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eju Type of Crime Analysis and the Strategic Direction of the Corresponding

제주지역 범죄발생 유형 분석 및 전략적 대응 방향

  • Received : 2012.05.23
  • Accepted : 2012.06.18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It is the fact that crime has always co-existed with human history;that preventive measures have always been taken while it has been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some forms. We, in the meantime;should not be negligent in the matter that our preventive measures are rather short sighted, and non strategic in many ways. Now then, would we be able to question, if our modern crime preventive measures have been modernized and become more strategic? Certain point has been raised to myself;especially regarding (community oriented policing cop); this has been one of the strategic crime preventive measures co-performed by the central police;Jeju-special independent province maybe an appropriate example; which has become special self rule province in July, 2007; establishing not only independant police but also have established police station addition to already existing police stations. To proof my opinion; I have tried to compare and contrast the statistics of the crime rates and types of the Jeju area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elf police and police station; also to see how patterns changed.(if there has been any.) I have also tried to analyse if there is any special type of crime statistics in Jeju province, by analysing current crimes in accordance to populations. Altough it has not much reached my initial expectations, I hope it still is meaningful to have been able to show some ways to prevent crimes in Jeju-strategically.

인간이 탄생한 이후, 범죄는 항상 있어왔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수단들도 다양하게 변천되고, 발달되어 왔다. 하지만, 그 범죄를 예방하는 과정에 있어서 과거를 무시하고, 현실에 안주하며, 미래를 회피하는 근시안적이고 비전략적 방식들 또한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점도 간과되어져서는 안된다. 그렇다면 현재는 전략적인 범죄예방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일까? 여기에서 논자는 그간 강조되어져 왔던 전략적 범죄예방활동 중 하나인 지역사회경찰활동(community orientied policing, COP)에 국가경찰이 병행되는 방식을 떠올렸고, 그 확인 대상으로 '07년 7월 특별자치도 지정과 함께 자치경찰이 발족하고, 기존 2개 경찰서에 하나의 경찰서가 추가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제주특별자치도가 가장 알맞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논자는 이러한 본인의 생각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자치경찰 및 경찰서가 추가로 설치되기 전 제주지역 범죄발생통계와 그 이후의 통계를 비교분석하여 그 추세를 확인하고, 제주지역만의 독특한 범죄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제주지역 인구별 범죄현황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는 논자의 최초 기대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제주지역의 전략적 범죄예방을 위하여 나아가야 할 뚜렷한 방향성은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없지는 않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jeju.go.kr/contents/index.php?mid=0109
  2. 경찰청 기획조정관실 기초통계자료, 2012.
  3. 대검찰청 범죄분석(통권 제141,142,143,144호), 2008, 2009, 2011.
  4. 경찰청 수사국 기초통계자료, 2006, 2010.
  5. G. Witkan and D. McGraw, Beyond "Just the facts, ma'am," U. S. News and World Report, p.8, 1993(8).
  6. 이황우, 경찰행정학, 법문사, p.172-181, p.183, p.440-441, 2007.
  7. L. Hoover, "Translating total quality :management from the private sector to policing," in L. Hoover (ed), qualitifying quality in policing(Washington : police Executive Research Forum), 1996.
  8. 미국 법집행기관(경찰기관들의 총체)에서의 전략적 계획 조사, Jihong "Solomon"Zhao(sam Houston State University, Huntsville, TX), Quint C. Thurman(Texas State University, San Marcos), Ling Ren(Illinois State University, Normal), 경찰 계간지 제11권, 제1호, pp.1-3, pp.20-24, 2008(3).
  9. 한상암, 조호대, 제주특별자치도 자치경찰의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 2007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5권 제1호, pp.14-22, 2007(6).
  10. 김종수, 신승균, 한국 자치경찰의 인력충원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8권, 제7호, pp.182-194, 2008(7). https://doi.org/10.5392/JKCA.2008.8.7.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