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양계업 전망 - 2014 양계사료 전망

  • 김희성 ((주)한국축산의 희망 서울사료 마케팅팀)
  • Published : 2013.12.01

Abstract

Keywords

시장 논리에 부응하는 지혜로운 생산 계획 수립과 실행 필요

지난해에 이어 축산물 가격 약세로 시작하여 원료곡물 가격 급등에 의한 사료원가 상승 부담으로 전반기를 마치고, 평년보다 심한 혹서기 피해를 겪었던 2013년 한해도 이제 한달 남짓 남겨두고 있다. 그나마 혹서 피해로 인한 과채류 값 급등에 의한 대체효과와 수산물 구매 감소의 반사이익으로 9월 추석을 앞두고 반등한 양계 축산물의 시세가 소폭 조정을 거쳐 보합세를 지속하여 이어가고, 원료곡물의 수급 및 가격이 안정화 되면서 얼마 남지 않은 연말년시를 그나마 담담한 마음으로 맞이하게 될 것 같다. 하지만 2014년도 양계사료 전망이라는 제목을 걸고 이런 저런 상황을 살펴보니 여러가지 변수와 복병이 도사리고 있다는 생각에 마음 한편이 다시 묵직해 진다. 2014년도 연초에는 일단 원료곡물 가격에 있어서 대두 및 대두박의 가격 추세가 일시적으로 보합이나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고, 선임의 상승도 함께 할 것으로 보여, 모처럼 수급 안정과 환율 안정세와 맞물린 사료가격 안정화 추세에 찬물을 끼얹지 않을까 우려 되는 부분이 있다. 또한 현재 시점에서는 비교적 약세를 면하고 있는 난가 및 육계 가격도 구조적인 생산잠재력 증가상황에 의해 조그만 시장 변화에 따라서 언제든지 약세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양계 산물 수익의 불안정한 상황은 양계 사료산업의 불안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이다.

본격적인 2014년도 양계사료 전망에 앞서 현재 시점에서의 전반적인 양계 분야 통계자료를 점검해 보고자 한다. 2013년도 9월(3/4분기) 마감 시점에서 산란계 사육마릿수는 6,267만4천마리로 전분기보다 74만7천마리(1.2%), 전년동기보다 134만8천마리(2.2%) 각각 증가, 육계는 6,450만5천마리로 전분기보다 3,139만3천마리(32.7%) 감소, 전년동기보다 403만5천마리(5.9%) 감소한 상황이다.

산란계는 지속적인 계란 산지가격 호조에 따른 입식 증가에 기인하여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계란 산지가격(특란 10개) : (’12.9) 1,185→ (’13.6) 1,240 → (’13.8) 1,322원 →(’13.11) 1,660원

가구당 마릿수 : (’12.6) 44.9 → (’12.9) 46.4 → (’13.6) 49.8 → (’13.9) 51.5천마리

육계는 여름철 특수(삼계탕 등)가 끝나는 계절적 요인과 폭염 피해에 따른 사육가구의 입식지연 등에 기인하여 소폭 감소세이다.

사육가구수 : (’12.6) 2,058 → (’12.9) 1,585 →(’13.6) 1,972 → (’13.9) 1,457가구

전국평균기온(기상청, ℃) : (’12.8) 26.2 → (’138) 270

1. 산란계 사육 및 사료 생산량 전망

최근 생산원가 이상의 가격대를 회복한 계란값은 당분간 강보합세를 이어갈것으로 추정된다. 연초까지 약세를 면하지 못하던 계란값은 혹서기를 지나며 생산성 하락 상황에 가격 상승 국면으로 전환되었으며, 평년 대비 길었던 추석연휴를 지나고 나서도 일부 조정을 거쳐 강보합세를 이어가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은 2013년말까지 원료곡물가 하향 안정화, 환율 하락 등과 맞물린 사료가격 하향 안정화로 인한 인하요인에 의해 생산원가 하락으로 산란계 농가의 어려움 해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표1>의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13년도 산란계 사육마리수는 3월의 6,320만수에 비하면 9월에 6,285만수로 35만수 감소하고, 이후에도 9월 대비해서 소폭 감소세가 진행되고 있으며, 9월 6,285만 마리, 11월 6,158만 마리로 전년 대비해서는 그 격차가 좁혀져 0.4% 증가 수준으로 전망되고 있다.

표1. 산란계 사육마리수 전망

자료 : 통계청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및 전망치)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근 몇 년동안 산란계 사육농가수는 많이 감소한 반면, 계사 현대화 사업 및 계란가격 상승 기대감 등으로 전체사육마리수는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 산란계 사육마리수 및 사육가구수 추이

자료 : 통계청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육추사료는 2012년 전체 생산량이 전년 대비 약 9.8% 상승하였으나, 2013년에는 약 7% 감소한 320,641톤으로 예상된다. 1월초 입식 감소조정을 거쳐 4월 까지는 2010년 수준과 비슷한 생산량을 기록하고 있었으나, 5~6월에 거쳐 증가하여 6월에는 29,000톤을 넘어섰다. 이후 8~10월 계란 생산에 가담할 신계군 증가가 예상되나, 2012년도 보다는 낮을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계란 난가가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면 2014년 상반기에는 다시 증가 추세가 반복될 것으로 전망된다(표2). 산란계 사료는 4월 이후부터 전년도 생산량을 넘어서고 있으며, 혹서기를 제외하고는 난가의 강보합세와 신계군 생산 가담 상황과 맞물려, 2012년도와 유사한 생산량이 예상되며, 현재의 높은 난가가 유지된다면 내년 상반기까지 유사 또흔 상승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표3).

