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atial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nd-Hole and Governance Strategy

풍혈의 공간적 분포 특징과 관리 방안

  • Kong, Woo-Seok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Yoon, Kwanghe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Kim, Intae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Lee, Youmi (Division of Botanical Research, Korea National Arboretum) ;
  • Oh, Seunghwan (Division of Botanical Research, Korea National Arboretum)
  • 공우석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윤광희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김인태 (경희대학교 이과대학 지리학과) ;
  • 이유미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 오승환 (국립수목원 산림생물조사과)
  • Received : 2012.04.18
  • Accepted : 2012.05.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Wind holes or air holes, from which cool air blows out during the summer, but mild air comes out during the winter, have provided the phytogeographically important refugia for cryophilous or cold-loving boreal flora during the Holocene period. At present, wind holes are serving as a faraway disjunctive habitat for Pleistocene relict glacial floristic elements, and present an invaluable information to reconstruct the natural history. Present work aims to collate the nationwide distribution and relevant DB on the potential wind holes of Korea based upon media and literature sources, along with geographical informations, such as place name, topographic map, environmental geographical information, flora, monitoring data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field survey data. Geographical information on sixty nine wind hole sites have compil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flora and presence of fossilized periglacial landforms, such as talus, block field, and block stream, and sixteen sites have thereafter carefully selected and scrutinized through field surveys. To maintain a sustainability of wind hole ecosystem, including their original landform, micro-meteorological phenomena and plant community therein as a refugia or habitat for relict plant species of Pleistocene glacial period, appropriate restrictions and preservation measures are required.

