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Changing Aspect of Korean Cultural Contents in Japanese Textbooks

일본 교과서에 나타난 한국문화 콘텐츠 변화 양상 분석

  • Received : 2013.09.13
  • Accepted : 2013.10.28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track down on changes in the way Korean culture was covered in Japanese textbooks over the past three decades since the 1980s by reviewing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geology' textbooks for middle school, which are two compulsory subjects in Japanese schools where Korean cultures is the most often mentioned. To that end, Korean culture contents mentioned in the textbooks were classified into basic element, unique element and element that reflect the times, each of which was then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 modern and surface & in-depth so as to see how each of the categories was presented. Japanese textbooks mentioned mostly surface and basic elements of Korean culture relat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such as Hanbok, Kimchi, Ondol, high-rise apartment and table manners, and also landscape of Seoul. Also, the kinds of contents which constantly appeared in the textbook were mostly basic elements including to food, clothing and shelter. Elements that reflect the times such as the 1988 Seoul Olympic Games, the 2002 Korea-Japan World Cup and the Korean Wave were adequately covered as part of chronological explanations in the books. The aspect of Korean culture in Japanese textbooks seems to expand in depth and scope over the years. More recently, detailed explanations and visual images were increasingly used to introduce Korean culture.

본 연구는 일본 학생들이 필수로 이수하는 과목 중 한국문화에 관한 내용이 가장 많이 언급되는 초등학교 6학년 '사회'와 중학교 '지리'교과서를 대상으로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30여 년간의 한국문화에 관한 서술변화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교과서별 한국문화 콘텐츠를 기본적 요소, 독창적 요소, 시대반영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각의 요소를 전통과 현대, 표층과 심층으로 재분류하여 각 유형별 등장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본 교과서에는 한복, 김치, 온돌, 고층아파트, 식사예절과 같은 의 식 주를 비롯하여, 수도 서울의 모습과 같은 표층적 기본적 문화요소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시기와 상관없이 항상 등장하고 있는 내용은 한국의 의 식 주 문화와 같은 기본적 문화요소가 대부분이다. 시대반영적 요소인 서울올림픽, 한일월드컵, 한류 등도 해당 시기 교과서에 충실히 서술되고 있다. 한국문화 콘텐츠는 2010년대로 올수록 내용과 범위가 확대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또한 이들 콘텐츠의 표현방법도 최근 교과서로 올수록 보다 구체적인 설명 및 시각자료들이 제시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鄭大均, "戦後日本人の韓国観", 일본학, 제33집, pp.7-27, 2011.
  2. 박소영, "일본 지리교과서에 서술된 한국의 변화상 -한국의 변모와 한국에 대한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제6회 세계한국학대회 발표논문집, 2012.
  3. 박소영, "일본의 한국관련 교육과정.교과서 정책과 대응 방안", 연구보고 KU-CR-03-04 주변국가의 한국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연구, pp.87-147, 2003.
  4. 教科書レポート編集委員会, 教科書レポート2005, 出版勞連, 2005.
  5. 教科書レポート編集委員会, 教科書レポート2006, 出版勞連, 2006.
  6. 教科書レポート編集委員会, 教科書レポート2011, 出版勞連, 2011.
  7. 教科書レポート編集委員会, 教科書レポート2012, 出版勞連, 2012.
  8. 박병섭,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와 독도문제", 독도연구, 제11호, pp.7-24, 2011.
  9. 이하나, 조철기, "한일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영토 교육 내용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32-347, 2012.
  10. 이진우, "한국과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 비교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양원택, "한일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국제이해교육 관련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2권, 제2호, pp.75-92, 1996.
  12. 심광택,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의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교과서 살펴 보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53-68, 2012.
  13. 李長烈, "日本의 中等地理敎科書에 나타난 韓國觀", 관대논문집, 제10권, pp.455-467, 1982.
  14. 손용택, "일본의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비친 한국", 지리학연구, 제31권, pp.1-18, 1997.
  15. 조철기, "일본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나타난 한국 관련 담론 분석", 대한지리학회지, 제43권, 제4호, pp.655-679, 2008.
  16. 서은숙, "한국 문화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417-427, 2009.
  17.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18. Carrl R. Ember.Melvin Ember, 양영균 역, 문화 인류학,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2012
  19. 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0. 김기덕, "콘텐츠의 개념과 인문콘텐츠", 인문콘텐츠, 제1권, pp.5-27, 2003.
  21. 出野怜, "海外出版の日本語教科書にみる日本文化", 龍谷大學大學院國際文化研究論集8, pp.67- 84, 2011.
  22. 日比裕, 小學社會6下, 大阪書籍, p.48, 1992.
  23. 伊東光晴 外, 小學社會6下, 教育出版, p.42, 2002.
  24. 北俊夫 外, 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53, 2011.
  25. 佐藤久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62, 1997.
  26. 佐佐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40, 2005.
  27. 中村和郎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28. 佐藤久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60, 1997.
  29. 中村和郎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30. 佐々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40, 2005.
  31. 有田和正 外, 小學社會6下, 教育出版, p.41, 2011.
  32. 五味文彦 外, 新しい地理, 東京書籍, p.99, 2012.
  33. 中村和郎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15, 2012.
  34. 谷沢大二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320, 1993.
  35. 中村和郎 外, 中學生の地理, 帝國書院, p.199, 2002.
  36. 佐々木毅 外, 新編新しい社會6下, 東京書籍, p.32, 2005.
  37. 有田和正 外, 小學社會6下, 教育出版, p.38, 2011.
  38.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 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09/06/1 6/1234931_003.pdf
  39. http://www.mext.go.jp/component/a_menu/educ ation/micro_detail/__icsFiles/afieldfile/2011/01/0 5/1234912_003.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