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Experience Process in Action Learning for Fostering Essential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Grounded Theory Approach-

대학생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한 Action Learning에서의 경험과정 연구 -근거이론 접근-

  • Received : 2013.09.10
  • Accepted : 2013.10.24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In order to live up to public expectations, universities dedicate their best efforts to cultivating all Essential Competencies for outstanding individuals, especially reorganizing and improving their general education curricula and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light of the fact that a cutting-edge technology in a specific field does not bear a long span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undergraduates' Experience Process of Action Learning designed to foster their Essential Competencies. With broadly selected 15 students from the courses for Essential Competencies, the method of theoretical sampling was employed so as to secure the diversity of the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backgrounds. After in-depth interviews, the data from the subject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Grounded theory approach of Strauss and Corbin. The conclusion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 learning coach should play a different role depending on the levels of Action Learning. Secondly, some time for introspection should be taken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Action Learning. Thirdly, learners ought to solve the problems faced during the learning process on their own. Fourthly, the aims of courses for Essential Competencies are also needed to be focused.

각 대학은 사회적 책무성에 근거하여 핵심역량을 고루 갖춘 인재양성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세분화된 특정분야의 첨단지식의 지속시간이 짧아지는 시대적 특성을 고려하여 교양교육 과정을 개편 운영하고, 교수학습 방법을 개선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핵심역량 육성을 위해 적용된 Action Learning에서의 경험과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근거이론 접근방법을 사용하였다. 따라서 핵심역량 교과 영역 수강자들을 고루 포함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양한 범주, 속성 및 차원에 속하는 참여자를 모집하기 위해 이론적 표본추출을 하였다. 결과 총 1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수집된 심층면담자료는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접근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액션러닝의 운영단계에 따라 러닝코치의 역할이 달라야 하고, 둘째, 효과적인 액션러닝 운영을 위해서 개인성찰의 기회도 충분히 가져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이 학습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해보는 것이 중요하고, 넷째, 핵심역량 교과목의 목적에 대한 숙지도 중요 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미, "기업에서 요구하는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델파이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0권, 제1 호, pp.12-22, 2008.
  2. 진미석,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연구, 제20권, 제1 호, pp.105-127, 2013.
  3. 진미석, 손유미, 주휘정,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제29권, 제4 호, pp.461-486, 2011.
  4. 유태용, 김영주, 김현욱, 박혜진, 심윤희, 김정수, 김사라, 김솔이, 안여명, "국내기업 인재상의 내용 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264-266, 2009.
  5. 김흥수, 황경수, 권순철, 홍성욱, 오진숙, 고보숙, 고봉조, "액션런닝을 적용한 대학의 핵심역량강의 효과성 분석," 탐라문화, 제41호, pp.77-108, 2012.
  6. 김은환, 핵심인재 확보, 양성전략, 삼성경제연구소 CEO Information, 제353호, 2002.
  7. D. Penney and B. Legge, "Connecting Initial Teacher Education and Continuing Professional Learning through Action Research and Action Learning," Action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Vol.2, No.2, pp.153-169, 2005. https://doi.org/10.1080/14767330500206839
  8. 김윤민, 김윤희, "간호관리학 임상실습에서 액션 러닝의 개발 및 평가,"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6호, pp.313-322, 2010. https://doi.org/10.5392/JKCA.2010.10.6.312
  9.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2nd ed), Newbury Park: Sage., 1990.
  10. D. Dubois, Competency-Based Performance Improvement: A Strategy for Organizational Change, Amherst, MA: HRD Press., 1993.
  11.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517-5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517
  12. A. D. Lucia and R. Lepsinger,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Pinpoint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Organizations, CA: Jossey-Bass., 1999.
  13. 정성휘, "비서의 핵심역량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제13권, 제1호, pp.23-43, 2004.
  14. G. Hamel and G. K. Prahalad, "The One Competence of the Corporation," Harvard Business Review, Vol.68, No.3, pp.79-93, 1990.
  15. 이만표, "한국기업의 인재특성을 반영한 산업인력 육성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교육연구, 제6권, pp.201-230, 1999.
  16. 박성미, "직업능력의 요소로서 핵심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0권, 제3호, pp.327-351, 2011.
  17. 박성희, 배상확, "학습포트폴리오를 적용한 대학생의 학습역량에 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8권, 제2호, pp.150-179, 2009.
  18. 김동일, 오현석, 송영숙, 고은영, 박상민, 정은혜, "대학교수가 바라본 고등교육에서의 대학생 핵심 역량," 아시아교육연구, 제10권, 제2호, pp.195-214, 2009.
  19. D. C. McClelland,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Vol.28, pp.1-14, 1973. https://doi.org/10.1037/h0034092
  20. 김연희, 정재삼, 이종경, 이유진, "대학생이 인식하는 핵심역량과 교육요구도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2권, 제4호, pp.1-20, 2010.
  21. 조대연, 김희규, 김한별, 미래의 평생학습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양 연구, 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7-3, 2009.
  22. 봉현철, 유평준, "액션러닝의 기본구조와 핵심구성요소," 산업교육연구, 제8호, pp.57-82, 2001.
  23. 김종인, 박양규, 이국희, "액션러닝에 의한 업무 프로세스 개선 사례연구: (주)효성의 교육프로그 램을 중심으로," Information systems review, 제 8권 제1호, pp.287-303, 2006.
  24. 이영학, "대학정보공시제 효율화방안," 대학교육, Vol.158(3,4월호), pp.7-13, 2009.
  25. R. S. Schreiber and P. N. Stern(Eds.), 근거이론 연구방법론 [Using grounded theory in nursing], (신경림, 김미영 역), 서울: 현문사(원전은 2001에 출판), 2001.
  26. A. Strauss and J. Corbin,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1998.
  27. 김봉광, Action Learning 운영단계별 러닝 코치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007.
  28. 강주현, 실천학습의 집단 성찰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지식창출 사례연구(A 사의 경영자 양성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013.
  29. 노혜란, 실천학습에서의 전이촉진요인 규명에 관한 현장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03.
  30. 유영만, "실천학습(Action Learning)에 '실천 (Action)'과 '학습(Learning)'이 존재하는가? -'실천'과 '학습' 없는 실천학습에 대한 비판적 논의의 서곡-", 지식경제연구, 제4권, 제2호, pp.55-77, 2003.

Cited by

  1. A Literature Review of Research on Action Learning-based Nursing Education in South Korea vol.24, pp.1, 2018, https://doi.org/10.11111/jkana.2018.24.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