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ase Manager's Perception and Practices of Case Management Process at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Focused on the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s in Busan-

사회복귀시설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과정에 대한 인식과 수행에 관한 연구 -부산지역 사회복귀시설의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 김선주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김교정 (동명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2.11.26
  • Accepted : 2013.01.03
  • Published : 2013.01.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o cognize and perform case management process to community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Busan area. The case of case manager for 12 people obtained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n-depth analysis. Many commissioned by a variety of human service organizations in the contract and the client-centric intake has been received. Assessment, rather than a function of mental disabilities center service needs, planning difficulties in securing resource discovery and felt. Intervention phase focuses on direct service and when several agencies responsible for the case management approach. The possession of responsibility was unclear. Mainly monthly facilities within the checking step checks are being made, there was a desire for the realistic-supervision. Completion stage expectations showed a performance evaluation oriented, and individualized case management that can be represented well on the rating scale.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사회복귀시설의 사례관리자를 대상으로 사례관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사례관리과정이 실제 어떻게 수행되고 있는지를 탐색함에 있다. 사회복귀시설의 사례관리자 12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심층분석하였다. 접수는 다양한 휴먼서비스 조직에서의 의뢰가 많고, 클라이언트 중심의 인테이크와 계약이 이루어지고, 사정은 정신장애인의 기능보다는 서비스 욕구중심으로, 기획은 자원발굴과 확보에 어려움을 느꼈다. 개입단계는 직접서비스 위주로 진행되고 여러 기관에서 접근 시에 사례관리에 대한 책임소지가 불분명했다. 점검단계는 주로 매달 시설 내에서 점검이 이루어지고 현실적인 슈퍼비전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종결에서는 성과평가 위주였고, 사례관리를 잘 나타낼 수 있는 개별화된 평가척도에 대한 기대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서동우, 이영문, 김윤, 임정기, 김동진, 전국정신보건시설의 정신건강 프로그램 및 재원환자의 정신건강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건복지부. 1999.
  2. 민소영,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사례관리 구조에 대한 탐색적 고찰",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pp.152-156, 2005.
  3. 민소영, "강점관점 반영 사례관리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0권, 제1호, pp.39-65, 2008.
  4. 민소영, "사례관리수행요소와 지역거주정신장애인의 소비자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탐색",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3호, pp.103-127, 2009.
  5. 민소영, "정신보건실천현장의 사례관리활동목록(Case Management Activities Inventory) 개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64권, 제3호, pp.127-153, 2012.
  6. 배성우, 김이영, "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의 종단적 검증",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29권, pp.234-256, 2008.
  7. 배성우, 김이영, 손지아, "정신보건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 프로그램의 종합적 및 개별적 영향력의 파악", 사회과학연구, 제26권, 제4호, pp.247-269, 2010.
  8. 이용표, "지역사회정신보건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재활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신보건사 회사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수련교육, p.84, 2000.
  9. 김이영, "사회복귀시설의 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 장애인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 6개월 추적연구", 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 추계세미나 및 한국지 역사회정신보건학회 추계학술대회, pp.87-103, 2004.
  10. 박미은, 박귀서, "정신질환자를 위한 사례관리에서 자원활용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8권, p.30, 1999.
  11. 이정숙, 김수진,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례관리의 효과", 대한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 정신간호학회지, p.206, 2002.