표2. 산란계 육추사료 생산 현황

자료: 농림축산식품부

산란종계 2013년 입추수수는 532,000수로 2012년도의 493,880수와 비교하면 7.2%(+38,120수)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된다.

병아리 생산 잠재력은 총 37,589천수로 월 평균 313만수 정도로 전년에 비하여 12.6%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 역시 2011년 대비하면, 36.7% 많은 수수로, 2014년 상반기에도 2012년도 대비해서는 낮지만, 2013년도와 유사하거나 약간 적은 수수의 생산이 전망된다(표4).

표4. 산란계 병아리 생산 잠재력

이것은 예년에 비해 산란계 수수가 적정 수수보다는 많지만, 2013년 대비해서 소폭 감소를 전망하는 것으로, 표본농가 조사결과 9~11월 노계 도태 의향이 전년보다 19.5% 낮게 나타나 노계 비중이 늘어날 것이라는 예상과는 대치 되지만, 적극적인 홍보에 의해 농가의 자율적인 사육수수 조절을 이끌어 낸다면 강보합세의 난가 유지에 긍정적인 지표를 가져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내년 상반기까지 산란계 배합사료 생산량은 2013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예상되나, 입추수수 감소 및 계란 생산 잠재력 소폭 감소와 같은 선행지수와 맞물려 소폭감소도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연초의 대두 및 대두박 가격 상승과 선임 상승 예상 부분만 제외화고, 극심한 가뭄과 같은 재배환경 악화상황만 없다면, 안정적인 곡물가격으로 인해 농장의 사료 원가 부담은 개선되고, 난가는 강보합세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2. 육계 사육 및 사료 생산량 전망

올해는 소비둔화와 함께 지난해부터 이어온 저가 축산물 상황이 육계 시세에도 상반기까지 그대로 적용되었다. 그러나 평년대비 극심했던 가뭄 및 혹서기 상황을 겪으며 폐사가 급증하고, 생산성이 하락하면서 육계 시세를 원가 이상으로 끌어 올렸으며, 말복시점을 전후해서는 2,000원/kg 이상의 가격대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육계 시세는 11~12월 도계수수 감소로 산지가격이 1,800원/kg 대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육계 사육수수는 평년 대비 감소 상황으로 10월 도계수수는 전년대비 7.5% 감소가 전망되고 있다. 또한 9월 닭고기 생산량 감소 영향으로 비축물량이 전년 동월 대비 큰 수준인 42.7% 감소하였고, 10월 닭고기 수입량은 전년보다 1.3% 감소한 8,085톤으로 전망되며 연말까지 일정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표5의 대한양계협회 육용종계 병아리 입식동향을 보면, 1~3월 까지는 2012년 대비 22.45% 감소한 146만수 였으나, 2013년 4월 이후 입식수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내년 초에도 병아리 과잉 공급이 예상되고 있다.

표5. 육용종계 병아리 입식 동향

자료 : 대한양계협회

표6의 농림축산식품부 2013년 육용종계 배합사료 생산동향에 따르면 8월은 전년 대비 3.3% 감소한 20,346톤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육용종계 사육수수는 695만수, 육용종계 성계 수수는 전년 동월 대비 4.0% 감소한 337만수로 추정된다. 8월 종계 성계 사육수수 감소와 폭염으로 인한 종계 생산성 하락으로 9월 병아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6.2% 감소한 5,875만수로 추정되며, 병아리 생산 감소와 폐사율 증가로 10월 육계사육수수는 전년 동월 대비 6.6% 감소한 6,905 만수로 전망된다. 이러한 사육수수 및 종계 감소세 상황에 의해, 사료 생산량은 2014년 1/4분기까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이후 평년 수준의 보합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해 볼 수 있다.

표6 육용종계 배합사료 생산동향

자료 : 농림축산식품부

3. 맺음말

양계 업계는 2013년을 축산물 가격 침체와 사료용 곡물가격 급등 및 환율 상승 등 어려운 지표로 시작하였고, 상반기를 지나며 혹서기를 맞이하여 생산성 하락 및 폐사 증가로 어려움을 맞게 되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 정부와 협회, 계열주체와 종계업체, 사양가, 사료업체가 모두 현명한 대처를 통해, 양계산물의 수요와 공급 안정화를 이끌어 내려고 노력하였고, 9월 추석을 기점으로 난가 및 육계 가격의 강보합세와 이후 조정이 예상되지만, 보합세 지속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원료 곡물가 및 환율 하향 안정화와 함께 연말까지 생산원가의 개선도 기대되고 있으며, 2014년 초의 일부 조정을 거치고 나면 하절기의 혹서기 피해 정도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무난한 보합세 지표들이 예상되고 있다. 또한 산란계 부분은 일본원전사고로 수산물 소비 감소에 의한 반사이익으로 계란소비가 상승하고, 난가공 활성화, 노계 도태 원활함 및 케이지 수당 생활면적 기준 증가 등 복합 원인으로 난가의 상승 및 강보합세 유지의 기회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산란계 및 육계 모두 사육수수는 이미 적정 규모 이상이며, 계란과 닭고기 소비 잠재력에 여유가 있다고 해도, 수요 창출 없는 무리한 입식, 사육과 공급 확대는 모처럼 반전된 양계 분야의 전망을 흐리게 만들 수 있으므로, 상호 협의를 통해 시장 논리에 부응하는 지혜로운 생산 계획 수립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