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tellectualization of Film genre in Korea: the case of Film discourse From 1988 to 2007

한국 사회에서 영화의 지성화 과정에 관한 연구 : 1988~2007년까지의 인쇄매체에 나타난 영화담론을 중심으로

  • 김정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 Received : 2012.12.03
  • Accepted : 2013.01.18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is study considered the transition of changes in social status of the film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of printed media, having been published since 6th revised film policy in 1987. For the purpose, Pierre Bourdieu's cultural sociology, or 'Field theory approach' was engaged as a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basis of that theory, changes in social status was divided into expert and popular field. From 1988 to 2007, doctor's and master's theses on filmologie and the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 "Film Studies" were examined with regard to area of expertise, and movie-related books with regard to popular on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symbolic capital had inhered in the cinematic field along with speci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of analytic aspec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academic approach and political consideration had performed an important role in intellectualization of film.

이 연구는 1987년 영화의 자율화 정책 이후 인쇄 매체에서 생산된 담론 분석을 통하여 영화의 사회적 위상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피에르 부르디외의 문화사회학 이론을 원용하여 영화의 사회적인 위상의 변화를 전문적인 영역과 대중적인 영역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시기는 1988년부터 2007년까지 전문적인 영역은 '영화학 관련 석 박사 논문'과 대표적인 영화학 학술지 "영화연구"(1989~2007)를 통해서 알아보았고, 대중적인 영역은 '영화관련 단행본'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영화를 분석하는 틀이 전문화 다양화 되어 영화 장 내부의 상징자본이 축적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영화의 지성화 과정에서 영화를 학문적으로 접근하는 논리와 산업과 정책적인 측면으로 접근하는 논리 간의 역학관계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파트리스 보네위츠, 문경자 역, 부르디외 사회학 입문, 동문선, 2000.
  2. P. Bourdieu and R. Johnson trans, The Field of Cultural Production, Florida: Polity Books, pp.120-121, 1993.
  3. http://cesi.kedi.re.kr/
  4. 박기웅, 조정연, "현대소비사회에서의 취향과 유행의 상관성과 대중문화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2호, pp.165-175, 2010.
  5. 피에르 부르디, 하태환 역, 예술의 규칙, 동문선, 2006.
  6. J. Blewitt, "Film, Ideology and Bourdieu's Critique of Public Taste," British J. of Aesthetics, Vol.33, No.4, pp.367-372, 1993. https://doi.org/10.1093/bjaesthetics/33.4.367
  7. 이상길, "학술번역과 지식수용, 혹은 "이론은 어 떻게 여행하는가?" : 피에르 부르디외의 경우", 언론과 사회, 제19권, 제4호, pp.232-289, 2011.
  8. 이기형, "담론분석과 담론의 정치학-푸코의 작업 과 비판적 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언론과 사회, 제14권, 제3호, pp.106-145, 2006.
  9. 유지나,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이채, 2005.

Cited by

  1. Opportunity Structure Analysis as Cultural Legitimation of Film World after the 1980s -the case of Popular Culture Movement & the Opening of Film Industry- vol.13, pp.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