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iveness of G-Learning(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utilizing Game) adopted in an English Class for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5학년 영어수업에 적용된 G러닝(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학습 효과

  • Received : 2012.08.09
  • Accepted : 2012.09.27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G-learning English afterschool classes implemen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 low achievement level in English. These days, the use of games in teaching and learning, known as G-learning, has gradually expanded,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how to adapt G-learning generally in English education. A G-learning afterschool English class was implemented to 23 low-level 5th grade students in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on for 12 weeks. This study set two hypotheses aiming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in achievement and a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s. Pre and post achievement tests were conducted. Also, survey and FGI (focused group interview) were carried out twice with the participants. The study found that students' spelling awareness, vocabulary recognition and dialogue comprehension ability (hypothesis 1) were all improv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Moreover, after the class, participants' confidence and interest toward English study showed meaningful increas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된 G러닝 방과후학교 영어수업의 효과성을 제시하고 있다. 최근 게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의미하는 G러닝이 활성화되면서, 영어교육 분야에서 G러닝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에 소재한 한 초등학교에서 23명의 5학년 영어 성취도 하위권 학생들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G러닝 영어 방과후학교 수업을 진행하였다. G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성취도 및 정의적 영역에 대해 두 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수업 전, 후 성취도 평가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FGI를 통해 참여자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그 결과 하위권 학생들의 영어 성적이 약 15점 정도 향상되었고, 단어 철자 그리고 의사소통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도를 보였다. 또한, G러닝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영어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갖게 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원은석, 김혜경, 정재은, 정동빈, "대학생 휴대단말기 사용현황 조사를 통한 u-러닝 영어교육 발전방향 제시", 현대영어교육, 제9권, 제2호, pp.158-184, 2008.
  2.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대한민국 게임백서, 2010.
  3. 문화체육관광부, 2010년 신규 G러닝 연구학교 5 개교 확정,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2010년 2월23일. http://www.mcst.go.kr/web/notifyCourt/press /mctPressView.jsp?pSeq=10492&pMenuCD=030 2000000
  4. 양철민, 교육, 치료용 게임으로 활로 찾자, 서울경제신문, 2011년 4월 21일. 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104/ e20110421165143117740.htm
  5. 김정렬, 장윤정, "다중참여 온라인 역할수행 게임이 초등학생의 영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멀티미디어언어교육, 제11권, 제1호, pp.103-125, 2008.
  6. 김보미, 온라인 영어게임학습과 교실수업을 연계한 블렌디드 영어수업의 후행활동 유형과 학습자영어수준이 중학교 영어학습자의 어휘 및 문법학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1.
  7. 서순식,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MMORPG를 이용한 영어수업", 동경대학대학원 정보학환 일한 국제심포지엄, 동경대학교, 2008(12).
  8. 원은석, MMORPG를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교수학습의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9.
  9. 위정현, 원은석, 정동빈, "MMORPG를 활용한 고등학교 영어 교수학습의 효과", 현대영어교육, 제10권, 제3호, pp.194-216, 2009.
  10. 장지윤, 컴퓨터 게임을 활용한 에듀테인먼트 영어 학습의 효과성 연구 -워크래프트 3 게임을 활용한 대학생 영어 수업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0.
  11. 정동빈, 원은석, 김현정, "MMORPG를 활용한 영어교수 방법 제시: 군주 글로벌을 중심으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8권, 제4호, pp.3-16, 2008.
  12. 정동빈, 김현정, 원은석, "초등학생용 모바일 영어어휘 게임을 위한 어휘목록 및 콘텐츠 적용방법 제시",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10권, 제4호, pp.35-48, 2010.
  13. 임병노, "네트워크기반 교육용게임이 만족도, 성취도 및 학습동기.전략 향상에 미치는 영향", 멀티미디어언어교육, 제9권, 제1호, pp.94-115, 2006.
  14. 원은석, 임수진, "온라인게임과 교육이론: 구성 주의", 위정현 외(편), 온라인게임 교육과 손잡다, ppp.25-43, 서울: 한경사, 2008.
  15. 정동빈, 김주은, "어린이 영어교육을 위한 컴퓨터 게임 모형", 영어어문교육, 제10권, 제2호, pp.133-158, 2004.
  16. 서울특별시교육청, 2004-2008 서울교육 변화와 전망,서울특별시교육청 연구자료, 2008년 8월 25 일.
