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nts of Film Consumption

영화 소비 결정 요인

  • Received : 2013.06.17
  • Accepted : 2013.07.18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determinants of film consumption.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this study explores some factors that explained film consumption based on film tastes and information seeking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major factor for explaining film consumption was individual tastes for films. The higher the degree of tastes for films, the greater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tastes for films and film related information seeking such as internet search behavior and the use of film blogs. More specifically, the use of film blogs partially explained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Thirdly, a demographic factor like gender was highly correlated to film consumption. However, an income factor was not correlated to fim consumption. In conclusion, the degree of film consumption was determined by tastes for flims, the use of film blogs and gender factors.

본 연구는 영화 소비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영화 취향 및 영화 정보 이용 요인들, 인구사회 요인들을 투입해 영화 소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화 소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영화 취향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영화 취향 정도가 증가할수록 영화소비가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화 취향은 영화 정보를 인터넷으로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행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화 취향 정도가 높을수록 인터넷으로 영화정보를 검색하거나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영화 블로그를 이용하는 응답자들은 영화 소비가 늘어났던 반면 영화 인터넷 검색 여부는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성별이나 소득과 같은 인구사회 요인들 중에서 성별 요인만 영화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응답자일수록 영화 소비 정도가 증가했다. 반면, 소득 요인은 영화 소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은영, 박스오피스 : 영화 경제와 시장 지배의 논리, 영화연구 30, pp.59-79, 2006.
  2. 황유선, 김유정, 심홍진, "뉴미디어 환경에서 영화 관람 그리고 반복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언론학보, 제55권, 제2호, pp.128-154, 2011.
  3. 전범수, "문화예술 취향 레퍼토리 구조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6호, pp.201-21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6.201
  4. 김연형, 홍정한, "영화 흥행 결정 요인과 흥행 성과 예측 연구", 한국통계학회논문집, 제18권, 제6 호, pp.859-869, 2011. https://doi.org/10.5351/CKSS.2011.18.6.859
  5.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243-276, 2009.
  6. 김소영, 임승희, 정예슬,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381-393, 2010.
  7. 이경재, 장우진, "베이지안 선택 모형을 이용한 영화흥행 예측",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6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pp.1851-1856, 2006.
  8. 영화진흥위원회, 2012 한국 영화산업 결산, 2013.
  9. 임이숙, 한국 영화산업의 장르 다양성에 관한 문화생산론적 연구 : 1997-2006, 문화와 사회 7, pp.51-85, 2009.
  10. 전범수, 이상길, "영화 장르의 사회적 소비 구조", 한국방송학보, 제18권, 제3호, pp.554-597, 2004.
  11. 정재기, 김고은, "영화소비자들의 온라인 구전정보에 대한 신뢰정도 및 신뢰요인 분석연구 - 네티즌 영화평 및 평점을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사회과학 논총, 제12권, pp.155-190, 2010.
  12. 이재신, 김지은, "전문가와 네티즌 영화평의 온라인 구전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3호, pp.449-484, 2009.
  13. 박선영, "SNS를 통한 구전 효과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40-53,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040
  14. P. Bourdieu, Distinction :a Social Critique of the Judgement of Taste. Translated by Richard Nice,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 1984.
  15. 이호영, 장미혜, "문화자본과 영화선호의 다양성", 한국사회학, 제42권, 제1호, pp.62-95, 2008.
  16. 서우석, 이호영, "문화취향이 정보 불평등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 정책, 제13권, 제3호, pp.197-218, 2006.
  17. 전범수, 박조원, 박성복, "문화 취향에 따른 대중 문화 블로그 이용 특성 연구",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보, 제29권, 제1호, pp.127-158,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