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School Adjustment as a Mediating Variable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 학교적응을 매개변인으로

  • Received : 2013.04.19
  • Accepted : 2013.06.04
  • Published : 2013.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ree factors such as the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and their subordinated factors. The research is going to clarify if school adjustment has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371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ideing in Dadjeon-city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The sample variance-covariance matrix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0.0, the mazimum likelihood minimization function. The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subordinated factors in the family health, school adjustment, and internet addiction regulation are also closely related in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excepting school adjustment. After conducting the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chool adjus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health and internet addiction, we found that it was appropriate to explain our findings wi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hen the family health has an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the school adjustment partially influences this process.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ddressed.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간의 상관계수와 이들 각 변인들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 과정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371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18.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한 다음 유의수준 .01에서 추정된 모수치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하위 변인들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가정한 가족건강성, 학교적응, 인터넷 중독의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학교적응이 부분 매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로부터 도출되는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리, 이선정, 신효식,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제20권, 제4호, pp.187-203, 2008.
  2. 김광수, 장승현, 조병만, 임을미,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교육논단, 제16권, pp.301-333, 2001.
  3. 김교헌, "청소년들의 컴퓨터 사용 실태와 컴퓨터 중독",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제28권, 제1호, pp.41-62, 2001.
  4. 김나영, 심혜원,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학교생활만족도가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9호, pp.125-147, 2012.
  5. 김순희, 인터넷 중독이 아동의 학업성취 및 학교 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6. 장성화, 진석언, "대안학교 학생들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의 인과적 구조분석", 열린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25-50, 2010.
  7.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자, 제9권, 제2호, pp.115-151, 2004.
  8. 김형수, 조우홍,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제23권, pp.61-90, 2009.
  9. 박소영, 문형준, "아동의 가족건강성 및 일상생활 스트레스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 한국인간발달학회, 제19권, 제1호, pp.143-162, 2012.
  10. R. B. Kline,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2nd ed.), New York: The Guilford Press, 2005.
  11. 서민영, 임은미,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게임중독 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제19권, 제4호, pp.163-175, 2010.
  12. 안석,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 서울 소재 중학교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3. 이경숙, 조복희, "초등학교 3-4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한국학교보건학회, 제20권, 제2호, pp.47-57, 2007.
  14. 이기영, 최성열, 신성철, 장성화,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 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제5권, 제4호, pp.111-133, 2008.
  15. 진은영, 서영미, "남자 고등학생의 분노표현, 자살생각 및 인터넷 중독 정도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제12권, 제1호, pp.430-437,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1.430
  16.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er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61, No.6, pp.1173-1182, 1986.
  17. 정아란, 엄기영, "만5세 유아의 컴퓨터 게임 이용실태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제13권, 제2호, pp.89-114, 2006.
  18. 정진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 문수백,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0. 조한익,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인터넷 이용동기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권, pp.269-287, 2011.
  21. 최나야, 한유진, "충동성, 부모와의 의사소통 및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기대가 아동, 청소년의 게임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09-220, 2006.
  22.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0.
  2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0 인터넷중독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24. 홍순표,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구", 한국청소년문화포럼, 제25권, pp.208-236, 2010.
  25. http://www.rider.edu/user/suler/psycyber/supportgp.html
  26. V. Murali and S. George, "Lost online : an overview of internet addiction.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the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Journal of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Vol.24, pp.24-30, 2007.
  27. K. S. Young,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3, pp.237-244, 1996.
  28. K. S. Young, Caught in the net: How to recognize the signs of. internet addiction and a wining strategic for recovery, New York: John Wiley & Son, INC, 1999.
  29. K. S. Young and C. Robert,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 Behavior, Vol.1, No.1, pp.25-28, 1998. https://doi.org/10.1089/cpb.1998.1.25
  30. 장성화, 박영진,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학교생활 적응, 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문학논총, 제15권, 제2호, pp.195-226, 2010.
  31. 어은주, 유영주,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45-156, 1995.
  32. 김용래, "학교학습동기척도(A)와 학교적응척도(B)의 타당화 및 두 척도 변인간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논집, 제18권, pp.3-37, 2000.
  33. 정보통신부,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인터넷 중독자가 검색 및 예방프로그램, 2003.

Cited by

  1.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of Developmental Changes in Early Adolescent Aggression and Family Factors vol.14, pp.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