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Social Capital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

  • 강종수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박은미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08.20
  • Accepted : 2012.12.20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Prior research has shown empirically that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capital are as a critical factor determin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welfare's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social capital. For the research, social capital was consisted of trust, norms and network,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measured by Kimberly & Quinn's competing value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Mean analyses showed that social workers perceived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capital had a higher than medium. Especially, group culture had a strong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capital. This study finally discusse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ocial capital strategies on the results.

조직문화와 사회자본은 조직효과성을 결정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가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것으로,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에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회자본은 신뢰, 규범, 네트워크의 세 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조직문화는 Kimberly and Quinn의 경쟁가치모형(competing value model)을 바탕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기관의 조직문화 및 사회자본은 모두 중간값 이상의 수준을 보여주고 있으며,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가 사회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문화는 사회자본의 구성요소인 신뢰, 규범, 네트워크 모두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사회자본이 형성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성과중심의 합리문화보다는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집단문화적인 조직문화를 촉진시켜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조, "조직문화와 조직성과의 변화에 대한 종단적 연구", 인사조직연구, 제8권, 제2호, pp.111-134, 2000.
  2. 강종수, 사회복지사의 다중몰입에 관한 연구: 조직특성과 조직효과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4, No.2, pp.95-120, 1998.
  4. 정명호, 오홍석, "집단성과 결정에 있어서 인적자본과 사회적자본의 효과", 인사조직연구, 제12권, 제3호, pp.91-122, 2007.
  5. 서인덕,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의 관련성에 있어서 사회적자본의 매개역할", 인적자원관리연구, 제16권 특별호, pp.99-110, 2009.
  6. 임성옥, "사회복지사가 지각한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및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32권, pp.169-187, 2008.
  7. 주리애, 노인복지시설의 조직문화와 조직유효성 관계에서 종사자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8. 홍순복, "세무공무원의 조직문화가 조직만족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7호, pp.366-373,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7.366
  9. 김은희,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자본과 직무만족", 행국행정논집, 제23권, 제1호, pp.371-399, 2011.
  10. 이상도,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문제해결능력과 네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대전광역시 소재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11. 표갑수, 김현진,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0집, pp.69-92, 2009.
  12. 한상미, 사회복지사들의 사회자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한유미,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4. C. A. O'Reilley and D. R. Caldwell, "The impact at normative social influence and cohesiveness on task perception and attitudes: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8, pp.193-206, 1985.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5.tb00195.x
  15. V. Sathe, "Implications of corporate culture: A manager''s guide to action," Organizational Dynamics, Vol.12, No.2, pp.5-23, 1983.
  16. J. Martin, Organizational Culture: Mapping the Terrai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02.
  17. J. B. Barney, "Organizational culture: Can it be a source of sustained competitive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1, pp.656-665, 1986. https://doi.org/10.5465/AMR.1986.4306261
  18. J. P. Kimberly and R, E. Quinn, "Paradox, Planning and Perseveranc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Illinois: Irwin, 1984.
  19. 강종수, "지역사회복지관 조직문화가 사회복지사 다중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0권, 제2호, pp.31-56, 2008.
  20. 김영춘, 정민숙, "조직문화, 임파워먼트와 신뢰와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2호, pp.292-300,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2.292
  21. 임진섭,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성이 사회통합 지 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조직문화의 조적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창립50주년기념 세계학술대회, 2007.
  22. 차윤석, "조직문화와 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3권, 제5호, pp.2054-2062, 2012. https://doi.org/10.5762/KAIS.2012.13.5.2054
  23. P. Bourdieu, "The forms of capital" in John G Richardson(ed),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Sociology of Education. New York: Greenwood. 1986.
  24. 양정호, "한국 초등학생의 사회적자본: KYPS 초등자료 분석", 초등교육연구, 제20집 제1호, pp.335-353, 2006.
  25.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26. 전기우, 윤광재, "복지전담인력의 사회자본, 지적자본, 직무성과간 영향관계분석", 행정논총, 제49권, 제2호, pp.205-234, 2011.
  27. 박희봉, "공공조직 사회자본의 영향요인과 효과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제15권, 제4호, pp.49-74, 2009.
  28. 김구, "경찰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4호, pp.127-151, 2011.
  29. 문영주, "사회복지조직의 사회적자본 척도 구성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연구, 제42권, 제3호, pp.381-407, 2011.
  30. 김정란, 교사의 사회자본이 직무수행 및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03.
  31. B. Ashforth, "Climate formation: Issues and extens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0, 837-847, 1985.
  32. R. Pascale, "Fitting new employees into the company culture," Fortune, Vol.109, No.11, pp.28-43, 1984.
  33. 최승아, 조직문화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연구: 서울시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4. J. Nahapiet and S. Ghoshal,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2, pp.242-266, 1998.
  35. 김동현, 기업의 사회적자본과 인적자원개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