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The Cyber Communities of Migrant Workers in Korea

한국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 관한 연구

  • 이정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다문화연구소) ;
  • 김영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04.15
  • Accepted : 2013.05.20
  • Published : 2013.05.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yber communities composed of migrant workers from communities without propinquity in Korea. Its methods are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t further seeks to disco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capital formed and reproduced within these cyber communities and participants'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e study revealed that ethnic and non-ethnic communities differed in terms of strength of cohesion, space constraints, and links with the outside world. The former showed characteristics of a localized community type. The main motivations for migrant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ethnic cyber community were communication and friendship rather than cooperation and sharing among members. They usually used cyber communication media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Conversely, the latter showed characteristics of an integrative type. Despite the difficulties in applying for membership and information provided in Korean, a high percentage of migrant workers participated in the community to obtain crucial information. The results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ocial capital and migrant workers' traits within the cyber community, while a strong correlation emerged among four factors of social capital: faith, norms, networking, and political participation. The study showed that social capital in the cyber community was in direct proportion to an integrative type of cultural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n particular, there was a strong connection between the cultural adaptation exhibited by members of the migrant subculture and their participation in discussions on political issues and human rights, with some migrants even functioning as agents of social change as participants in citizens' movement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cyber community facilitates the migrant subculture's communication with and integration into the indigenous Korean culture. Migrant workers' participation in the cyber community is therefore validated as an instrumental practice for members of this subculture to adapt to Korean society.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주 노동자의 근접성 없는 공동체 중 사이버 공동체의 특성과 공동체에서 형성되고 재생산되는 사회적 자본과 한국 사회에서의 문화적응과 관련성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 결과 이주 노동자 사이버 공동체 참여 특성에 의하면 민족 단위의 사이버 공동체와 비 민족 공동체 간에는 응집의 강도, 공간 제한성, 외부 사회와의 연결성 등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민족단위의 공동체는 '국지화된 공동체' 유형의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주된 참여 동기는 협업과 공유 보다는 구성원 간의 '소통과 친목, 교류' 등이며 이를 위해 소통 관계형 매체를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 민족 단위의 공동체는 '통합형' 유형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서' 참여하는 비율이 비교적 높으며 가입 절차의 까다로움이나 한국어로 정보가 제공되는 점 등이 참여의 어려움으로 부각되고 있다. 사이버 공동체 내부에서 이주 노동자 속성에 따른 사회자본의 유의미한 추의는 보이지 않았으나 사회자본 요소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정치 참여의 네 범주는 서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다. 사이버 공동체 사회 자본이 한국 사회에서의 통합형 문화적응에 정비례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이주 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에서 형성되는 정치 이슈 토론, 개인(인권) 문제 토로, 시민운동 참여 등이 다문화사회에서의 문화적응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로 한국 이주노동자의 사이버 공동체가 한국의 원 문화와 이주 문화가 소통하고 통합되는 부분에서 중요한 매개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향후 긍정적인 사회 문화적 호명의 대상이 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