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Enterprise R&D Investment on Inter-industry Technology Spillover in Korea under the new Normal Era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투자가 산업간 기술파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12.24
  • Accepted : 2013.02.04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enterprise R&D investment on inter-industry technology spillover in Korea under the new Normal Era. In order to do this, we tested the effect of production inducement, backward and forward linkage effects, and the effect of technology spillover such as technology intensity effects and technology diffusion effects based on an input-output framework.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 index industries of the production inducement effect were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manufacture of metal products, and general machinery. Some manufacturers of other non-metallic mineral products and transport equipment sectors appeared to have the strong effect of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that were almost equivalent to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In particular, the industries of 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activities appeared to have the strong effect of both forward and backward linkages. Therefore, we need to drive a strong policy support to higher enterprise R&D investment in the those particular industries not only to increase global competitiveness, but also to widen up the technology spillover effect on other industries.

본 연구는 금융위기 이후 새로운 질서로 부상되고 있는 뉴 노멀 시대하 한국 기업의 R&D투자가 각 산업에 미치는 기술파급효과를 생산유발효과, 전후방연관효과, 기술집약효과, 기술확산효과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생산유발계수가 높은 부문으로는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 금속제품, 일반기계 등인 반면 비교적 작은 부문으로는 석유 및 석탄제품, 전력, 가스 및 수도 등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간 전 후방연관효과를 나타내는 감응도계수와 영향력계수는 비금속광물제품이나 수송장비 등의 부문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이들 산업을 중심으로 R&D투자를 통한 기술혁신과 생산성 증대가 이루어진다면 여타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유발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기술파급효과인 R&D집약효과와 확산효과에서는 두 효과 모두 비교적 높은 부문은 전기 및 전자기기, 정밀기기, 그리고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부문으로 이들 산업으로부터 많은 기술이 체화되어 이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한 사항으로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과학전문 및 기술서비스업은 집약효과 및 확산효과 모두에서 높은 R&D투자효과를 보여주고 있어 앞으로 이들 산업의 육성이 필요시 된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R. McNamee, The New Normal: Great Opportunities in a Time of Great Risk. Portfolio, pp. 135-138, 2004.
  2. M. El-Erian, A New Normal (Secular Outlook), PIMCO. pp.1-8, 2009.
  3. http://buzz.money.cnn.com/2012/12/04/bill-grosspimco- investments/
  4. 김선재, 이영화, 임광혁, "인적자본형성으로서의 교 육투자와 경제성장과의 관계: OECD 비영어권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 3호, pp.315-325, 2010.
  5. 김선재, 이영화, "뉴 노멀 시대하 한국기업의 R&D 투자가 무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9호, pp.357-368,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9.357
  6. J. Eaton and S. Kortum,"Technology, Geography and Trade.," Econometrica, Vol.70, No.5, pp.1741-1779, 2002. https://doi.org/10.1111/1468-0262.00352
  7. P. Klenow and A. Rodriguez-Clare, "Externalities and Growth," in The Handbook of Economic Growth (Eds), A. Philippe and S. Durlauf, Elsevier, Amsterdam, 2005.
  8. P. Mohnen, "New Technology and Inter-industry Spillovers," STI Review, Vol.7, pp.131-147, 1990.
  9. M. Nadiri, "Innovations and Technological Spillovers," NBER Working, Paper No.4423, 1993.
  10. 이공래, 박재민, 황정태, 김은경, 지식집약서비스부문의 혁신특성과 전략, 과기술정책연구원, 2002.
  11. R. Miller and P. Blair,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 and Extensions, Prentice-Hall, Englewood Cliffs, 1985.
  12. 한국은행, 2010년 산업연관표(연장표).
  13. 국가과학기술위원회․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년도 연구개발활동조사보고서, 2011.
  14.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2010년도 기업의 연구개발 투자 및 연구인력 동향과 전망, 2010.

Cited by

  1. The Economies of Scale and Scope in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of Korea and Its Policy Implications vol.13, pp.1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1.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