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erception of Offender Profiling and its Development Strategies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발전 방향

  • 박지선 (국립경찰대학 행정학과) ;
  • 최낙범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 Received : 2012.03.28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6.28

Abstract

Offender profiling, as a crime investigation technique, aims to respond more effectively to violent crimes. However, attitude that police investigators hold toward offender profiling is quite skeptical, which prevents offender profiling from making effective and practical contributions to police investigation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plored development strategies of offender profiling by examining perceptions of offender profiling among 156 Korean National Police University students. Furthermore, a total of 166 students from other universities also participated as a control group. As a result, participants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offender profiling, in terms of its necessity, effectiveness, and reliability. However, they believed that Korean police agencies are not making the good use of offender profiling and that profilers are not necessarily taking the lead in solving cases. In terms of the profiler education,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who showed interest in becoming a profiler did not know what to learn and how to prepare for becoming one.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made.

범죄자 프로파일링은 점차 지능화 되어 가는 범죄에 더욱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사 기법 중 하나이다. 그러나 경찰 지휘관 및 일선 수사관들의 이해 부족과 회의적인 태도로 인하여 효율적인 활용과 실질적 수사 지원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범죄자 프로파일링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범죄자 프로파일링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찰대학 재학생 총 156명을 대상으로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를 일반인들의 프로파일링에 대한 인식과 비교해 보기 위해서 일반대학 재학생 총 16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프로파일링의 필요성이나 효과성, 신뢰성에 있어서는 모두 비교적 높은 평가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국내 사건 해결에 있어 프로파일러의 주도성이나 현재 경찰 조직에서 프로파일링의 활용도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경찰대 학생들 가운데 장래 프로파일러가 될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반응이 약 반 정도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나, 이 중 대다수가 어떻게 해야 프로파일러가 될 수 있는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P. B. Ainsworth, Offender Profiling and Crime Analysis, Willan Publishing, 2001.
  2. J. E. Douglas, R. K. Ressler, A. W. Burgess, and C. R. Hartman, "Criminal profiling from crime scene analysis," Behavioral Sciences and the Law, Vol.4, pp.401-421, 1986. https://doi.org/10.1002/bsl.2370040405
  3. 임준태, 프로파일링, 대영문화사, 2009.
  4. R. M. Holmes and S. T. Holmes, Profiling violent crimes: An investigative tool(3rd ed.), Sage Publications, 2002.
  5. B. E. Turvey, Criminal Profiling: An Introduction to Behavioral Evidence Analysis (2nd ed.), Academic Press, 2002.
  6. 김지영, 박지선, 박현호, 연쇄성폭력범죄자 프로파일링과 프로파일링 제도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7. 박현호, 오경석, "범죄 프로파일링제도 운영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경찰 범죄분석요원 및 기존 수사관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한국경찰연구, 제9권, 제2호, pp.59-88, 2010.
  8. 김상균, "무동기 흉악범죄에 대한 경찰의 대응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11권, 제3호, pp.5-31, 2009.
  9. 박행렬, "경찰 강력범죄 수사체계의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9호, pp.47-75, 2010.
  10. 고선영, "살인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현장행동특성 고찰", 한국심리학회지:법정, 제2권, 제2호, pp.135-158, 2011.
  11. 오윤성, "현장에서의 연쇄행동 평가를 통한 범인심리 분석 및 행동 추정에 대한 연구 -화성연쇄살인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3호, pp.563-597, 2006.
  12. 김경옥, 이수정, "범죄자 프로파일링을 위한 연쇄살인 범죄의 유형 고찰", 한국심리학회지:사회 및 성격, 제19권, 제1호, pp.131-149, 2005.
  13. 박지선, 박인선, "사람들이 생각하는 강간 범죄자의 표상: 실제 국내 강간 범죄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pp.362-371, 2011.
  14. 김지영, 정선희, "한국연쇄성범죄의 지리적 프로파일링",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43호, pp.39-58, 2011.
  15. 박철현, "지리적 프로파일링을 이용한 연쇄방화범의 거주지 추정: 동래연쇄방화사건의 사례", 형사정책, 제16권, 제2호, pp.61-92, 2004.
  16. 임준태, "연쇄방화범 프로파일링과 이동특성",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37호, pp.369-402, 2009.
  17. 정덕영, "과학수사기법의 발전과 효율적 활용 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8호, pp.219-245, 2004.
  18. 임준태, "지리학적 프로파일링을 통한 한국의 연쇄강력범죄 분석", 한국경찰연구, 제5권, 제2호, pp.161-188, 2006.
  19. 허경미, 범죄 프로파일링(criminal profiling) 기법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치안정책연구소, 2008.
  20. 김재민, 경찰수사론, 경찰대학, 2009.
  21. 박광배, 배현정, "범죄자 프로화일링(Criminal Profiling)의 유용성: 수사실무를 위한 미시적 활용과 정책평가를 위한 거시적 활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1권, 제1호, pp.1-24, 2001.
  22. R. Ressler, A. Burgess, and J. Douglas, Sexual homicide: Patterns and motives, Lexington Books, 1988.
  23. 한상암, "경찰의 범죄수사활동에 있어 디지털 영상매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6권, 제5호, pp.153-160, 2006.
  24. G. Copson, Coals to Newcastle? Part One: A study of offender profiling. Police Research Group Special Interest Series(Paper no. 7), Home Office Police Department, 1995.
  25. 곽대경, "경찰수사를 위한 범죄심리연구의 활용방안", 한국경찰학회보, 제3권, pp.1-21, 2001.
  26. 경찰청, 범죄행동분석 매뉴얼, 경찰청, 2006.
  27. A. J. Pinizzotto and N. J. Finkel, "Criminal personality profiling: An outcome and process study," Law and Human Behavior, Vol.14, pp.215-233, 1990. https://doi.org/10.1007/BF01352750
  28. J. W. Osterburg and R. H. Ward, Criminal investigation, Anderson Publishing Co, 2000.
  29. 권창국, "범죄자 프로파일링 증거(criminal profiling evidence)의 활용과 문제점에 관한 검토", 형사정책연구, 제13권, 제4호, pp.247-280, 2002.