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인애 (1998).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敎育理論과 實踐, 8(1), 23-44.
- 강인애 (2003).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 Constructivism. 서울: 문음사.
- 권두승, 이경아, 윤미선, 김한별 (1999).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분석을 통한 성인교육 참여율 제고방안. 교육부.
- 권혁진, 박혜진 (2010).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3(2), 205-224.
- 김경화 (2003). 대학교육의 수월성 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의 질적 개선에 대한사례연구. 열린교육연구, 11(2), 345-375.
- 김선구 (2010).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선구, 이현정 (2011).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의 효과. 영유아교육연구, 14, 57-73.
- 김애련 (2004).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김용환, 박지홍 (2009). SNS 이용자의 모르는 사람(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 탐구. 한국정보관리협회, 2009(8), 17-35.
- 김은영 (2011).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주환, 박민아 (2010). 모바일 소셜미디어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시론: 대화이론을 통해 본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결합의 의미. 한국인터넷진흥원, Internet & Information Security, 1(1), 40-45.
- 김진실, 이무영 (2007). 전문대학 전공수업에서의 학습 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2), 205-226.
- 김형관, 신현석, 서민원, 황기우 (2001). 대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이 학생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등교육학회, 12(2), 117-154.
- 김현진 (2007).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김형진 (2012). 관심 주제 기반 SNS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미순 (1997).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박성익, 김연경 (2006).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열린교육연구, 14(1), 93-115.
- 박정환, 우옥희 (1999).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교육공학연구, 15(3), 55-81.
- 서경혜 (2004).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연구. 교육과정연구, 22(4), 165-187.
- 서우종, 원욱연, 홍진원 (2010).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혁신연구, 26(1), 99-132.
- 성행남, 정대율 (2009). e-러닝 학습몰입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9(2), 107-137.
- 손미, 하정문 (2008).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3), 225-251.
- 안지혜. 서영숙 (2013).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 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5-35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005
- 원욱연 (2009). SNS 웹사이트에 대한 실증연구: 품질요인, 사용자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구전의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병민. 박수홍. 강문숙. 박철수. 정경훈 (2011). 보육실습에서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관심 수준 변화 연구. 교육혁신연구, 21(1), 41-61.
- 유병민, 박혜진, 차승봉 (2013).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 44(3), 133-159.
- 윤갑정. 김미정 (2014). 초임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26.
- 이영주, 전평국 (1999).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 관계. 수학교육논문집, 8, 137-150.
- 전평국 (1991).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수학교육, 30(3), 25-38.
- 정미경 (2007).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3), 247-264.
- 정연순, 유병민, 노경란, 이승철, 박혜진 (2011). 중학교 진로교육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교육효과성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8(1), 101-128.
- 조연순 (2001). 교과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방법 모색: 문제중심학습. 한국교육, 28(2), 205-227.
- 조연순 (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서울: 학지사.
- 조연순, 우재경 (2003).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교육학연구, 41(3), 571-600.
- 차승봉 (2011). 대학생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참여와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방정식모델.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최미나 (2006). 대학에서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역량 진단방안 탐색. 淸大學術論集, 특집호.
- 최정임 (2007).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 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 공학연구, 23(2), 35-65.
- 최정임, 장경원 (2010). PBL로 수업하기. 서울: 학지사.
- 홍기칠, 김세찬 (2004).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논문집, 39, 537-571
- Albanese, M. A., & Mitchell, S. (1993). Problem based learning: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Academic Medicine, 68(1), 53-81.
- Boud, D., & Feletti, G. (1997). The challenge of problem-based learning (2nd ed.). London: Kogan Page.
- Barrows, H. S., & Myers, A. (1993).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Un published monograph. Sping field, IL: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 Csikszentmihalyi, M. (1985),Reflections on enjoyment. Perspectives in biology and Medicine, 28(4), 469-497.
- Csikszentmihalyi, M., & Lefevre, J. (1989).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5), 815-822. https://doi.org/10.1037/0022-3514.56.5.815
-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and Row.
- Csikszentmihalyi, M., Rathunde, K., & Whaleden, S. (1993).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sikszentmihalyi, M. (1997).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New York: Harper Perennial.
- Delisle, R. (1997).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irginia US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Eysenck. (1994). Mind watching: Why we behave the way we do. London: MMB, 256.
- Kraiger, K., Ford, J., & Salas, E. (1993). Applications of cognitive, skill-based, and affective theories of learning outcomes to new methods of training evaluation. Journal of Psychology, 78(2), 311-328.
- Heppner, P. P., & Petersen, C. H. (1982).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9(1), 66-75. https://doi.org/10.1037/0022-0167.29.1.66
- Hofmann, D. L., & Novak. A. (1996).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13(1), 3-16.
- Jackson, S. A., & March, H.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do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8, 17-35. https://doi.org/10.1123/jsep.18.1.17
- Levin, B. B. (2001).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 Little, P. (2000). From practice to theory: Reconceptualising curriculum development for problem-based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al innovations across disciplines. Selected papers from the Second Asia-Pacific Conference on Problem-based Learning, Singapore.
- Mithaug, D. E. (1993). Self-regulation theory: How optimal adjustment maximizes gain. Westport, Conn: Praeger.
- Pearson, D. X. (2010). The perceptions of cross cultural student violence in an urban school sett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Education(Leadership).
- Schmidt, A. M., & Ford, J. K. (2003). Learning within a learner control training environment: The interactiv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and metacognitive instruction on learning outcomes. Personnel psychology, 56(2), 405-430. https://doi.org/10.1111/j.1744-6570.2003.tb00156.x
- Steinfield, C., Ellison, N. B., & Lampe, C. (2008).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A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9(6), 34-445.
- Torp, L. T., & Sage, S. M. (2002).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 education. Alexandria, VA: ASCD.
- Tringwell, K. (2001). Judging university teaching.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Academic Development, 6(1), 65-73. https://doi.org/10.1080/13601440110033698
- Webster, J. H. (1997).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0(5-6), 1282-1309. https://doi.org/10.2307/257034
피인용 문헌
-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Teaching-Learning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and PBL vol.5, pp.1, 2014, https://doi.org/10.24313/jpbl.2018.5.1.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