  12. 김연희, "미국정신보건서비스 전달전략과 한국에서의 적용가능성", 한국사회복귀시설협회 춘계세미나 및 한국지역사회정신보건학회 춘계학술대회, pp.74-75, 2004.
  13. 권자영, "정신장애인과 사례관리자가 지각한 관계가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의 매개효과 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재활복지, 제15권, 제3호, pp.317-344, 2011.
  14. 이경아, 하경희, 유명이,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에서 사회복지사의 강점사정 적용에 관한 실행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3권, pp.150-166, 2009.
  15. 하경희, 이경아, 이근희, "사회복귀시설에서의 강점실천에 대한 서비스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6권, pp.82-106, 2010.
  16. 이경아, 하경희,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강점 기반실천 경험에 관한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40권, 제2호, pp.63-90, 2012.
  17. NASW, NASW Standard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National Standards of Practice for Case Management, 1996.
  18. Moxley, D. P., The Practice of Case Management, CA: Sage Publication, 1989.
  19. 김기태, 황성동, 최송식, 박봉길, 최말옥, 정신보건복지론, 양서원, 2009.
  20. 최명민, "정신과 환자의 사례관리를 활용한 퇴원 계획에 대한 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수련교육, pp.118-119. 1999.
  21. 이강, "정신장애인 사회복귀를 위한 사례관리 효과성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기반의 적극적인 사례관리모델-", 한국복지재단, 동광, pp.62-104, 2001.
  22. F. Holloway, "Case management for the mentally ill: looking at the evidence," Int J Soc Psychiatry, Vol.37, pp.2-13, 1991. https://doi.org/10.1177/002076409103700102
  23. P. Sullivan and C. A. Rapp, Environmental context, opportunity and the process of recovery: The role of strengths based practice & policy, Longman, 2002.
  24. 양정남, 권구영, 김화선, 최은정, 한혜경, 사례관리, 양서원, 2009.
  25. 이기영, 임혁,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능력 파악과 근로동기 강화․저해요인 탐색",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3호, p.205, 2009.
  26. 권진숙, 김상곤, 김성경, 김성천, 김혜성, 민소영, 박선영, 박지영, 백은령, 유명이, 유서구, 이기연, 조미숙, 조현순, 황성철, 사례관리론, 학지사, 2012.
  27. 권진숙, 김상곤, 김성경, 김성천, 김혜성, 민소영, 박선영, 박지영, 백은령, 유명이, 유서구, 이기연, 조미숙, 조현순, 황성철, 사례관리론, 학지사, p.122 인용, 2012.
  28. 조미숙, 이윤로, 강용규, 간호옥, 김나영, 사례관리, 창지사, 2008.
  29. 권진숙, 사례관리의 실제, 공동체, 2009.
  30. 서혜석, 이대식, 조장래, 정향숙, 이영희, 곽의향, 김미혜, 박우진, 조상임, 사례관리-임상사례 중심으로-, 양서원, 2008.
  31. 이기연, "정신보건영역에서의 사례관리사업평가: 현황 및 전망", 한국사례관리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69-102, 2001.
  32. Woodside and McClam, Generalist case management: A method of human service delivery(3rd ed.), Thomson Brooks/cole. 2006.
  33. M. Q. Patton,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2002.
  34. 정수경, "학교사례관리 준거틀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인식",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제25권, 제4호, pp.393-423, 2009.
  35. 정영철, "사례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복지자원 관리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128호, pp.1-4, 2012.
  36. 권진숙, 김상곤, 김성경, 김성천, 김혜성, 민소영, 박선영, 박지영, 백은령, 유명이, 유서구, 이기연, 조미숙, 조현순, 황성철, 사례관리론, 학지사, p.242, 2012.
  37. 하경희, "정신장애인 대상 ACT 사례관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4권, 제2호, pp.67-92, 2010.
  38. 서진환, 이선혜, 황순찬, "정신건강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를 위한 사회복지기관의 서비스 제공 과정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37권, pp.279-320, 2011.
  39. 이상영, "사회적 여건변화에 따른 정신건강증진 정책의 추진방향과 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포럼, pp.68-77, 2012.
  40. 민소영,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사례관리 구조에 대한 탐색적 고찰",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사회과학연구, pp.149-150, 2012.
  41. 김영춘, 정민숙,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복지 기관의 정책적 대응 고찰",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254, 2010.

Cited by

  1. The mental healt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 South Korea and its risk and protective factors: A literature review vol.64, pp.1, 2018, https://doi.org/10.1177/00207640177445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