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and depression on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서석남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사화복지전공) ;
  • 이상구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경영사회교육전공) ;
  • 임상호 (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 경영사회교육전공)
  • Received : 2012.08.20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sitive parenting style, self-efficacy, stress, depression,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The data in this study used from the 2010 Korea Youth Health Status Survey(N=7,187). To explore these relationships between each variable showed in this study model,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SEM) was carried out by using IBM SPSS AMOS Ver. 19.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ositive parenting style mad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nd reduced the stress and depression, eventually affected school adjustment positively. Secondly, the more self-efficacy, and the less stress and depression. And the more self-efficacy, and the more school adjustment. Thirdly, as considering the indirect effect of positive parenting style on schoo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as self-efficacy, positive parenting style i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any other factors. These results implies that positive and intimate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or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are necessary highly.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우울,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분석대상은 한국 청소년정책 연구원에서 실시한 2010년 한국청소년 건강 실태조사에 응답한 중 고등학생 청소년이며, 총 7,187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보면,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스트레스 및 우울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았으며, 학교생활적응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우울이 낮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등 매개변수를 통한 간접효과까지 고려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전체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에 통제적이고 권위적인 양육태도보다는 긍정적이면서 자율 수용적인 양육태도로의 변화, 친밀한 부모-자녀관계 형성, 그리고 양육방식에 대한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