Keywords

References

  1. 강내희, 1996, 부산의 금정산과 장산의 지형경관 비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원일보, 2010. 11. 2, 신강원기행(88) 횡성군 공근면 가곡리 '벽봉마을'.
  3. 고정군.문명옥.송국만.현화자.조병창.김철수, 2011, 세계자연유산 거문오름 일대 식물상, 제주특별자치도 한라산연구소 조사연구보고서, 10, 3-23.
  4. 공우석, 2002,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대한지리학회지, 37(4), 357-370.
  5. 공우석, 2005, 지구온난화에 취약한 지표식물 선정, 한국기상학회지, 41(2-1), 263-273.
  6. 공우석.임종환, 2008, 극지.고산식물 월귤의 격리 분포와 기온요인, 대한지리학회지, 43(4), 495-510.
  7. 공우석.이슬기.윤광희.박희나, 2011, 풍혈의 환경 특성과 식물지리적 가치, 환경영향평가, 20(3), 1-10.
  8. 국립수목원, 2010, 기후변화 취약 산림식물종 보전.적응사업 조사 매뉴얼, 국립수목원.
  9. 김성삼, 1968, 얼음골(밀양군)의 하계결빙현상에 관한 고찰, 한국기상학회지, 4(1), 13-18.
  10. 김윤이, 2005, 한반도 얼음골의 지형적 특성과 결빙 현상, 한국기상학회지, 41(6), 1151-1161.
  11. 김진석.정재민.이병천.박재홍, 2006, 한반도 풍혈지의 종조성과 식물지리학적 중요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6(1), 61-89.
  12. 김태호, 2002, 한라산의 지형경관, 기초과학연구, 15(1), 15-28.
  13. 뉴시스, 2007. 8. 17, 구미 천생산 석굴 찬바람에 무더위 싹.
  14. 뉴시스, 2008. 7. 6, 속리산 서원계곡에 얼음굴 있다.
  15. 뉴시스, 2010. 7. 23, 시원한 바람 나오는 풍혈.
  16. 동아일보, 1926. 10. 17, 향토예찬 내 고을 명물.
  17. 문승의.황수진, 1977, 밀양 어름골의 하계결빙현상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사대논문집, 4, 47-57.
  18. 문화일보, 2005. 9. 3, 가볼만한 전국휴양림.
  19. 문화일보, 2011. 7. 1, 수도권명산 30선.
  20. 박승필.양해근, 1997, 월출산의 지형과 수문환경, 현대사회과학연구, 8권, 171p.
  21. 배상근, 1990, 얼음골 하계 결빙현상에 관한 수문학적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23(4), 459-466.
  22. 변희룡, 2003, 얼음골의 동계온풍과 하계결빙에 연관된 지하대류, 대기, 13(1), 230-233.
  23. 변희룡.최기선.김기훈.田中博, 2004, 재약산 얼음골에 나타난 온혈의 특징과 열적기구, 한국기상학회지, 40(4), 29-40.
  24. 부산일보, 2009. 10. 1, 산&산<224> 양산 감림산.
  25. 송시태, 2007, 국립민속박물관, 제주의 곶자왈, 국립민속박물관.
  26. 안건상, 2010, 무등산 도립공원의 지질과 경관, 암석학회지, 19(2), 109-121.
  27. 윤석원, 1988, 인제군 남면 일대의 애추(Talus)에 관한 연구, 동국지리, 9, 1-24.
  28. 연합뉴스, 2008. 2. 15, 혹한 속 더운 바람 보은 구병산 또 '풍혈'.
  29. 연합뉴스, 2009. 1. 8, 김해 생림면 '풍혈'.
  30. 이광률.박한산, 2010, 청송군 옹점리 일대 암설 사면의 분포와 지형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5(3), 360-374.
  31. 이영노, 2000, 한국의 고산식물, 교학사.
  32. 이우평, 2007, 한국지형산책, 푸른숲.
  33. 이일흠, 2009, 밀양시 삼랑진읍 만어사 암괴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이정우, 1985, 쌍곡 Talus의 형상과 구조, 지리학연구, 10, 769-784.
  35. 이정우, 1988, 영월 구하도의 Talus, 지리학총, 16, 1-10.
  36. 장광수, 1989, 충북 제원군 금수산 얼음골 하계결빙현상에 관한 연구, 공주사범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3.
  37. 전병일, 2002, 강원도 정선군 운치리 얼음골의 여름철 결빙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11, 857-863.
  38. 전영권, 1990, 암설사면에 관한 연구동향 및 이론적 배경: Talus, Block stream, Block field를 중심으로, 지리학논구, 10-11합호, 42-63.
  39. 전영권, 1993, 태백산맥 남부산지의 암설사면지형, 지리학, 28(2), 77-98.
  40. 전영권, 1997, 경남 밀양 얼음골 일대의 지형적 특성: 테일러스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 165-182.
  41. 정창희, 1992, 밀양 남명리 얼음골(천연기념물 제224호)의 조사 연구, 천연기념물 및 공룡 발자국 화석류 조사보고서, 대한지질학회, 61-84.
  42. 정태현.이우철, 1965, 한국삼림식물대 및 적지적수론, 성균관대학교논문집, 10, 367-435.
  43. 제주특별자치도-한국지질환경연구소, 2011, 제주 거문오름 종합학술조사 결과보고서, pp. 152.
  44. 태백시, 2007, 문화유적분포지도, 태백시.
  45. 한승희, 2007, 팔공산 수태골의 지형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허철호.이재호, 2004a, 덕유산 국립공원의 지질 및 지형, 한국자연보존연구지, 1.2 No.1-2, 141-154.
  47. 허철호.이재호.윤성택.최선규.김성용, 2004b, 계룡산 국립공원 지형경관자원의 유형과 분포, 국토연구, 42, 3-15.
  48. 허철호.박상준.김성용, 2005, 내장산 국립공원 지질 및 지형경관자원의 유형과 분포, 한국지구과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49. 황수진.서광수.이순환, 2005, 밀양 어름골의 결빙형성기구에 관한 고찰, 한국기상학회지, 41, 29-40.
  50. 田中博, 1997, 韓國密陽郡のICE VALLEY における夏季氷結現象の數値實驗, 地理學評論, 70(A-1), 1-14.
  51. Bae, S.K. and I. Kayane, 1986, Hydrological study of Ice Valley, Korea, Annual Report of Institute of Geoscience, University of Tsukuba, 12, 15-20.
  52. Hwang, S.J. and S.E. Moon, 1981, On the summertime ice formation at Ice Valley in Milyang, Korea, Abstracts in Spring Conference, Geographical Soc. Japan, 19, 218-219.
  53. Kong, W.S., Lee, S.G., Yoon, K.H. and, H.N. Park, 2011, Climate change and conservation of fragile air hole landscape and ecosystem,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andscape Conservation, pp. 27-30, Taipei, Taiwan.
  54. Song, T.H., 1994, Numerical simulation of seasonal convection in an inclined talus, Proceedings of the 10th International Transfer Conference, 2, Brighton, U. K., 455-469.
  55. Tanaka, H.L., 1995, Mysterious ice valley in Korea where ice grows during the hottest season, Tenki, 42, 647-649(in Japanese).
  56. Tanaka, H.L., 1997, A numerical simulation of summer time ice formation in the Ice Valley in Milyang, Korea. Geogr. Rev. Japan, 70A-1, 1-14(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57. Tanaka, H.L., Moon, S.E. and Hwang, S.J., 1998, Mysterious ice valley in Korea where ice grows during the hottest season, Tenki, 45, No. 11, 3-4(in Japanese).
  58. Tanaka, H.L., Moon, S.E. and Hwang, S.J., 1999, An observational study of summer time ice formation at the Ice Valley in Milyang, Korea. Sci. Rep., Inst. Geosci., Univ. Tsukuba, 20, 33-51.
  59. Tanaka, H.L., Nohara, D. and M. Yokoi, 2000,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hole circulation and summer time ice formation at Ice Valley in Korea and Nakayama in Fukushima, Japan, Jour. Meteor. Soc. Jap., 78, 611-630. https://doi.org/10.2151/jmsj1965.78.5_611
  60. Tanaka, H.L., Nohara, D. and H.R. Byun, 2006, Numerical simulation of wind hole circulation at Ice Valley in Korea using a simple 2D Model, Jour. Meteor. Soc. Jap., 84, 1073-1084. https://doi.org/10.2151/jmsj.84.1073
  61. http://egis.me.go.kr/egis/home/webgis/webgis.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