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Creative Thinking by Dance Imagery

무용심상을 통한 신체지각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성 연구

  • 안병순 (순천향대학교 연극무용학과)
  • Received : 2013.08.06
  • Accepted : 2013.09.16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creative thinking of dancers by dance imagery training programs. The inner imagery and the external expression of dancers are a divergent expression process of autosuggestion, and substant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perception and creative thinking. The key point consists in the active thinking process of problem re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by imagination, and means a new perceptivity and the communication capability. Dance imagery is a perception training based on the integration principle of body and soul, and so dancers should create a new approach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diversity of wide inner imagination and the active thinking of external expression.

이 연구는 무용심상 훈련프로그램을 통해 무용수들이 인식하고 있는 신체지각과 창의적사고의 관계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무용수의 내적심상과 외적표현은 자기감응의 확산적 표현과정이며, 신체지각과 창의적 사고의 관계성을 입증하였다. 그 핵심은 상상력을 통한 문제인식과 해결의 적극적인 사고과정이며, 새로운 지각과 그 소통능력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무용심상은 신체와 정신의 통합원리에 근거한 지각훈련이고, 폭넓은 내적상상의 다양성과 외적표현의 적극적인 사고를 통해 새로운 소통을 창조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중길, "무용에서 행위의 심리학적 과정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14권, pp.237-247, 1992.
  2. 강혜련, 창의적 사고와 신체지각과의 관계, 경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3. 안주경, "무용창작에 적용된 <로미오와 줄리엣> 의 이중성 표현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2호, pp.146-155, 2012(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12.146
  4. 안병순, 라반의 움직임교육을 통한 즉흥무용프로그램이 대학무용수의 창의성에 미치는 참여효과, 단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 박미진, "무용전공 여대생의 심상연습이 공연 전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제 16권, 제4호, pp.283-290, 2005.
  6. 김명숙, "무용학습 향상을 위한 심상연습의 방법과 효과",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18권, pp.7-36, 1995.
  7. 조은숙, "심상을 토대로 한 호흡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지, 제12집, 제2호, pp.123-138, 2001.
  8. 오혜순, "심상훈련이 무용수행시 운동 자각도, 심박수, 혈중 젖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무용학회논문집, 제20권, pp.197-209, 1997.
  9. 짐 테일러, 쎄시 테일러(공저), 박중길(역), 무용심리학, 들불, 1995.
  10. 안병순, "즉흥무용을 위한 감각인식의 훈련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철학회논문집, 제1권, 제1호, pp.75-87, 1992.
  11. C. L. Moore, "Educating the body-mind," The Educational Forum, Vol.54, No.1, pp.9-18, 1989.
  12. 박중길, K-12 무용교육과정 개념 틀 개발,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3. J. D Haas, The relationship of somatic awareness of creative process experimental phenomenological study, Unpublished Ed.D dissertation,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p.87-94,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