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t on 'the Highest Good of a Possible World'

칸트에서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

  • Received : 2012.02.08
  • Accepted : 2012.02.29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In order to locate Kant's concept of the highest good within ethics and the theory of moral religion, it needs to be approached with some qualifications: there are two rough ways to be suggested. The first way is to focus on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that is explained in terms of the happiness in proportion to a rational being's virtue or to his/her worthiness to be happy. But the happiness determined in the sense outlined above would be (increasingly or decreasingly) changeable according to each one's individual morality-this is what is meant by each one's 'worthiness' here-, and would not be seen as the perfect one. It might even be said that this kind of happiness is possible in a sensible world generally taken, if the existence of God thought of as harmonizing natural phenomena and the moral order is successfully presupposed. The other wa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highest good literally: in this view, the highest good shows that a rational being's character is completely appropriate to the moral law and for him/her, its corresponding idea, i.e., the perfect happiness, is considered with full justification. But the highest good in the sense sketched above-along with the existence of God and the immortality of the soul-is expected to be realized only in an intelligible world generally taken. This means that it should be appraised as an ideal of the highest good that includes the so-called 'physical happiness' specified in terms of the first way as its element. In this regard, it is seen to be somewhat restricted. Between the two concepts of the highest good already touched upon, the highest good of the possible world would be the on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first way. In other words, it is not the highest good in an intelligible world, but the highest good in this world. Of course, it is true that we cannot help but assume the existence of God-a being as higher, as moral, as most holy, and as omnipotent-in order to explain the highest good in this world (namely, in order t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the combination of the happiness and the worthiness). For as long as both morally good acts and the happiness are considered to happen in a natural world, the cause of the nature (i.e., the existence of its creator), that is, God, must be able to be presupposed. In this vein, Kant interprets that most people view that the key of the Bible is to show that the best world which is characterized by an intelligible or heavenly kingdom is also actually feasible in this world. The wish of the people who have the morally good character is that God's kingdom comes and his will is properly achieved in this world. But we cannot know what God really does in order to realize his world in this world. Nonetheless, we are fully aware of what we should do in order to make ourselves a member of his world. It is specified like this: we should do our ethical duties and further proceed to establish an ethical community. Viewed this manner, it is concluded that an ethical community is not a merely ideal thing like the kingdom of the ends, but a human apparatus or institution that exists in this world.

칸트의 '최고선'을 윤리론과 도덕종교론 내에 위치시키려면, 칸트의 '최고선'을 두 가지 한정된 의미로 이해할 수밖에 없다. 첫째는, 이성적 존재자의 덕행과 그의 윤리성에 정비례하는 만큼의 행복을 요소로 갖는 최고선이다. 이러한 의미의 최고선에서 행복은 그 행복을 누릴 품격인 각자의 윤리성의 정도에 따라 다소와 증감이 있을 것이고, 그러니까 완벽한 것이라 할 수는 없으되, 감성세계에서도 가능한 것이라 하겠다. 만약 자연운행과 윤리질서를 조화시키는 신의 현존을 전제할 수 있다면 말이다. 둘째는, (문자 그대로) 이성적 존재자의 내적 도덕법칙과의 온전한 부합과 그에 상응하는 완벽한 복, 즉 지복(至福) 내지 정복(淨福)을 요소로 갖는 최고선이다. 이러한 최고선은 신의 현존과 함께 영혼의 불사성을 전제하고서 예지세계에서나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앞서의 물리적 행복을 성분으로 갖는, 그러니까 제한된 의미에서의 최고선의 '이상(理想)'이라 하겠다. 이제 '가능한'을 '실현 가능한'으로 새기면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은 첫째 의미로서일 것이다. 이 최고선은 한낱 "예지 세계에서의 최고선"이 아니라 "이 세계에서의 최고선"이다. 물론 이 세계에서의 최고선, 곧 행복과 덕의 부합 가능성을 위해서 우리는 "하나의 보다 높고 도덕적이고, 최고로 신성하며 전능한 존재자를 상정하지 않을 수 없다." 윤리적 행실과 행복은 모두 자연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인 만큼, 이 양자가 합치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원인(따라서 창시자)인 존재자, 다시 말해 신"이 전제되지 않을 수 없으니 말이다. 그래서 칸트는 사람들은 예지계인 하늘나라와 같은 '최선의 세계'가 땅에서도 이루어질 것을 발원한다고 ${\ll}$성서${\gg}$를 이끌어 해석한다. 모든 선량한 마음씨를 가진 이들의 소망은, "신의 나라가 오고, 그의 뜻이 지상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만 우리는 "그의 나라를 현실에서 현시하기 위해서 신이 무엇을 직접적으로 행하는가를 알지 못한다. 그러나 우리는 우리를 그 나라의 성원으로 적합하게 만들기 위해서 우리가 무엇을 해야만 하는가는 충분히 아는 바이다." 그것은 각자가 윤리적 의무를 다 해야 하고, 그리고 더불어 윤리적 공동체를 세우는 일이다. 그러니까 윤리적 공동체는 '목적들의 나라'와 같은 한낱 이상적인 것이 아니라, "지상에 실존"하는 것으로서, 인간들의 기구이고 제도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