  17. 서울특별시교육청, 학생․학부모의 교육수요를 충족하는 2010 사교육비 경감 추진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자료, 2010년 4월 15일.
  18. 위정현, 원은석, G러닝 영어 교수학습 방법: G러닝 사례분석을 통한 효과성 제시, 제18회 현대영어교육학회, 대진대학교, 포천, 2010.
  19. M. Prensky, Digital Game-Based Learning. NY: The McGraw Hill. 2001.
  20. K. Squire, "What happens when video games enter the classroom?," Innovate: Journal of online education, Vol.1, No.6, pp.25-49, 2005.
  21. K. Squire and H. Jenkins, "Harnessing the power of games in education," Insight, Vol.3, No.1, pp.5-33, 2004.
  22. D. W. Shaffer and J. P. Gee, Before every child is left behind: How epistemic games can solve the coming crisis in education, Retrieved August, 5, 2012, from the world wide web.: http://coweb.wcer.wisc.edu/cv/papers/learning_ crisis.pdf. 2005.
  23. 위정현, 원은석, "효과적인 구성주의 학습도구로써 온라인게임의 활용: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경영전략 수업의 구성주의적 고찰",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6권, 제4호, pp.25-37, 2006.
  24. K. Beatty, Teaching and researching computer-assisted language learning, London: Pearson Education, 2003.
  25. 김지영, "모바일 기반 언어학습에 관한 고찰", 현대영어교육, 제7권, 제2호, pp.57-69, 2006.
  26. 한종임, "영어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도구 활용 방안", 멀티미디어언어교육, 제6권, 제2호, pp.243-264, 2001.
  27. R. Hoffman, "The warm network, electronic mail, ESL learners, and the personal touch," On-CALL: The Australian Journal of Computers and Education, Vol.8, No.2, pp.10-13, 1994.
  28. M. C. Pennington, "The Power of the Computer in Language Education," In M. C. Pennington (Ed.), The power of CALL pp.1-14, Athelstan Publications, 1996.
  29. 우신초등학교, 게임형 문화콘텐츠 활용을 통한 영어과 교수학습 방법 개선 방안, 서울특별시교 육청지정 연구학교 1차년도 운영보고서, 우신초등학교, 서울, 2009.
  30. 김달효, 교육학개론,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31. T. McEnery and A. Wilson, Corpus linguistics. Edinburgh: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1.
  32. P. Nation and R. Waring, "Vocabulary size, text coverage, and word lists," In N. Schmitt, & M. MaCarthy (Eds.), Vocabulary: Description,acquisition, pedagogy pp.6-1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3. R. Oxford and A. Scarcella, "Second language vocabulary learning among adults," System, Vol.22, No.2, pp.231-243, 1994. https://doi.org/10.1016/0346-251X(94)90059-0
  34. N. Ellis, "Vocabulary Acquisition: Word structure, collocation, word-class and meaning," In N. Schmitt, & M. McCarthy. (Eds.),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pp.122-1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
  35. M. Peterson, "Leaner interaction management in an avatar and chat-based virtual world," Computer 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9, No.1, pp.79-103, 2006. https://doi.org/10.1080/09588220600804087
  36. P. Svensson, "Virtual worlds as arenas for language learning," In U. Felix (Ed.), Language learning online: towards best practice, pp.123-142, Lisse: Swets & Zeitlinger, 2003.
  37. 위정현, 오나라, 김양은, "온라인게임을 통한 아동경제 학습효과 분석",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5권, 제4호, pp.13-22, 2005.
  38. 위정현, 원은석, "온라인게임 '군주'를 활용한 초등학교 정치수업 구성과정과 효과", 한국게임학회논문지, 제9권, 제5호, pp.83-94, 2009.
  39. J. Willis, A framework for task-based learning. MA: Addison-Wesley, 1996.
  40. T. Hayamizu,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Examination of Reasons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Japanese Psychological Research, Vol.39, No.2, pp.98-108, 1997. https://doi.org/10.1111/1468-5884.00043
  41. R. M. Rayan and E. L. Deci,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Vol.55, pp.68-78, 2000. https://doi.org/10.1037/0003-066X.55.1.68
  42. 김경근, "교육격차의 실태와 추이", 통계개발원 (편), 한국의 사회동향 2010 pp.75-82, 서울: 통계청, 2010.
  43. 이재훈, 김민경, 영어실력 양극화 '우수'보다 '미달'이 훨씬 늘어, 한겨레신문사, 2011년 4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