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Spat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Integrated Model of Space Syntax and GIS - A Case Study of the Hapdeok Area in Dangjin City -

공간구문론과 GIS 통합 모델을 이용한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 당진시 합덕읍 일원을 대상으로 -

  • Yun, Jeong-Mi (Rural & Agricultural Research Division,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윤정미 (충남발전연구원 농촌.농업연구부)
  • Received : 2012.04.02
  • Accepted : 2012.08.29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existing space syntax has a weakness only to apply the road factor. Hence, it is necessary to perform a new spatial structure analysis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 as well as the road fa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odified spatial structure analysis which adopts road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using the existing space syntax and GIS and then to apply it to the spatial structure analysis of the urbanized areas in Hapdeok town. For the new analysis, the experts' survey has been conducted to derive the spatial structure factors of the area and their relative weights. Specifically, it drew the road factor as well a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road, district, land value, and building dens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existing spatial structure analysis considering only the road factor does not reflect the actual spatial structure but the modified spatial structure analysis considering the road factor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more accurately analyzes the spatial structure of Hapdeok town. Hapdeok is not an area where road networks were developed along main development axis and its centrality was changed, but an area where road networks were developed by effectiveness and equity and its centrality was changed by downtown decline. The towns like Hapdeok is more suitable for applying the modified spatial structure analysis method conside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for selecting characteristics factors and appropriate parameters in the modified spatial structure analysis. Further case studies await in other cities for conducting its verification.

기존의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활용한 공간구조분석(Spatial Structure Analysis)은 가로망(road)에 관한 인자(factor)만을 활용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기에, 가로망 인자만이 아닌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인자를 도출한 현실성 있는 공간구조 분석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역의 공간구조 특성인자를 도출하여 기존의 공간구문론과 GIS와의 통합모델을 구축하여 수정형 공간구조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합덕읍 일원의 중심지역을 대상으로 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의 공간구조 특성요인 및 상대적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는 인자로 가로망 뿐만 아니라 용도지역, 지가, 건물의 밀집도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합덕읍의 경우 도로만을 이용한 기존의 공간구조분석을 활용한 공간구조분석 방법이 실제적인 값을 반영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지역적 특성 인자를 추가하여 분석한 수정형 공간구조분석 결과가 합덕읍의 현실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합덕읍과 같은 경우 개발 축에 따라 가로망이 변화되고 중심성이 변화되는 지역이 아니라, 효율성과 형평성에 의해 가로망이 형성되거나 쇠퇴로 인해 중심성이 변화된 지역이기에 이러한 지역의 경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방법이 더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구조분석 인자 선정 및 파라미터 선정에 관한 더 깊은 연구가 필요하고 다른 지역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하여, 모델에 대한 상호 검증 및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공은미, 김영욱, 신행우. 2009. 도시성장에 따른 도시 공간구조 및 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 10(3):19-32.
  2. 김영욱. 2003. Space Syntax를 활용한 공간구조속성과 공간사용패턴의 상호관련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38(4):7-17.
  3. 김영욱, 2009.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충청남도북부권의 공간구조 변화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6-12쪽.
  4. 김정희. 2009. GIS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서울시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분석.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82쪽.
  5. 오충원. 2004. GIS와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이용한 도시 공간 구조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38(4):573-583.
  6. 이행욱, 김영주, 최수명. 2004. Space Syntax를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권역의 공간구조분석에 관한 연구. 농촌계획 10(4):21.
  7. 이경로. 2005. 공간분석을 위한 GIS와 Space Syntax의 통합 모델 개발 연구. 세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쪽.
  8. 이행욱. 2005.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농촌마을 종합개발권역의 공간구조 분석.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쪽.
  9. 전철민. 2007. GIS 기반 Space Syntax를 이용한 대중교통 접근성.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논문지 9(3):25-33.
  10. 최철현, 정성관, 이우성. 2011. 공간구문론과 GIS를 이용한 조망점 위치결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2):53-68.
  11. Jiang B. and C. Claramunt. 2000. Integration of space syntax info GIS : new perspectives for urban morphology. Transaction in GIS 6(3):295-309.

Cited by

  1. Analyzing the Changes of Spatial Structure and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by Using Space Syntax vol.19, pp.1, 2016, https://doi.org/10.11108/kagis.2016.19.1.043
  2. Classification Analysis of Road Network-Based Land Use Considering Spatial Structure vol.17, pp.1, 2014,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1.024
  3. Estimating the Validity of CPTED Guidelines on Residence Hall in University: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CPTED Checklists and Space Syntax Analysis vol.17, pp.4, 2015, https://doi.org/10.5659/AIKAR.2015.17.4.117
  4. 종분포모형을 이용한 참매의 서식지 예측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vol.29, pp.3, 2012, https://doi.org/10.13047/kjee.2015.29.3.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