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siderations on Wolfgang Weingart's Typography based on Syntactic Characteristics

볼프강 바인가르트의 구문론적 특성에 의한 타이포그래피 고찰

  • Received : 2012.05.02
  • Accepted : 2012.06.21
  • Published : 2012.07.28

Abstract

The foundation of the development in modern typography is based on the era of International Typographical Style and Modern Typography that valued morphological functionality and rationality to achieve an accurate conveyance of meaning. However, with the advance of postmodernism, the view that the aesthetic and conceptual aspect must be included in its interpretation rather than its rational functionality was prominent. Indeed, the works of Dan Friedman and April Greiman, two graphic designers that are known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post-modernistic era, displayed that graphic design works can also serve as a method for a more free artistic expression, unlike works of Modern Typography. This move towards aesthetic graphics was first started by Wolfgang Weingart. His various attempts at expanding the concept of typograph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New Wave and his experimentalist attitude brought about a ground-breaking change to the functional design and formative expression of modern typography. However, this thesis will consider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typographical designs displayed in Wiengart's works and the experimental methods thereof, and will not attempt to evaluate Weingart's pioneering role and achievements. Furthermore, this thesis will shed new light on the argument that the Weingart's works are not based on the authorship view of post-modernistic typography and are rather utilized to expand the concept of typography based on a syntactical approach.

현대 타이포그래피 발전의 토대는 정확한 의미전달을 위한 형태적 기능성과 합리성에 가치를 두었던 모더니즘과 스위스국제타이포그래피 시대에 걸쳐 이루어 졌다.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으로 넘어가면서 타이포그래피의 합리적인 기능성 보다 미학적 혹은 관념적인 부분까지 확대 해석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유행하였다. 실제로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적인 그래픽디자이너로 꼽히는 댄 프리드먼이나 에이프릴 그레이먼의 작품들은 모더니즘 시대의 작품들과 달리 그래픽디자인도 때로는 자율적인 예술표현의 매체가 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그 변화의 처음에 볼프강 바인가르트가 있었다. 그가 보여준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확장을 위한 다채로운 시도는 훗날 '뉴웨이브' 발달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으며 그의 실험주의 정신은 오늘날 타이포그래피의 기능성과 조형성 표현에 획기적인 가치변화를 주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그의 선구자적 역할에 대한 가치평가가 아닌 그의 작품에 표현된 타이포그래피의 이론적 배경과 그에 따른 실험적 방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바인가르트의 작품배경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작가주의적 견해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 구문론적 이론에 근거한 타이포그래피의 개념 확장을 위한 것임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릭 포이너, 민수홍 역, no more rules, 홍디자인, p.15, 2010.
  2. 제레미 리프킨, 이희재 역, 소유의 종말, 민음사, 2001.
  3. 에밀 루더, 안상수 역. 타이포그래피, 안그라픽스, 2001.
  4. 박대순, 현대디자인용어사전, 디자인오피스, p.288, 1994.
  5. Anthony Froshaug, "Typography ancient and modern," studio international, Vol.180, No.924, 1970.
  6. S. Heller and E. Pettit, Design Dialogue, Allworth Press, p.7, 1998.
  7. 필립. B 맥스,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디자인하우스, p.332, 1985.
  8. Jan Tschichold, Ausgewaehlte Aufsaetze ueber Fragen der Gestalt des Buches und der Typographie, (2. edl. Basel: Birkhaeuser), p.11 1987.
  9. Jan Tschichold, Ausgewaehlte Aufsaetze ueber Fragen der Gestalt des Buches und der Typographie, (2. edl. Basel: Birkhaeuser), p.383 1987.
  10. 장효진, 김지현, "글자의 비언어적 시각표현을 통해서 본 타이포그래피의 영역 확장 가능성과 그 의미", 기초조형학연구, Vol.8. No.1-47, p.544, 2007.
  11. 릭 포이너, 민수홍 역, no more rules, 홍디자인, p.36-38, 2010.
  12. 스티븐 헬러 외 42인, 김은영 역, 왜 디자이너는 생각하지 못 하는가 II, 정글, p.48, 1997.
  13. 김지현, "글자기능의 극대화를 위한 기능적 타이포그래피의 재해석", 기초조형학연구, Vol.5, No.3, p.18, 2004.
  14. 마이클 베이루트 외 3인, 이지현 역, 그래픽 디자인 들여다 보기 3, 비즈앤비즈, pp.314-339, 2010.
  15. 릭 포이너, 민수홍 역, no more rules, 홍디자인, pp.33-34, 2010.
  16. http://blog.naver.com/dung0417/20006068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