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rection of Korean Musical Education, focused on the University Education

한국 뮤지컬 음악 교육의 나아갈 방향, 대학 교육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2.09.06
  • Accepted : 2012.10.12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Due to the burgeoning Korean musical industry, the needs of professional man power as well as the quality and quantity increas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on the rise. The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comprises through school education programs in which embody the artists' self-growth and self-realization. The field of arts simply could not be executed with only techniques but through the theory and educational course, the artist is able to clearly express and communicate their genuine desires. Therefore, Korean musical education could not conform to shortsighted trends or be used as an instant tool for increasing competitiveness among universities but make an effort to provide good quality curriculum for the purpose of producing talented actors. Furthermore, the curriculums should build a sincere trust and give confidence in which receiving a cultural education before choosing a career path is not getting behind ahead of becoming an actor with practical training and knowledge. In order to do so, it is necessary for each university to have more systematical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structure that enable students to build promising future even after graduation through more effective educational courses and strong network. As a result,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would rise due to producing talented actors and the quality of musical industry would further improve as well.

한국 뮤지컬 산업의 급성장으로 그에 따른 전문 인력 배출의 필요성과 교육 기관의 양적, 질적 증대가 대두 되고 있다. 예술 교육의 커리큘럼은 학교 교육을 통해 예술가의 자기성장과 자아실현이 구현 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단순히 예술이 기술만 갖고 해결 할 수 있는 분야가 아니라 이론, 교양 과목의 통합 교육을 통해 자신이 표현 하고자 하는 것을 명확히 전달하고 소통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국 뮤지컬 음악 교육 또한 근시안 적인 유행이나 순간의 대학 경쟁률을 높이는 교과목들의 나열 보다는 깊이 있는 배우를 배출하기 위한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도록 노력 하여야 한다. 또한 학교 교육을 받은 후 사회에 나가는 것이 결코 뒤처지는 것이 아니라 이론과 실기를 겸비한 깊이 있는 배우로서 성장 할 수 있는 지름길이라는 신뢰를 주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대학마다 대학 입시와 커리큘럼, 졸업 후 활동 방안에 대해 연계성을 갖고 올바른 비전과 관통선을 제시하는 체계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좋은 배우들의 배출로 대학 경쟁력도 높아질 것이며 더 나아가 뮤지컬 산업의 질적 향상도 이루어 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혜진, "뮤지컬 문화공연 콘텐츠의 원소스 멀티유즈 활용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추계종합학술대회, 제4권, 제2호, pp, 180-184, 2003.
  2. 남지영, "학교 뮤지컬 교육 운영 방안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14권, pp.16-79, 2012.
  3. 김영아, "브로드웨이 영향과 수용 속에서 성장한 한국 뮤지컬의 향후 과제", 인문콘텐츠, 제10호, pp.363-382, 2007.
  4. 남지영, "학교 뮤지컬 교육 운영 방안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14권, pp.16-79, 2012.
  5. 이장직, 한국 뮤지컬의 현주소와 미래, 공연과 리뷰, 1995.
  6. http://www.whatuni.com
  7. 최미리, 미국과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 비교, 양서원, 2001.
  8. http://www.education-portal.com
  9. http://steinhardt.nyu.edu/music/history
  10. 박일규, 현대뮤지컬발성법, 연극과 인간, 2012.
  11. http://bostonconservatory.edu/history
  12. 이중만, 오용선, 오영삼, 신준우, "문화콘텐츠분야 대학 교육기관 인력양성 정책방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pp.10-17, 2008.
  13. 전병준, 윤미정, "흥행 불확실성에 따른 국내 뮤지컬산업의 흥행 전략", 예술경영연구, 제17집, pp.111-137, 2010.
  14. T. S. Shaffe, "Music as Performance Method: The Score in Experimental Performance," SAGE Publication, pp.320-325, 2010.
  15. http://www.fnnew.com
  16. 김선형,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정책연구", 인문콘텐츠, 제8호, pp.339-356, 2006.
  17. 조부환, "한국 음악 전공자의 유학 후 실태와 새로운 유학 모델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음악교육공학, 제13권, pp.157-170,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