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nt Analysis of Practicing Journalistic Norms in Journalists' Tweets

기자는 트위터를 어떻게 이용하는가?: 기자규범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 김균수 (전남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Received : 2013.08.01
  • Accepted : 2013.09.10
  • Published : 2013.1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journalistic norms are practiced in journalists tweets by analyzing journalists' twitter. The study found that journalists consider using twitter as an extension of journalistic practice rather than a private space. In other words, journalists use twitter without a clear distinction about the nature of the twitter. In terms of journalistic norms, journalists expressed actively their opinion rather than keep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objectivity. There are not much tendency of sharing the gatekeeping role. Also, journalistic use of twitter does not increase transparency as much as expected. However, there is a positive sign of practicing the newly expected journalistic role, conversation with news users. Finally the relationships between journalistic use of twitter and journalistic norms are not straightforward but diverse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press, and gender of journalists.

본 연구는 기자들이 직접 올린 트위터 메시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해 기자규범이 트위터상에서 어떻게 실현되고 있는지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저널리즘의 진화 및 미래와 관련한 몇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첫째, 기자들이 트위터를 이용할 경우 사적공간이기 보다는 기자 업무의 연장 혹은 이러한 구분에 별 의미를 두지 않고 이용하는 경향을 확인했다. 다음으로 기자규범과 관련해 트위터를 이용하는 기자들은 전통적 객관성 규범을 지키기 보다는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시했지만 게이트 키핑 역할의 공유는 의견표명만큼 활발하진 않았다. 또한 소셜 미디어의 교류적 특성이 기자규범으로써의 투명성을 높이는 수준으로까지 진전되지는 못했다. 하지만 새로운 기자규범으로 기대되는 독자대화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가능성을 보였다. 끝으로 기자 트위터 이용과 기자 규범의 관계가 획일적이기 보다는 언론사 규모, 매체유형, 그리고 성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M. Eide, "Dialogical ambiguities: journalism, professionalism and flattery," Northern Lights, Vol.8, pp.9-23, 2010. https://doi.org/10.1386/nl.8.9_1
  2. 서윤경, 국내 취재 기자의 소셜 미디어 이용 실태와 미디어 의존에 관한 연구-트위터(twitter)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3. http://onlinejournalism.co.kr/1196231003
  4. 도준호, 심재웅, 이재신, 소셜미디어 확산과 미디어 이용행태 변화, 한국언론재단, 2010.
  5. 김은미, 이주현, "뉴스 미디어로서의 트위터: 뉴스 의제와 뉴스에 대한 대화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6호, pp.152-180, 2011.
  6. B. Schultz and M. Sheffer, "An Exploratory Study of How Twitter is Impacting Sports Journalism," International J. of Sports Communication, Vol.3, No.2, pp.226-239, 2010. https://doi.org/10.1123/ijsc.3.2.226
  7. E. Mitchelstein and P. Boczkowski, "Between tradition and change: A review of recent research on online news production," Journalism, Vol.10, No.5, pp.562-586, 2009. https://doi.org/10.1177/1464884909106533
  8. 이봉현, "뉴미디어 환경과 언론인 직업규범의 변화: 리영희 언론정신을 통한 탐색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9권, pp.31-49, 2012.
  9. D. Larsorsa, S. Lewis, and A. Holton, "Normalizing twitter: journalism practice in an emerging communication space," Journalism Studies, Vol.13, No.1, pp.19-36, 2012. https://doi.org/10.1080/1461670X.2011.571825
  10. P. Shoemaker, T. Vos, and S. Reese, "Journalists as gatekeepers," In Karin Wahl-Jorgensen and Thomas Hanitzsch (eds.) The handbook of journalism studies, Routledge, pp.73-87, 2009.
  11. 신민경, 김민하, "기자 블로그의 의제설정 기능과 객관주의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제54권, 제1호, pp.128-152, 2010.
  12. J. Singer, "The political j-blogger: 'normalizing'a new media from to fit old norms and practices," Journalism, Vol.6, No.2, pp.173-198, 2005. https://doi.org/10.1177/1464884905051009
  13. S. Robinson, "Journalism as process: The organizational implications of participatory online news," Journalism & Communication Monographs, Vol.13, No.3, pp.137-210, 2011. https://doi.org/10.1177/152263791101300302
  14. 김균수, "트위터 이용자의 뉴스관: 기자역할, 기자규범 및 저널리즘 권위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7권, 제2호, pp.154-184, 2013.
  15. 김민하, 신민경, "전문기자와 시민기자 블로그 콘텐츠의 저널리즘적 특성: 감시견과 상호작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제53호, pp.73-99, 2011.
  16. R. Cozma and K. Chen, "What's in a Tweet," Journalism Practice, Vol.7, No.1, pp.33-46, 2013. https://doi.org/10.1080/17512786.2012.683340
  17. 박주연, 전범수, "방송의 소셜 미디어 콘텐츠 활용유형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문콘텐츠, 제23권, pp.263-285, 2011.
  18. D. Lasorsa, "Transparency and Other Journalistic Norms on Twitter: The Role of Gender," Journalism Studies, Vol.13, No.3, pp.402-417, 2012. https://doi.org/10.1080/1461670X.2012.657909
  19. D. Riffe, C. F. Aust, and S. Lacy, "The Effectiveness of Random, Consecutive Day and Constructed Week Sampling in Newspaper Content Analysis," Journalism Quarterly, Vol.70, pp.133-39, 1993. https://doi.org/10.1177/107769909307000115
  20. 나은경, "이야기를 경험하는 방식의 뉴스소비 강화될 듯: 언론사닷컴 소셜 미디어 이용의 진화: 블로그에서 트위터까지", 신문과 방송, 제472호, pp.52-56, 2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