 유아교육학논집, 14(2), 147-170.
  29.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왕미정 (2013). 요가수련자의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유성경, 홍세희, 최보윤 (2004). 가정의 위험요소와 적응의 관계에서 자아 탄력성, 애착, 실존적 영성의 매개 효과 검증. 교육심리연구, 18(1), 393-408.
  32. 이선영 (2008). 자아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이수진 (2013). 중등교사의 행복지수, 성격강점, 직무만족도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이순복, 원지현 (2013). 유아교사의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3), 263-281.
  35. 이재신, 이지혜 (2011). 교사의 자율성, 낙관성, 교수몰입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8(1), 66-90.
  36. 이채호, 고태순 (200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심리적 안녕감과의 관계. 한국아동교육학회지, 17(3), 173-185.
  37. 이하나, 정현주, 이기학, 이학주 (2006).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행복감과 스트레스 지각 및 대처와의 관계. 상담학연구, 7(3), 701-713.
  38. 이학식, 임지훈 (2009). SPSS 14.0 매뉴얼. 경기: 법문사.
  39. 이후승 (2003).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임경희 (2010). 감사성향과 자아탄력성이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교육논총, 47(2), 101-118.
  41. 장은주 (2007).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2. 전선영, 최혜순 (2013). 원장의 리더십 및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이직의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12(1), 203-220.
  43. 정민정, 김유진 (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65
  44. 정은이 (2011). 개별성-관계성 및 대인관계 유능성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학연구, 17(2), 97-120.
  45. 정혜욱, 이옥형 (2011).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1(3), 31-53.
  46. 최서영, 이대균 (2011).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경험하는 인간관계의 어려움. 유아 교육학논집, 15(5), 77-102.
  47. 최은희 (2002). 아동학개 및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허순조 (2012). 보육교사 개인연수에 대한 인식과 실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Barki, H., & Hartwick, J. (2004). Conceptualizing the construct of interpersonal conflict. International Journal of Conflict Management, 15(3), 216-244. https://doi.org/10.1108/eb022913
  50. Block, J. H., & Block. J. H.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Collins(Ed.), The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Vol. 13, pp. 39-10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51. Block, J. H. (1993). Ego-resilience through time. Pap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New Orleans, LA.
  52. Cross, S. (2000). The relational-interdependent self-contruct and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4), 791-808. https://doi.org/10.1037/0022-3514.78.4.791
  53.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4), 522-527. https://doi.org/10.1037/h0076760
  54. Heider, F. (196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 NY: John Wiley & son.
  55. Horowitz, L. M., & Vitkus, J. (1986). The Interpersonal basis of psychiatric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Review, 6(5), 443-469. https://doi.org/10.1016/0272-7358(86)90031-0
  56. Johnson, C. S. (2000). Teaching stress and student characteristics as predictor of teacher behavior. A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ulty of the Curry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Virginia.
  57. Joiner, T. E., & Metalsky, G. I. (1995). A prospective test of an integrative interpersonal theory of depression: A naturalistic study of college roommat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9, 778-788.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78
  58.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5), 1067-1079. https://doi.org/10.1037/0022-3514.70.5.1067
  59.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60. Montemayor, R. (1994). The study of 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In R. Montemayor, G. Adams & T. Gullotta(Eds.), Personal relationships during adolescence. CA: Sage.
  61.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https://doi.org/10.1521/jscp.23.5.603.50748
  6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63.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2.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64. Schlein, S., Guerney, B., & Stover, L. (1971).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In B. Guerney(Ed.). Relationship Enhancement. San Francisci: Jossey-Bass.
  65. Smith, N. P. (2001). Teaching stress, teacher health and medical utilization. A dissertation presented to the faculty of the Curry School of Education University of Virginia.
  66. Sullivan, H. S. (1953).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W. W. Norton & Co: New York.
  67. Tugade, M.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https://doi.org/10.1037/0022-3514.86.2.320
  68. Veenhoven, R. (1991). Is a happiness relative?. Social Indicators Research, 24, 1-34. https://doi.org/10.1007/BF00292648

피인용 문헌

  1. 유아교사의 애착히스토리가 유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검증 vol.12, pp.5,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6.12.05.001
  2. The Chang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y Adopt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Improvement Program vol.13, pp.1, 2018, https://doi.org/10.16978/ecec.2018.13.1.010
  3. 예비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vol.19, pp.11, 2018, https://doi.org/10.5762/kais.2018.19.11.4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