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olicy Changes on the Microcredit in Korea

마이크로크레딧의 정책변동과정 분석

  • 임은의 (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은주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 Received : 2012.11.23
  • Accepted : 2012.12.31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Microcredit was first introduced by non-profit organization in early 2000s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promoted the support policy of self-support community and the hope-developing bank. And then, microcredit policy was suddenly changed while the microfinance policy was promoted in 2009. For example, there were changes of the control tower of the policy, the emphasis on financial approach from welfare approach, the establishment of the operation agency.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changes on microcredit policy using the framework of Hood(1994) and Joo(1999) in order to analyze causes of sudden changes. As results, the reason affecting microcredit policy change was changes of an unemployment rate and the financial environment, the change of outside situation, the policy idea of the middle practicalism of government and the success of the experiment in microcredit, the passive intervention of stakeholders, the internal factors on the policy custom. So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policy is produced illogically because of the absence of stakeholders' participation.

2000년 초 비영리 기관에 의해 시범적으로 도입되었던 마이크로크레딧은, 보건복지부에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자활공동체 창업지원사업과 희망키움뱅크 사업의 형태로 추진되다가, 2009년 미소금융정책으로 결정되는 과정을 거치며 정책이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대표적인 변화로는 보건복지부에서 금융위원회로의 관할 부처의 변경, 복지적 접근에서 금융적 접근의 강조, 수행기관의 신설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갑작스런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Hood(1994)와 주재현(1999)에서 제시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그 정책변동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실업률 증가와 금융환경 변화, 금융위기 등의 외적 상황의 변화, 이명박 정부의 중도 실용 추진 의지 및 마이크로크레딧 실험 성공 등의 정책 아이디어의 힘, 수동적인 개입을 보여준 이해관계의 힘, 그리고 각 부처의 정책관성에서 비롯된 내적요인들이 그 원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러한 변동의 요인 속에 드러난 다양한 이해관계자 참여의 부재는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정책을 산출할 가능성을 높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L. J. Servon, Bootstrap capital: Microenterprises and the American Poor,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9.
  2. CGAP, "Finance for the poor", Focus Note, 2005.
  3. 김성현, "국제금융기구와 빈곤축소프로그램", 경제와사회, 제80권, pp.275-314, 2008.
  4.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05.
  5. 2009년 9월 17일자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6. W. N. Dunn, 남궁근외 공역, 정책분석론, 법문사, 2005.
  7. 양승일, 한종희, "정책대상조직에 의한 교육복지 정책의 변동분석-노무현정부의 사학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조직학회보, 제5권, 제1호, pp.1-26, 2008.
  8. 주재현, 정책과정론, 대영문화사, 2008.
  9. C. Hood, Explaining Economic Policy Reversals, The Open University Press, 1994.
  10. 주재현, "환경보전법 제정 원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1호, pp.295-310, 1999.
  11. J. Joo, "Explaining Social Policy Adoption in South Korea: the Cases of the Medical Insurance Law and the Minimum Wage Law," J. of Social Policy, Vol.28, No.3, pp.387-412, 1999. https://doi.org/10.1017/S004727949900567X
  12. O. Bayulgen, "Muhammad Yunus, Grameen Bank and the Nobel Peace Prize: What Political Science Can Contribute to and Learn From the Study of Microcredit," International Studies Review, Vol.10, pp.525-547, 2008. https://doi.org/10.1111/j.1468-2486.2008.00803.x
  13. 권순애, 김교정, "사회서비스 시장화에 따른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의 시장지향성과 조직성과 관 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27-242, 2012.
  14. M. Mendell, "Karl Polanyi and the Instituted Process of Economic Democratisation," in M. Harvey, S. Randles and R. Ramlogan, Karl Polanyi: New Perspectives on the Place of the Economy in Society,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7.
  15. J. E. Stiglitz, The Role of the State in Financial Market, Proceedings of the World Bank Annual Conference on Development Economics, The World Bank, 1993.
  16. C. Gonzales-Vega, "The New Development Finance," Economics and Sociology Occasional Paper, No.2398, The Ohio State University, 1997.
  17. World Bank, The World Development Report, The World Bank, 1989.
  18. R. L. Meyer and G. Nagarajan, Rural Financial Markets in Asia: Policies, Paradigms, and Perform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9. M. Schreiner, A Framework for the Analysis of the Performance and Sustainability of Subsidized Microfinance Organizations with Application to Bancosol of Bolivia and Grameen Bank of Bangladesh, Ohio State University, 1997.
  20. J. Conning, "Outreach, sustainability and leverage in monitored and peer-monitored lending," J. of Development Economics, Vol.60, issue.1, pp.51-77, 1999. https://doi.org/10.1016/S0304-3878(99)00036-X
  21. D. Adams and J. D. Von Pischke, "Microenterprise credit programs: Deja vu," World Development, Vol.2, Issue10, pp.1463-1470, 1992.
  22. A. G. Ayayi and M. Sene, "What drives microfinance institution's financial sustainability," J. of Developing Area, Vol.44, No.1, pp.303-342, 2010. https://doi.org/10.1353/jda.0.0093
  23. R. M. Buckley, "Microfinance In Industrial Countries: Lessons from the World Bank's Experience," in James H. Carr and Zhong Yi Tongm, Replicating Microfinance in the United States, Woodrow Wilson Center Press, 2002.
  24. 조복현, "금융과 경제적 형평: 저소득층과 지역 경제의 발전을 위한 소액금융의 역할", 지역사회연구, 제8권, 제10호, pp.49-78, 2000.
  25. 노대명, 정영순, 김수현, 이종수, 류만희, 송민아, 저소득층 창업지원모형에 관한 연구 - 각국의 사회연대은행을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26. 임원회, "마이크로크레딧 제도에 대한 개관과 한국의 도입 현황 및 정책제언", 사회복지정책, 제 25권, pp.309-331, 2006.
  27. 이순호, "소액금융의 성공사례와 국내 은행의 진출 시 고려사항", 주간 금융 브리프, 제16권, 제51호, pp.3-8, 2007.
  28. 최홍관, "한국 마이크로크레딧의 현황과 과제", 시민사회와 NGO, 제7권, 제1호, pp.127-174, 2009.
  29. 류만희, "근로빈곤층의 자활과 소액창업지원사업",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년 춘계학술대회, 한국사회복지학회, pp.545-556, 2005.
  30. 정희선, "영세기업을 위한 자금지원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여성기업을 위한 마이크로크레딧 활용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제28권, 제4호, pp.187-213, 2006.
  31. 김정원, "사회적 배제 완화의 측면에서 바라본 마이크로크레딧의 활동", 민주주의와 인권, 제7권, 제2호, pp.195-228, 2007.
  32. 남재성, "출소자들의 경제적 어려움 해소와 자립 지원을 위한 Micro-Credit의 활성화 방안", 교정 연구, 제40호, pp.55-81, 2008.
  33. 김남근, "미소금융사업의 문제와 과제 : 미소금융의 출범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와 극복 문제", 황해문화, 제66호, pp.335-349, 2010.
  34. 민세진, "미소금융 활성화 방안 모색", 서민금융 발전방향 정책 심포지엄, 금융연구원․금융연구 센터,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